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2 00:42:24

FIFA 랭킹

피파랭킹에서 넘어옴

2025년 10월 FIFA 랭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가명 볼드체: FIFA 월드컵 우승팀
주석이 없는 팀: FIFA 월드컵 불참 및 본선 진출 실패
<rowcolor=#fff> 순위 국가 당월 점수 전월 점수 전월 대비
점수 변화
전월 대비
순위 변화
1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1] 1880.76 1875.37 +5.39 0
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2] 1872.43 1870.32 +2.11 +1
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3] 1862.71 1870.92 -8.21 -1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4] 1824.3 1820.44 +3.86 0
5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5] 1778 1779.55 -1.55 0
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6] 1759.96 1754.17 +5.79 +1
7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7] 1758.85 1761.6 -2.75 -1
8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8] 1740.01 1739.54 +0.47 0
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9] 1717.15 1710.06 +7.09 +1
10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10] 1713.3 1704.27 +9.03 +2
11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11] 1710.15 1714.2 -4.05 -2
12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12] 1710.11 1706.27 +3.84 -1
13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13] 1695.72 1692.1 +3.62 0
14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14] 1682.52 1688.38 -5.86 0
15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15] 1677.57 1673.65 +3.92 0
16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16] 1673.49 1670.04 +3.45 0
17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17][18] 1653.32 1648.3 +5.02 0
18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19] 1650.61 1645.23 +5.38 0
1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0] 1645.34 1640.47 +4.87 0
20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21] 1641.02 1627.64 +13.38 0
21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22] 1618.28 1622.61 -4.33 0
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3] 1593.92 1593.19 +0.73 +1
23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24] 1589.72 1588.04 +1.68 +1
24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25] 1586.98 1601.86 -14.88 -2
25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26] 1584.02 1583.49 +0.53 0
26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27] 1570.18 1555.72 +14.46 +1
27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28] 1555.36 1543.06 +12.3 +1
28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29] 1554.63 1558.04 -3.41 -2
29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30] 1532.14 1526.23 +5.91 +2
30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31] 1530.95 1521.74 +9.21 +3
31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32] 1528.21 1529.71 -1.5 -2
32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33] 1525.31 1519.18 +6.13 +3
33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34] 1523.84 1517.3 +6.54 +3
34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35] 1518.81 1529.09 -10.28 -4
35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36] 1510.26 1500.74 +9.52 +3
36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37] 1507.84 1520.9 -13.06 -2
37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38] 1504.92 1492.18 +12.74 +4
38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39] 1504.2 1485.08 +19.12 +5
39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40] 1498.15 1501.01 -2.86 -2
40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41] 1496.99 1524.62 -27.63 -8
41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42] 1495.46 1483.86 +11.6 +4
42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43] 1491.78 1483.9 +7.88 +2
43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44] 1490.8 1483.02 +7.78 +3
44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45] 1484.68 1500.29 -15.61 -5
45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46] 1483.74 1481.13 +2.61 +2
46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47] 1483.35 1491.87 -8.52 -4
47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48] 1480.13 1462.85 +17.28 +4
48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49] 1472.99 1494.72 -21.73 -8
49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50] 1464.05 1469.31 -5.26 -1
50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1463.27 1465.02 -1.75 -1
51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51] 1462.93 1462.96 -0.03 -1
52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52] 1461.6 1453.65 +7.95 +1
53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1455.78 1445.83 +9.95 +3
54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53] 1453.71 1455.42 -1.71 -2
55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1452.34 1453.31 -0.97 -1
56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54] 1446.93 1441.66 +5.27 +1
57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55] 1428.69 1422.2 +6.49 +1
5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56] 1427.37 1420.65 +6.72 +1
59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57]
1423.17 1448.67 -25.5 -4
60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58] 1421.32 1407.6 +13.72 0
61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1401.34 1380.66 +20.68 +5
6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59] 1401.18 1397.52 +3.66 -1
63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1398.05 1385.37 +12.68 +1
64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60] 1396.23 1383.98 +12.25 +1
65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1390.6 1388.5 +2.1 -2
66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1380.87 1391.33 -10.46 -4
67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61] 1379.93 1379.86 +0.07 0
68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62] 1367.18 1377.22 -10.04 +1
69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63] 1366.27 1355.98 +10.29 +3
70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1365.92 1377.32 -11.4 -2
71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1364.26 1363.21 +1.05 -1
72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1360.27 1358.72 +1.55 -1
73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64] 1356.4 1340.84 +15.56 +2
74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65] 1344.84 1343.09 +1.75 0
75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66]
1341.36 1344.25 -2.89 -2
76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67] 1334.55 1332.24 +2.31 +1
77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1329.91 1314.06 +15.85 +2
78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68] 1324.57 1337.4 -12.83 -2
79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1312.32 1320.34 -8.02 -1
80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1305.22 1299.49 +5.73 +1
81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1297.88 1314.05 -16.17 -1
82
파일:퀴라소 기.svg
퀴라소 1295.52 1282.42 +13.1 +2
83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1287.75 1287.61 +0.14 -1
84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1284.73 1262.1 +22.63 +7
85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69] 1283.3 1283.94 -0.64 -2
86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1274.16 1259.32 +14.84 +6
87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1268.6 1273 -4.4 -2
88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70] 1268.32 1269.24 -0.92 -1
89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71] 1267.45 1268.72 -1.27 0
90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1267.16 1268.73 -1.57 -2
91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72] 1263.07 1271.52 -8.45 -5
92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1259.39 1257.3 +2.09 +1
93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73] 1249.06 1249.06 0 +1
94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74] 1247.77 1267.75 -19.98 -4
95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1241.52 1230.73 +10.79 +3
96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1235.36 1222.2 +13.16 +5
97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1231.8 1242.61 -10.81 -1
98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1230.55 1230.55 0 +1
99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1229.91 1248.68 -18.77 -4
100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75] 1229.9 1220.99 +8.91 +2
101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1227.53 1234.04 -6.51 -4
102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1220.21 1206.15 +14.06 +2
103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1212.78 1223.54 -10.76 -3
104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1204.7 1219.55 -14.85 -1
105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1201.22 1201.22 0 +1
106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1193.48 1187.59 +5.89 +2
107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1187.08 1199.45 -12.37 0
108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1187 1160.33 +26.67 +9
109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1185.55 1181.64 +3.91 +2
110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184.68 1172.3 +12.38 +3
111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1183.62 1169.92 +13.7 +3
112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1180.18 1201.83 -21.65 -7
113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1179.2 1183.28 -4.08 -3
114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1177.77 1179.57 -1.8 -2
115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1168.47 1158.06 +10.41 +3
116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1162.79 1183.8 -21.01 -7
117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1162.12 1165.93 -3.81 -2
118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1161.53 1148.23 +13.3 +5
119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1157.11 1163.56 -6.45 -3
12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76] 1151.05 1151.05 0 +1
121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1149.1 1150.1 -1 +1
122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77] 1144.73 1157.94 -13.21 -3
123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1142.25 1148.09 -5.84 +1
124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78] 1140.35 1151.08 -10.73 -4
125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1137.43 1128.1 +9.33 +3
126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1135.89 1125.21 +10.68 +5
127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1132.41 1094.46 +37.95 +9
128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1129.89 1133.6 -3.71 -2
129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1125.55 1133.75 -8.2 -4
130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1122.25 1127.2 -4.95 -1
131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1117.78 1133.5 -15.72 -4
132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1108.09 1126.81 -18.72 -2
133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1106.83 1120.78 -13.95 -1
134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1105.96 1119.77 -13.81 -1
135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79] 1096.82 1100.38 -3.56 0
136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1096.65 1113.8 -17.15 -2
137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1084.56 1087.27 -2.71 +2
138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1084.46 1065.62 +18.84 +6
139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1084.26 1088.8 -4.54 -2
140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1083.57 1081.36 +2.21 0
141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1081.44 1066.35 +15.09 +2
142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1078.09 1087.96 -9.87 -4
14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1073.54 1074.46 -0.92 -1
144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1069.83 1034.1 +35.73 +9
145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1060.22 1077.05 -16.83 -4
146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1055.58 1065.34 -9.76 -1
147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1055.36 1046.41 +8.95 0
148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1052.54 1047.36 +5.18 -2
149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1045.58 1045.58 0 -1
150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 1042.62 1039.55 +3.07 0
151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1041.53 1041.53 0 -2
152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1040.13 1021.25 +18.88 +2
153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1037.34 1037.34 0 -2
154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1035.11 1043.44 0 -2
155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1030.49 1013.34 +17.15 +3
156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1020.2 1019.2 +1 0
157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1020.07 1020.44 -0.37 -2
158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타히티 1019.04 1019.04 0 -1
159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1010.52 1010.06 +0.46 0
160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992.38 992.38 0 +2
161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991.59 991.59 0 +2
162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991.19 998.88 -7.69 -1
163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990.81 1004.15 -13.34 -3
164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990.69 990.69 0 0
165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986.48 978.4 +8.08 +3
166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979.18 982.43 -3.25 0
167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978.7 976.56 +2.14 +2
168
파일:버뮤다 기.svg
버뮤다 976.75 988.72 -11.97 -3
169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80][81] 975.34 980.33 -4.99 -2
170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969.17 969.17 0 0
171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962.43 962.43 0 +1
172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955.1 954.68 +0.42 +2
173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954.53 968.59 -14.06 -2
174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947.64 960.81 -13.17 -1
175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919.97 933.3 0 +2
176
파일:몬트세랫 기.svg
몬트세랫 916.75 914.26 0 +2
177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915.51 912.24 +3.27 +2
178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913.87 925.82 -11.95 -3
179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910.21 912.67 0 +1
180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909.32 923.02 -13.7 -4
181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904.45 919.26 0 0
182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901.37 900 0 0
183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894.06 899.24 -5.18 +1
184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미국령 사모아 883.17 883.17 0 +3
185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881.74 900.62 -18.88 -2
186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879.75 879.75 0 +2
187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877.53 877.53 0 +2
188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877.05 890.35 -13.3 -3
189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876.56 888.94 -12.38 -3
190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876.41 876.41 0 0
191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871.63 854.76 +16.87 +4
192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865.29 865.29 0 -1
193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862.17 852.3 +9.87 +4
194
파일:아루바 기.svg
아루바 861.16 861.16 0 -2
195
파일:케이맨 제도 기.svg
케이맨 제도 853.37 853.37 0 +1
196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847.89 855.91 -8.02 -3
197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840.27 855.36 -15.09 -3
198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837.09 829.41 +7.68 +1
199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835.64 835.64 0 -1
200
파일:지브롤터 기.svg
지브롤터 835.18 835.18 0 0
201
파일:괌 기.svg
823.08 823.08 0 +1
202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818.59 824.76 -6.17 -1
203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807.36 807.36 0 +2
204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805.33 812.32 -6.99 -1
205
파일: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기.svg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803.98 803.98 0 +1
206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801.99 808.48 -6.49 -2
207
파일:미국령 버진아일랜드 기.svg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779.71 779.71 0 0
208
파일:영국령 버진아일랜드 기.svg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765.41 768.5 -3.09 0
209
파일:앵귈라 기.svg
앵귈라 758.52 758.52 0 0
210
(최하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727.95 733.23 -5.28 0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unranked[82] }}}}}}}}}
[ 각주 ]

[1] FIFA 월드컵 1회 우승 (2010)[2] FIFA 월드컵 3회 우승 (1978, 1986, 2022)[3] FIFA 월드컵 2회 우승 (1998, 2018)[4] FIFA 월드컵 1회 우승 (1966)[5]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위 (1966)[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준우승 (1974, 1978, 2010)[7] FIFA 월드컵 5회 최다 우승 (1958, 1962, 1970, 1994, 2002)[8]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위 (2018)[9] FIFA 월드컵 4회 우승 (1934, 1938, 1982, 2006)[10] FIFA 월드컵 4회 우승 (1954, 1974, 1990, 2014)[11] FIFA 월드컵 최고성적 준우승 (2018)[12] FIFA 월드컵 최고성적 4위 (2022)[13]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5위 (2014)[14]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6위 (1970, 1986)[15] FIFA 월드컵 2회 우승 (1930, 1950)[1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위 (1930)[17]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6위 (1938)[18] 참고로 스위스는 1950월드컵에서도 6위를 기록하였지만 당시는 8강전이 없었고 13강 조별리그에서 각 조 1위만 4강 결승리그(풀리그 방식)에 진출하는 제도였고 스위스는 조 3위 대회 6위로 4강 진출은 실패했다.[19]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7위 (2002)[20]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9위 (2002, 2010, 2022)[21]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1998)[22] 이란의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978월드컵 14위(16강 조별리그)
2018월드컵 18위(32강 조별리그)
[23] FIFA 월드컵 최고성적 4위 (2002)[24]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2위 (2006)[25]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위 (1954)[2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1위 (2022)[27]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위 (2002)[28]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2006)[29]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4위 (1986월드컵 24강 조별리그)[30]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5위 (1998)[31] FIFA 월드컵 최고성적 4위 (1966)[32]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2위 (2018월드컵 32강 조별리그)[33]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3위 (1934)[34]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위 (1974, 1982)[35]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1958)[3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4위(2014), 알제리의 월드컵 최고 순위 13위(1982)[37] FIFA 월드컵 최고성적 4위 (1930, 1962)[38] FIFA 월드컵 최고성적 준우승 (1938, 1954)[39] FIFA 월드컵 최고성적 9위 (1974월드컵 16강 조별리그)[40]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2010)[41] FIFA 월드컵 최고성적 준우승 (1958)[42]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9위 (1994)[43]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7위 (2010월드컵 32강 조별리그)[44] FIFA 월드컵 최고성적 9위 (1978월드컵 16강 조별리그)[45] FIFA 월드컵 최고성적 준우승 (1934, 1962)[4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2014)[47]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6위 (2010)[48]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6위 (1994)[49]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3위 (2014)[50]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7위 (1970)[51]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8위 (2010월드컵 32강 조별리그)[52]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2위 (2022월드컵 32강 조별리그)[53]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7위 (1990)[54]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위 (1962)[55]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3위 (1986월드컵 24강 조별리그)[5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2위 (1994)[57] FIFA 월드컵 17위 (2002월드컵 32강 조별리그)[58]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위 (1974월드컵 16강 조별리그)[59]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1990)[60]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8위 (1982월드컵 24강 조별리그)[61]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4위 (1990월드컵 24강 조별리그)[62]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2위 (1998월드컵 32강 조별리그)[63]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7위 (1958)[64]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7위 (2010)[65] FIFA 월드컵 28위 (2018월드컵 32강 조별리그)[6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0위 (2014월드컵 32강 조별리그)[67]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2위 (1930월드컵 13강 조별리그)[68]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2위 (1970월드컵 16강 조별리그)[69]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2위 (2010월드컵 32강 조별리그)[70]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5위 (1974월드컵 16강 조별리그)[71]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3위 (2006월드컵 32강 조별리그)[72] FIFA 월드컵 최고성적 4위 (1994)[73]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1위 (2002월드컵 32강 조별리그)[74]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위 (1970월드컵 16강 조별리그)[75]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7위 (2006월드컵 32강 조별리그)[7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1966)[77]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5위 (1938월드컵 15강 토너먼트. 이 때는 네덜란드의 식민지였기에 '네덜란드령 동인도' 라는 이름으로 월드컵에 참가했다.)[78]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0위 (2006월드컵 32강 조별리그)[79]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1위 (1982월드컵 24강 조별리그)[80]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1938)[81] 현재까지 역대 월드컵 본선 진출국 중 가장 낮은 순위. 유일한 기록인 8강(8위)에 진출한것도 80년을 넘어갔으니 그럴만도 하다.[82] 4년 이상 경기가 없어서 랭킹에서 빠졌다.


1. 개요2. 사례
2.1. 2018 러시아 월드컵~현재
3. 산정 방식
3.1. 2018 러시아 월드컵 이후
4. 역대 피파 랭킹
4.1. 역대 피파 랭킹 1위
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FIFA/Coca-Cola World Ranking

FIFA에서 각 국가별 남자팀의 축구 실력을 알아보기 쉽도록 매긴 점수와 순위이다. 청소년 대회, 올림픽 경기 등 A매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기는 피파 랭킹의 기준에서 제외된다. 여자팀은 FIFA 여자 랭킹이 따로 있다.

fifa.com에서 매월 공식 랭킹을 발표한다.

2. 사례

구체적인 예시는 여기에 기입하고 추상적인 수학은 산정 방식에 적도록 한다.

===# 1993년 8월~1998년 프랑스 월드컵 #===
피파 랭킹은 1993년부터 생겨난 제도이다. 그러나 피파 랭킹 초창기 시절에는 매우 단순했기 때문에 신뢰도가 매우 낮은 편이었다. 그 이유는 친선이든 대륙컵 본선 및 예선이든 월드컵 대륙 예선이든 간에 경기를 많이 치르면서 많이 이길수록 플러스 3점을 추가하는 데다가 패배해도 점수가 전혀 깎이지 않는 방식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본선 이전까지는 일단 무작정 A매치 많이 하기가 상당히 랭킹에 유리하게 적용되었다. 그래서 피파랭킹 첫 1위는 피파랭킹이 생겨나기 전의 마지막 월드컵인 1990년 월드컵에서 우승한 독일이 차지했다.

이 허점을 파고들어서 주로 아시아의 약팀들과 경기를 붙으며 차곡차곡 승리를 쌓았던 대한민국일본이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직전 피파 랭킹에서 각각 17위와 9위에 올랐다. 당연히 FIFA랭킹과 실제 실력은 따로 놀았기 때문에 대한민국과 일본은 무승을 기록해 조별리그 최하위를 광탈했다. 당시 강팀 아르헨티나는 19위였고 네덜란드는 25위였다.

이러다 보니 실제 실력과 연관성이 전혀 없는 등 말이 많아서1998 프랑스 월드컵 이후 피파 랭킹 산정 방식이 개정되면서 이 논란은 사라지게 된다.

===# 1998 프랑스 월드컵~2006 독일 월드컵 이전 #===
A매치 경기의 승점으로 점수를 매겨서 랭킹으로 환산한다. 랭킹에 상관없이 패배할 경우 랭킹이 내려간다.

어쨌든 간에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간단히 설명하자면,
  1. 강한 대륙에 속해 있으면 유리하다.
  2. A매치 경기를 많이 해서 많이 이기면 유리하다.
  3. 큰 대회(특히 FIFA 주관 컵대회)에서 많이 이기면 유리하다.
  4. 원정경기에서 이기면 유리하다.
  5. 최근에 많이 이기면 유리하다.
  6. 자기보다 FIFA 랭킹이 높은 국가를 꺾을수록 유리하다.

===# 2006 독일 월드컵 이후~2018 러시아 월드컵 이전 #===
2006 독일 월드컵 이후 개정된 피파 랭킹에서는 지난 8년간의 경기를 기준으로 집계되던 것이 지난 4년간으로 대폭 축소시켰다. 또한 모든 대륙에게 똑같은 점수를 부여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대륙별로 차등해서 점수를 주는 방식으로 변경된 것. 2006 독일 월드컵 이후부터 2010 남아공 월드컵 본선 당시까지 적용된 대륙별 포인트는 유럽>남미>아프리카>북중미>아시아>오세아니아 순서다.

또한 2006 FIFA 월드컵 독일 당시는 미국이 4위, 멕시코가 6위까지 오르며, 개최국도 우승 후보도 아닌 멕시코가 톱시드가 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2]

대륙별 차등 방식은 문제가 매우 큰데 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같은 팀이 여기서 괴이할 정도로 고평가를 받기 때문이다. 남미가 아닌 이상 모든 대륙은 각 팀 당 편차가 매우 심하며 그 중 유럽이 가장 심한데 이를 생각하지 않은 처사였다.

2013년에는 브라질이 피파 랭킹 20위권대까지 추락했다. 2014년 월드컵 개최국으로서 지역 예선에 참가하지 않기 때문에, 월드컵 지역 예선 포인트를 쌓을 수 없어서 생긴 현상으로 피파 랭킹의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2013년 6월 당시 브라질의 피파 랭킹이 22위였는데 2011 코파 아메리카 성적이 최근 2년 이내에 포함된다. 하지만 대륙컵을 ×3.0배로 피파랭킹에서 중요하게 반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브라질은 8강에서 탈락하였다. 게다가 코파 조별예선 성적 역시 부진하였다. 즉, 최근 2년 내의 성적이 ×0.5배인데다 대륙컵 성적 가중치가 ×3.0배였음에도 브라질의 성적이 부진하였기 때문에 피파 랭킹 평균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가중치가 ×1.0배인 친선전만 치르고 있는 상황인 데다가 친선전에서도 패한 경우가 있어서 브라질의 피파 랭킹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그리고 피파랭킹 22위까지 추락한 브라질은 대륙컵 본선처럼 가중치가 ×3.0배가 반영되는 컨페드컵에서 조별리그부터 결승까지 5전 전승을 하면서[3] 상당한 포인트를 얻게 되었고 이 덕분에 번개같이 9등으로 치솟아 올랐다.

일부 대륙에서는 피파 랭킹에 의해 지역예선 참가방식 자체가 달라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의 경우 53개국 중 피파 랭킹 기준으로 하위 10개국만 0차 예선을 치러서 48개국을 맞추며, 북중미의 경우 역시 피파랭킹으로 잘라서 반 정도는 역시 0차 예선을 치른다. 월드컵 본선에서는 개최국 대표팀과 더불어 개최국 대표팀을 제외한 피파 랭킹 상위 7개국에 톱시드를 부여한다.

많은 개정이 이루어졌지만, 아시아와 북중미 지역에서는 유독 신뢰도가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북중미의 경우에는 멕시코, 미국 등의 상위권 팀을 제외한 중상위권 - 중위권 팀들의 피파 랭킹이 실력에 비해 높게 나오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는 북중미 중상위권 - 중위권 팀들이 아시아 중상위권 - 중위권 팀들에 비해 피파 랭킹 올리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하기 때문이다. 피파 랭킹은 대회 가중치를 많이 반영하는데, 월드컵 본선 4배, 대륙컵 본선 및 컨페더레이션컵 3배, 대륙컵 예선 및 월드컵 지역 예선 2.5배, 친선전 1배다.

반면 북중미의 경우에는 가중치 3배인 대륙컵 본선을 2년마다 개최하고 게다가 대륙컵 예선 역시 아시아보다 더 자주 치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아시아의 경우에는 가중치 3배인 대륙컵 본선을 4년마다 개최하고 대륙컵 예선 역시 북중미보다 적게 치른다. 또한 북중미의 경우 상대적으로 아시아에 비해 돈이 많기 때문에 피파랭킹 평균 순위를 올리는 목적으로 작정하고 대회를 더 치를 수 있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북중미 중상위권-중위권팀들의 피파랭킹이 아시아 중상위권-중위권팀들의 피파랭킹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올 수밖에 없다.

반면, 아시아의 경우에는 피파 랭킹과 별개로 실제 실력은 북중미보다 평균적으로 더 강한 편이다.[4]

어쨌든간에 약간 논란이 있는 피파랭킹이지만 국제축구연맹에서는 지속적으로 FIFA 랭킹의 공신력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예로 2010년 남아공 월드컵부터 톱시드 배정이 오로지 피파 랭킹을 통해서만 이루어졌다는 점을 들 수 있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 톱시드 배정에서는 당시 우승 후보로 분류되지 않았던 스위스, 벨기에, 콜롬비아가 포함되었다.[5]

그리고 전통의 축구 강호인 이탈리아, 잉글랜드, 네덜란드프랑스가 톱시드에서 모두 떨어졌다. 이는 대회 운영과 피파 랭킹의 유기적 연계를 대폭 강화함으로써, 장기적으로 피파랭킹의 권위와 중요도를 높이려는 국제축구연맹의 조치라고 볼 수 있다.

2015년 AFC 아시안컵의 경우 피파 랭킹을 통해서 포트 배정을 했다.[6] 여기서 제대로 피 본 게 호주. 이는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아시안컵 본선 4대 우승후보 중 하나였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2013년~ 2014년 02월까지의 a매치 성적이 상당히 좋지 않은 탓[7]에 피파랭킹 평균 점수가 상당히 깎인 탓에 2포트로 밀려서 같은 조에 편성됐던 것이다. 게다가 아시안컵 본선 조별 리그 3차전에서 한국에게 1대 0으로 패한 바람에 1등도 놓치고 상대적으로 더 유리한 우승루트를 한국에 내주었다.[8] 물론 결승전에서 되갚아주었다.

참고로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아시아)도 피파 랭킹에 근거해서 시드 배정과 추첨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조 추첨식도 대륙 우선에서 피파 랭킹 우선으로 바뀌었다.

2.1. 2018 러시아 월드컵~현재

피파랭킹 시스템에 대륙별 유불리가 없고 강팀을 상대로 경기를 하면 승리를 높게 쳐주고 패배도 참작해주는 엘로 레이팅 방식이 도입된다는 발표가 나왔다. 당시 피파랭킹 1위였던 독일을 상대로 2:0으로 승리(카잔의 기적)함에 따라 한국이 20위권까지 올라가서 차후 시드 배정에서 유리해질 것으로 예상돼서 축구 팬들과 스포츠 뉴스가 떠들썩했다. 하지만 기사에 나오듯이 2018년 8월에 나온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피파랭킹 순위는 57위로 동일했다. eloratings.net처럼 2018년 월드컵 이전 수십 년의 모든 경기까지 소급 계산하고 골 득실도 감안하면 20위권이 될 수도 있었겠지만, 피파 랭킹은 소급 적용을 하지 않고 골득실 계산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57위가 유지된 것이다.

AFC 상위 다섯 팀의 피파 랭킹은 월드컵 직전 2018년 6월 기준 36, 37, 57, 61, 67위(평균 51.6위)이었지만 방식이 변경되고 약 4년이 지난 후 카타르 월드컵 직후 2022년 12월 피파 랭킹은 20, 24, 25, 27, 49위(평균 29.0위)로 상당히 많이 올랐다. 다섯 국가의 경기력이 큰 변화가 없는데도 이런 큰 상승 폭은 산정 방식 문단에 적혀있듯이 기존 피파 랭킹 제도가 아시아 국가들에게 있어 상당히 불리하게 적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런 랭킹 상승이 가장 극명하게 체감되는 것이 월드컵 포트 배정이다. 2018 러시아 월드컵부터 포트 배정 방식이 FIFA 랭킹 순으로 완전히 변경되었는데 포트별 커트라인은 밑의 표와 같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포트 배정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조 추첨
(포트별 하위 2팀만 기재)
포트1 포트2 포트3 포트4
... ... ... ...
파일:FIFA WORLD CUP 2018 POL.png 폴란드
(6위)
파일:FIFA WORLD CUP 2018 URU.png 우루과이
(17위)
파일:FIFA WORLD CUP 2018 SEN.png 세네갈
(32위)
파일:FIFA WORLD CUP 2018 KOR.png 대한민국
(62위)
파일:FIFA WORLD CUP 2018 FRA.png 프랑스
(7위)
파일:FIFA WORLD CUP 2018 CRO.png 크로아티아
(18위)
파일:FIFA WORLD CUP 2018 IRN.png 이란
(34위)
파일:FIFA WORLD CUP 2018 KSA.png 사우디아라비아
(63위)
※ 위 포트 배정은 2017년 10월 기준 FIFA 랭킹에 따른 것임.
2포트의 커트라인은 18위, 3포트의 커트라인은 34위로 지역 예선이 진행중이던 2021년 9월 시점에서 커트라인 34위보다 높은 아시아 국가가 3팀이나 있다. 삼국의 진행 과정은 한국의 3포트 가능성 문서 등 참조. 2017년은 2014년과 같이 대한민국 축구의 부진으로 피파랭킹이 낮은 것을 감안해야하지만, 그래도 너무 낮다.

최종적으로 3팀(이란, 일본, 한국)이 3포트에 배정되는 데에 성공했고 조 추첨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 이 역시 기존 피파 랭킹이 아시아 국가들에게 불리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론상, 확률상 그렇다는 것뿐이고 결국 뚜껑을 열어보니 생각보다 이득을 못봤다.[9]

2024년 기준, 12조×4포트로 열리는 2026 월드컵에서는 한국, 일본, 이란 모두 밑에 3, 4포트를 두고 갈 수 있는 2포트가 유력하다. 이 중 일본과 이란은 32강 체제였어도 2포트에 충분히 들어갈 수 있는 순위다.

각종 대회의 시드가 FIFA 랭킹을 기준으로 하는 것은 2015년부터 변함 없다.

3. 산정 방식

===# 1993년 8월~1998년 프랑스 월드컵 #===
내용이 너무 적으므로 사례 문단에서 몰아서 서술한다.

===# 1998 프랑스 월드컵~2006 독일 월드컵 이전 #===
A매치 경기의 승점으로 점수를 매겨서 랭킹으로 환산한다. 랭킹에 상관없이 패배할 경우 랭킹이 내려간다.[10]

어쨌든 간에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간단히 설명하자면,
  1. 해당 팀이 가중치가 높은 대륙(남미, 유럽)에 속해 있으면 유리하다.
  2. A매치 경기를 많이 해서 많이 이기면 유리하다.
  3. 큰 대회(특히 FIFA 주관 컵대회)에서 많이 이기면 유리하다.
  4. 최근 경기에서 많이 이기면 유리하다.
  5. 해당팀이 자신의 팀보다 FIFA 랭킹이 높은 팀을 상대로 승리할수록 유리하다.

===# 2006 독일 월드컵 이후~2018 러시아 월드컵 이전 #===
위의 방식이 논란이 많아서, 2006 독일 월드컵 이후부터 많은 개정이 이루어졌다.

먼저 경기가 끝나면 그 경기에 대한 매치 포인트를 부여한다. 매치 포인트는 경기결과, 중요도, 상대팀 점수, 대륙별 가중치를 곱하여 결정된다.

매치 포인트 = 경기 결과[13] * 경기 중요도[14] * 상대팀 점수[15] * 대륙별 가중치[16]

현재 FIFA 랭킹과 관련 없이 예시를 들어 보자면,
예시1) 브라질이 친선 경기에서 아르헨티나(피파랭킹 2위)와 무승부한 경우
1(경기결과) * 1(경기 중요도) * 198(상대팀 랭킹) * 1 (대륙별 가중치) = 198
예시2) 한국이 월드컵 본선에서 독일(피파랭킹 1위)에 승리한 경우를 생각하면 된다.
3(경기결과) * 4(경기 중요도) * 200(상대팀 랭킹) * 0.92(대륙별 가중치) = 2208
예시3) 사우디가 아시안컵 본선에서 호주(피파랭킹 102위)에게 패배한 경우
0(경기결과) * 3(경기 중요도) * 98(상대팀 랭킹) * 0.85(대륙별 가중치) = 0

상술된 예시와 같이 경기별 매치 포인트를 계산하고[17], 데드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12개월 단위로 매치 포인트의 평균을 낸다. 이후 각각의 점수에 기간별 가중치[18]를 적용한 뒤 모두 더한다. 예시를 들어 보면,
(기간 뒤의 점수는 경기별 매치 포인트)
최근 12개월: 108.8, 0, 387.6, 114.75, 112.2 - 평균 144.67
최근 24개월: 0, 800.7, 1086.3, 632.4, 872.1, 0, 742.05, 826.2 - 평균 619.97
최근 36개월: 162.84, 374.85, 158.18, 0, 0 - 평균 139.17
최근 48개월: 0, 1264.8, 0, 0, 127.5 - 평균 278.46
이 경우 기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면 각각 144.67, 309.98, 41.75, 55.69가 된다. 이를 더하면 이 국가의 피파 랭킹 점수는 552.09가 된다.

상기된 사항대로 각 국가별 피파 랭킹 점수를 계산한 뒤, 순서대로 정렬하면 피파 랭킹이 된다.

설명이 복잡하므로 이를 요약하면,
  1. 패하면 랭킹에 악영향을 준다.[19]
  2. 친선전보다 중요한 경기(월드컵, 대륙컵)에서 승리할 시 랭킹에 유리하다.
  3. 피파랭킹 1위에게 패배하나 전세계 피파랭킹 꼴지에게 패배하나 동일하다.[20]
  4. 경기를 하지 않아도 점수가 오르거나 떨어질 수 있다.[21]
  5. 승리해도 오히려 점수가 떨어질 수 있다.[22]

이 랭킹 계산법에는 문제점이 있는데, 12개월 간 A매치 경기 전적이 없던 국가가 단 한 경기만 치러 그 점수를 많이 획득했다면 전체 점수가 매우 뻥튀기되어 상위 랭크에 있게 된다. 또한 12개월 단위로 끊어 점수를 내기 때문에 최근 12개월 안에 중요한 경기에서 많이 이겨 점수를 많이 획득했다면 그 뒤에는 경기를 하면 이겨도 오히려 점수가 깎이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또한 해당 대륙의 약팀과의 경기를 고려하지 않은 대륙별 가중치 때문에 유럽국가나 남미국가들은 다른 대륙의 국가에 비해 점수의 이득을 보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월드컵 본선에서의 성적이 가중치가 무려 4배나 될 정도로 피파 랭킹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특히 2010 FIFA 월드컵 남아공부터는 월드컵 결승에 진출하면 아무 계산 없이 직접적인 점수를 추가로 준다.둘 다 계산과는 상관없이 따로 지급되는 점수이다. 이 때문에 월드컵이 끝난 바로 다음 달에는 그 월드컵 우승국이 1600~1700대의 넘사벽 FIFA점수를 달고 FIFA랭킹 1위를 차지한다. 2010년 8월의 스페인이 그랬고 2014년 8월의 독일이 그랬다. 물론 2006년의 이탈리아처럼, 우승을 하고도 8강에 그친 브라질을 넘지 못해 2위에 그친 경우도 있다.

3.1. 2018 러시아 월드컵 이후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이후 엘로 레이팅 시스템을 피파랭킹에 활용한다. fifa.com의 바뀐 방식엘로 레이팅 문서와 상당히 겹치니 참고하면 좋다. 기존의 방식은 2018년 6월까지 쓰고 7월은 건너뛰어 8월부터 새로운 방식을 사용한다.
1. 랭킹 방식의 전환을 위해 2018년 6월 랭킹 1위는 1600점, 2위는 1596점, 3위는 1592점, ···, 100위는 1204점, ···, 200위는 804점 등을 우선 부여받는다. 그런 뒤 2018 러시아 월드컵 경기부터 계산을 한다.
1. 새 점수=원래 점수+중요도*(경기 결과-예상된 경기 결과)
1. 2번 항목의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기준]{{{#!folding [ 중요도 펼치기 · 접기 ]
05: A매치 데이 외의 친선 경기
10: A매치 데이의 친선 경기
15: 네이션스 리그 조별리그 경기
25: 네이션스 리그 결선 토너먼트 경기 혹은 대륙컵이나 FIFA 월드컵의 지역 예선 경기
35: 대륙컵 본선 8강 미만 경기
40: 대륙컵 본선 8강 이상 경기 혹은 FIFA 컨페드컵 경기
50: FIFA 월드컵 본선 8강 미만 경기
60: FIFA 월드컵 본선 8강 이상 경기}}}경기 결과 승 1, 무승부 0.5, 패 0, 승부차기 승 0.75, 승부차기 패 0.5
예상된 경기 결과 1/(10^((상대 팀의 원래 점수-내 팀의 원래 점수)/600)+1)
1. 예시
1500점의 A가 FIFA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1300점의 B를 이겼다. 이때 A팀과 B팀의 새 점수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A: 1500+25*(1-1/(10^((1300-1500)/600)+1))=약 1500+8=약 1508
B: 1300+25*(0-1/(10^((1500-1300)/600)+1))=약 1300-8=약 1292
1. 예외 조항
* 토너먼트 2연전의 두 번째 경기처럼, 정규 시간 혹은 추가 시간 내에 경기를 승리(혹은 패배)했지만 다음 라운드의 진출자를 가리기 위해 승부차기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다.[예시] 이 경우 승부차기 승패가 아니라 보통의 승패로 간주되어 승은 경기 결과 1, 패배는 경기 결과 0으로 계산한다.
* 대륙컵과 월드컵 본선의 토너먼트 라운드에서 점수를 잃어야 하는 경우, 예외적으로 점수를 잃지 않는다.[이유]

참고로 예전부터 기존 피파 랭킹의 문제점에 반발해서 별개로 엘로 레이팅 랭킹을 계산하는 사이트가 있었다. eloratings.net이라든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권 국가들의 엘로 레이팅 랭킹을 보면 개정 이전 피파 랭킹보다 10위 정도 높은 순위를 유지했는데 이는 기존 피파 랭킹 제도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대륙별 가중치로 인해 아시아 국가들에게 상당히 불리하게 적용되었음을 보여준다.

2021년 1월에 확인한 결과 그 당시에는 발표되지 않았고 발표되지 않을 거라고 나무위키에도 적혔던 fifa.com 2018년 7월 피파 랭킹이 어느 샌가 발표되어 있다. 더 이상한 것은 점수가 뜬금없게 변했다는 점이다. 원래의 발표대로라면 6월 7일 브라질 2위 1431점 -> 8월 16일 브라질 (2위였기 때문에 시드 1596점이 previous point) 3위 1657점으로 문제가 없다. 그런데 7월 1일 발표를 보면 브라질 (2151점이 previous point) 4위 2160점이라고 상당히 뜬금없는 숫자가 나왔다. 6월의 현재 점수와 7월의 previous 점수가 맞지도 않고, 600점 가량 갑자기 상승했고, 8월의 시드 기준과도 맞지 않다.

2021년 4월 7일 발표된 피파 랭킹부터는 소수점을 계산하지 않던 이전 방식에서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계산하는 방식으로 바뀌어서 정확성을 높였다. 동점이 나오는 경우도 줄었다. fifa.com 뉴스

4. 역대 피파 랭킹

4.1. 역대 피파 랭킹 1위

1993년에 피파 랭킹이 신설된 이래 첫 1위의 영광은 독일이 차지했으며, 이후로 현재까지 8개국이 1위를 했다. 피파 랭킹 1위를 차지한 적이 있는 국가들은 아래를 참고. 벨기에네덜란드를 제외하면 모두 월드컵 우승 경험국이며, 벨기에는 역대 피파 랭킹 1위를 차지한 국가 중 유일하게 월드컵 결승 진출이나 소속 대륙컵에서 우승한 기록이 없다. 반대로 월드컵 우승 경험국 중 잉글랜드우루과이만 1위를 해 본 적이 없다. 역대 가장 많이 1위를 차지한 국가이자 최다 연속 1위 기록을 가지고 있는 팀은 브라질이다.
월드컵 직전까지 1위던 스페인이 1승 2패 32강 조별리그 탈락(23등)하며 6승 1무 우승팀 독일이 1위이 올랐다.
2015년 10월 9일의 대참사[28]로 인해 독일, 아르헨티나의 랭킹 포인트가 하락했다. 그 덕에 벨기에는 2015년 10월 피파 랭킹에서 사상 처음으로 FIFA 랭킹 1위를 찍게 되었다. 벨기에가 다른 1위 유경험국들과 다른 점은 월드컵 본선 결승에 진출한 적이 한번도 없다는 점이다. 벨기에의 역대 최고 성적은 1986 멕시코 월드컵 본선 4위이고 이후 2018 러시아 월드컵 본선 3위이다. 벨기에가 세계대회에서 유일하게 우승한 것은 월드컵이 생기기 전 1920년 A매치 올림픽 축구 금메달(우승)이 유일한 우승이다.아르헨티나가 지역 예선에서 콜롬비아-칠레-볼리비아를 연파하면서 1위 자리를 탈환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이후 예선에서 난조를 보였고 그사이에 방황하던 브라질이 2016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살아나면서 7년만에 피파 랭킹 1위에 올랐다.2017년 6월자 피파 랭킹 TOP5는 죄다 남미만 들어간 와중에 유럽은 독일만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1위 브라질, 2위 아르헨티나, 3위 독일, 4위 칠레, 5위 콜롬비아였다. 그러다가 독일이 2017 컨페더레이션스 컵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2년만에 피파 랭킹 1위자리를 탈환하였다. 당시 점수 차이가 크지 않아서 8월 랭킹에선 다시 브라질이 1위에 올랐지만 9월부터는 계속 독일이 피파 랭킹 1위 자리를 고수하는 중이다.2018년 8월, 2018 러시아 월드컵 본선에서 독일이 1승 2패로 32강 조별리그 탈락(22등)하며 수직낙하했고 12년[29]만에 10위권대로 떨어지는 굴욕을 당하게 되었다. 월드컵 우승팀 프랑스가 한일월드컵 이후로 무려 16년만에 1위를 되찾았다.

2018년 9월, 프랑스와 벨기에가 나란히 1위를 찍으면서 25년 역사 최초로 피파 랭킹 공동 1위가 탄생했다.[30]

이렇게 2014년~2018년 동안에는 많은 국가들이 돌아가면서 1위를 차지했다. 하단의 표 참조.계속 벨기에가 1위를 고수 중이지만 랭킹치고는 월드컵과 유로에서 성적이 애매해서 거품이라는 비아냥이 많다. 일반인들은 대회 우승 트로피를 제외한 모든 성적을 무시해버리지만, 사실 피파 랭킹 포함 대부분의 랭킹 시스템은 벨기에의 평소 월드컵 지역 예선, 대륙컵 지역 예선, 친선전의 전승 행진을 고려하기 때문에 랭킹이 높은 것이 당연하다. 특히 벨기에는 2014 ~ 2018월드컵에서 본선에서 연속으로 획득한 총 승점이 30점[31]으로 월드컵 평균 우승 승점 20점을 훨씬 넘었다.

애초에 벨기에의 2018 월드컵 4위도 아닌 3위 성적은 애매하지도 않고 아주 좋은 성적이다. 그때 벨기에는 우승후보 브라질과 잉글랜드를 이기며 월드컵 3위를 기록했다. 세부 성적을 살펴보면 1위 프랑스 6승 1무, 2위 크로아티아 4승 2무 1패, 3위 벨기에 6승 1패로 더더욱 사람들의 인식보다 성적이 좋다.
2022년 3월, 브라질이 2017년 8월 이후 4년 7개월 만에 FIFA 랭킹 1위를 기록했다.

2022년 12월, 브라질은 2018월드컵 8강(7등)했으나, 1위를 유지했다. 이에 대해 딱히 말이 없는 걸 보면 벨기에가 까이던 건 단지 추상적인 약체 이미지 때문인 걸로 보인다. 참고로 월드컵 우승을 한 아르헨티나는 단 2점 차이로 2위.[32]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우승한 아르헨티나가 4월 피파랭킹에서 1위에 올라섰으며, 월드컵 8강 탈락(7위)에 이어 A매치에서 모로코에게 충격패를 당한 브라질은 3위로 추락했다.
2024 유로에서 우승한 스페인이 11년 만에 피파 랭킹 1위를 2025년 9월에 탈환했다. 아르헨티나도 2024 코파 아메리카를 우승했으나 그 이후 아르헨티나는 고전한 반면 스페인은 대부분의 경기에서 승리하며 1위를 가져왔다. 아르헨티나는 9월에 3위로 떨어졌으나 2위였던 프랑스가 2026년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아이슬란드와 비기는 바람에 아르헨티나가 2위로 올라섰고 프랑스가 3위로 떨어졌다.
범례
색깔[33] FIFA 월드컵 우승 횟수[A] 역대 최저 랭킹
브라질 ★★★★★ 22
스페인 25
아르헨티나 ★★★ 24
벨기에 최고성적 3위 1회 71
독일 ★★★★ 22
프랑스 ★★ 27
이탈리아 ★★★★ 20
네덜란드 최고성적 준우승 3회 32
역대 1위
년/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992 FIFA 랭킹 도입 이전
<colbgcolor=#f5f5f5,#2e2f34>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5. 여담

역대 FIFA 랭킹 1위 또는 FIFA 월드컵 우승을 기록한 나라들 중 브라질, 아르헨티나는 월드컵이 32강 조별리그 시절 단 한 번도 톱시드를 놓쳐본 적이 없다. 이탈리아는 2014년(우루과이)에 비톱시드, 우루과이는 2002년(프랑스), 2010년(남아프리카공화국 - 개최국), 2018년(러시아 - 개최국), 2022년(포르투갈)에 비톱시드, 프랑스는 2010년(남아프리카공화국 - 개최국), 2014년(스위스)에 비톱시드, 잉글랜드는 2002년(아르헨티나), 2014년(우루과이), 2018년(벨기에)에 비톱시드, 스페인은 2018년(포르투갈)에 비톱시드, 네덜란드는 2006년(아르헨티나), 2014년(스페인), 2022년(카타르-개최국)에 비톱시드, 벨기에는 2002년(일본-공동 개최국)에 비톱시드, 독일은 2022년(스페인)에 비톱시드였다.

6. 같이 보기


[1] 가장 논란이 많은 내용. 대륙 예선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유럽 팀들과 붙는 유럽 중위권 팀들이 아시아나 아프리카의 최상위권 팀보다 랭킹이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자주 있다.[2] 실은 2006 독일 월드컵 조 추첨 이전에 멕시코가 톱시드를 받을 수 있었던 건 당시에 톱시드를 선정할 때 지난 두 번의 월드컵 성적과 2005년 10월 피파 랭킹 성적을 반영한 종합 점수를 활용했는데 멕시코는 이 점수가 톱시드를 받을 수 있는 순위에 해당했기 때문이었다.[3] 당시 결승전 상대였던 스페인을 3:0으로 완파했다.[4] 이는 아시안컵 본선과 북중미 골드컵 본선을 비교하면 알 수 있다. 아시안컵 본선의 경우에는 우승팀이 다양하게 나오지만 북중미 골드컵 본선의 경우에는 과거와 달리 1990년대부터는 2002 골드컵 우승팀인 캐나다를 제외한 나머지 대회 모두 미국과 멕시코 양대산맥이 우승을 나눠 먹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멕시코의 경우 코파 아메리카 초청이나 컨페더레이션스컵 참여와 골드컵 시기가 별로 차이가 나지 않을 때 코파 아메리카와 컨페더레이션스컵 때 1군 위주로 보내고 골드컵 때는 1.5~2군으로 출전한 적이 종종 있는 데다 4강에 진출한 적도 상당하다. 게다가 북중미 골드컵은 피파 비회원국이 4강에 진출하는 사례가 종종 있을 정도다.[5] 물론 2014 브라질 월드컵 본선 조추첨 당시에 벨기에와 콜롬비아의 경우에는 우승 후보로 주목받았던 브라질, 독일, 아르헨티나, 스페인 등을 위협할 수 있는 다크호스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스위스의 경우에는 2013년 10월 피파 랭킹이 7위였는데, 지역예선 성적으로 보면 충분히 탑시드를 받을만한 성적을 보였지만 유로 2012 예선때 탈락해서 유로 2012 본선에 진출하지 못한 점과 지역예선 당시 스위스가 e조에 배정받았는데, e조가 다른 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꿀조에 가까웠다는 점 등으로 인해 탑시드에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는 의견이 상당수였다.[6] 2014년 03월 13일 피파랭킹 기준으로 포트 배정을 함[7] 2014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마지막 경기인 이란과의 홈 경기 패배도 있었고 더욱이 가중치가 ×1배인 2013 동아시안컵에서 2무 1패로 부진한 것이 상당했기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피파 랭킹 평균에 악영향을 주었다.[8] 단, 그 당시에 호주가 설령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해도 어디까지나 타 토너먼트 라인에 비해 다소 유리한 것이지, 마냥 꿀라인은 절대 아니었다. 왜냐하면 4강 대진이 c조 1위vs d조 2위 경기의 승자와 대결하는데, 당시 c조 1위가 이란이었고 d조 2위가 이라크였다. 즉, 이란이 이라크에게 발목잡히지 않았다면 4강전 상대는 2015 아시안컵 본선 개막 직전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던 이란이었을 가능성이 있어서 쉽지 않았으며 또한 2015 아시안컵 본선 당시 이라크 전력이 이란에 비해 약했지만 아시안컵 본선에서는 나름 강자의 모습을 보여준 적이 종종 있었기 때문이다.[9] 대한민국은 4포트 가나와 만났으나, 새로운 귀화 선수들 때문에 생각보다 고전했고 결국 패배했다. 2023 네이션스컵에서 가나가 조별리그에서 광탈한 걸 생각하면 오묘한 부분이다. 그러나 2포트와는 무승부, 1포트는 아예 이겼다. 일본은 4포트 코스타리카와 만났으나, 코스타리카는 애초에 3포트 실력인데 코로나 때문에 일정이 꼬여 어거지로 4포트가 된 것이니 이득은 커녕 손해만 봤고 결국 패배했다. 대신 1,2포트를 찢어버렸다 이란은 4포트 웨일스와 만났으나, 웨일스 역시 당시 랭킹 18위로 2~3포트 실력인데 유럽 플레이오프 진출 국가 중 랭킹 순위가 제일 낮아 4포트가 된 것 뿐이기 때문에 이득은 커녕 손해만 봤다.[10] 이는 패배할 경우 피파 랭킹 평균에 악영향을 미치며 뿐만 아니라 상대평가 방식으로 적용되기 때문이다.[11] 가장 논란이 많은 내용이다. 대륙 예선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유럽 팀들과 붙는 유럽 중위권 팀들이 아시아나 아프리카의 최상위권 팀보다 랭킹이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자주 있다.[12] 물론 이 해당 대륙의 전력은 4년마다 개최되는 월드컵 본선에서 각 대륙별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월드컵 본선 이후 대륙별 가중치가 다소 달라진다.[13] 승리 3점, 승부차기 승리 2점, 승부차기 패 혹은 무승부 1점, 패배 0점[14] 친선전 1점, 월드컵 혹은 대륙컵(유로, 아시안컵 등) 예선 2.5점, 대륙컵 본선 혹은 컨페더레이션스컵 3점, 월드컵 본선 4점이다.[15] 200 - 상대팀 랭킹, 예외로 1위는 200점이고, 최소점수는 50점이다.[16] 양 국가의 가중치를 더한 뒤 2로 나누는데 가중치는 월드컵 이후 변경된다. 남미 1, 유럽 0.99, 그 외 0.85[17] 이때 상대팀 랭킹은 경기를 한 날 당시의 랭킹을 기준으로 한다.[18] 12개월내 100%, 24개월내 50%, 36개월내 30%, 48개월내 20%다.[19] 그 경기의 점수가 0점이므로 평균에 악영향을 끼친다.[20] 동일하게 0점 처리.[21] 시간이 흘러 데드 라인이 달라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 48개월이 지난 경기는 점수 계산에서 빠지고, 25~36개월에 해당하던 경기가 37~48개월에 해당하는 등의 이유 때문이다.[22] 가중치가 높은 경기에서 승리를 많이 하여 평균 점수가 높은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가중치가 낮은 경기를 할 경우.[한국기준] I=5 A매치 데이 밖의 친선 경기(동아시안컵 등)
I=10 A매치 데이의 친선 경기
I=25 FIFA 월드컵 지역예선 경기
I=35 AFC 아시안컵 본선 조별리그&16강 경기
I=40 AFC 아시안컵 본선 8강 이상 경기
I=50 FIFA 월드컵 본선 조별리그&16강 경기
I=60 FIFA 월드컵 본선 8강 이상 경기
[예시] 예를 들어 1차전에서 1:2 패배를 하고 2차전에서 2:1 승리를 거둘 경우 합계 3:3이기 때문에 승부차기를 진행해야 한다.[이유] 이런 예외 조항을 적용하지 않을 시 토너먼트에 올라가는 것이 더 랭킹에 불리한 경우가 나오기 때문이다. 카타르 월드컵 H조에서 대한민국과 우루과이 모두 1승 1무 1패를 기록했지만 다득점 때문에 대한민국은 16강에 진출했고 우루과이는 탈락했다. 이때 예외 조항이 없었다면, 16강에서 브라질에게 패배한 한국은 추가적으로 점수를 잃을 것이고 상위 라운드에 진출했기 때문에 점수가 까이는 부조리가 발생할 수 있다.[26] 2018 월드컵 개최국인 러시아는 예선전을 못 뛰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평균 점수는 1(친선전 중요도)*x(승패에 따른 변동)였고 다른 국가들의 평균 점수 획득은 2.5(예선전 중요도)*y(승패에 따른 변동)이었다. 개최국의 점수가 2.5배 낮다고 봐도 무방하고 이 때문에 월드컵을 8강으로 끝마친 강팀 러시아는 피파랭킹 65위로 대회를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바뀐 방식에서는 개최국이든 아니든 평균 점수는 정확히 0이므로 유불리가 없다.[27] (1-1/(10^((1855.2-741.61)/600)+1))[28] 브라질이 칠레에게, 독일이 아일랜드에게, 아르헨티나가 에콰도르에게 연달아 덜미를 잡히는 대사건이 벌어졌다.[29] 2006년 독일 월드컵 개최국이라 A매치인 월드컵 지역 예선을 치르지 않아서 최저 22위까지 찍었었지만 '독일 월드컵에서 최종순위 3위를 기록하고부터 2018 러시아 월드컵 직전까지 쭉 숫자 한자리에서 내려간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30] 점수는 같지만 소수점까지 계산할시 벨기에가 1위다.[31] 2014월드컵 12점 + 2018월드컵 18점[32] 한 번도 안 지고 우승하면 1위가 보장되지만 아르헨티나의 경우 32강 조별리그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게 졌기 때문에 이렇게 된 것이다. 거기다 네덜란드와 프랑스는 승부차기 승리여서 무승부까지 감안한다면 아르헨티나가 이번 월드컵에서 승리한 횟수는 단 4회 정도 뿐이다.[33] 해당팀의 유니폼 색깔에 준한다.[A] 2022년 12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