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02 22:42:42

프롭 헌트

프롭헌트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Roblox의 게임}}}에 대한 내용은 [[Prop Hunt]]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Prop Hunt#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Prop Hunt#|]]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Roblox의 게임: }}}[[Prop Hunt]]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Prop Hunt#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Prop Hunt#|]]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팀 포트리스에서
2.1. 진행 방법
2.1.1. 레드2.1.2. 블루
2.2. 각 팀의 전략전술
2.2.1. 레드2.2.2. 블루
3. 콜 오브 듀티 시리즈에서의 프롭 헌트


Prop Hunt

1. 개요

한 팀은 맵의 소품(프롭, Prop)으로 요령껏 위장 및 잘 숨어다니고, 반대쪽 팀은 제한시간 내에 프롭으로 위장한 상대 팀 플레이어를 모두 찾아 섬멸하는 게임 플레이 방식이다. 플레이어 캐릭터의 3D 모델을 소품(Prop)으로 대체하여 숨바꼭질 규칙을 적용한 게임 모드는 과거 카스 1.6 시절부터 존재한, 상당히 유서 깊은 커스텀 게임 모드이다.

팀 포트리스 2의 커스텀 게임 모드 중 하나로도 존재한다. 아레나 모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레드 팀은 블루 팀을 피하여 숨거나 도망치며 라운드가 끝날 때까지 생존하고 블루 팀은 레드 팀을 찾아내서 몰살시키는 모드이다. 이후 팀포2와 같은 밸브사 유통 게임인 게리모드의 애드온으로도 추가되었고 포트나이트콜 오브 듀티 시리즈같은 유명 슈터 게임에서도 차용해갔다. 본 게임 내에서는 할로윈 맵인 Ghost Fort의 보스 메라즈무스의 공격 패턴 중 하나로 차용되었다.[1]

국내에서는 이 프롭헌트 룰을 그대로 갖다 베낀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2숨바꼭질 모드로 익히 알려진 장르이다.

2. 팀 포트리스에서

2.1. 진행 방법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레드팀은 생존, 블루팀은 레드팀을 전멸시키는 것이 목적이며 양측은 매 라운드마다 공수를 교대한다. 라운드 시작 시 블루팀은 일정 시간동안 아예 움직일 수 없거나 움직이더라도 스폰룸에 갇히게 되며 그 사이에 레드팀은 맵 이곳저곳에 숨어야 한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블루팀이 이동 및 공격을 할 수 있게 되며 남은 라운드 시간 내로 각 팀은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면 된다. 맵은 전부 아레나 형식의 맵이기 때문에 한 번 죽으면 다음 라운드까지 부활이 불가능하다. 모든 맵에는 점령 지점이 하나씩 있는데 여기에 들어서면 일정 시간마다 체력을 완전히 회복시켜 준다. 블루팀은 공격하느라 소모한 체력을 보충할 수 있고 레드팀은 발각되어 공격받을 때 감소한 체력을 채울 수 있다. 또한 이 모드에서는 중력이 일반 게임보다 좀 더 낮게 설정되어 있어 더 높은 점프가 가능하다.

본 문서는 팀 포트리스를 기준으로 서술되어 있으나, 다른 게임에서도 대체적인 맥락은 같다.

2.1.1. 레드

팀 전원은 강제로 스카웃으로 고정되며 스폰 시 맵상에 존재하는 프롭[2] 중 하나로 변장하게 된다.[3] 어떤 물건으로 변할지는 완전히 복불복이라서 조그마한 양동이로 변하기도 하는가 하면 운이 나쁘면 Mann.co 덤프트럭이나 점령지점(...)으로 변하거나[4] 심지어 일부 맵에서는 거대한 나무 혹은 스트라이더같은 거대 오브젝트로 변신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5] 망했어요

레드팀은 기본적으로 공격이 불가하게 되어 있는 대신 마우스 왼쪽 클릭으로 자신의 모습을 고정하여 시야를 돌려도 몸체가 회전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6]마우스 오른쪽 클릭으로 1인칭과 3인칭 시점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레드팀 최후의 생존자가 되면 블루팀 전원에게 병수도 효과가 걸림과 동시에 공격이 가능해진다. 자신의 모습은 물건 그대로 유지되니 숨어있다가 역관광을 선사해줄 수도 있다. 다만 큰 문제가 하나 있다면 이 때 무기를 지급한 상태로 판정되기 때문에 마지막 생존자는 무기를 들지 않는다는 선택지가 없어서 프롭 근처 허공에 무기가 둥둥 떠있는걸 블루팀이 발견할 수도 있다. 그래서 엄청 잘 숨었거나 한게 아니라면 개활지 등에서 크기가 작은 프롭 등으로 숨어있었다가 무기가 보여서 죽는다(...)

2.1.2. 블루

블루팀은 스카웃, 스파이를 제외한 모든 클래스를 선택 가능하며 일부 무장들은 선택이 불가능하고 몇몇 무기들은 대미지가 너프되어 있다.[7] 대개는 공격을 적당히 끊을 수 있고 공격 적중 시 불이 붙어 눈에 확 띄고 지속대미지를 줄 수 있는 화염방사기를 보유한 파이로를 많이 선택하게 된다.[8] 블루팀이 사방에 무기를 난사해 레드팀을 마구잡이로 학살하지 못하도록 공격 시 체력을 잃게 되며 레드팀 인원을 한 명이라도 처치 및 어시스트하게 되면 체력이 모두 채워지고 해당 라운드 동안 이동속도가 상승[9] 한다. 레드팀의 스카웃들이 이단 점프를 이용하여 높은 곳에 숨을 수도 있기 때문에 파이로에 한하여 점프와 동시에 화염 방사기를 발사하면 하늘 높이 날아갈 수 있다. 물론 이때도 체력은 급속히 줄어드니 꼭 필요할 때만 사용하자.

2.2. 각 팀의 전략전술

2.2.1. 레드

레드 팀으로서 생존이 가능한 유용한 방법들을 서술한다.

자신이 최후의 생존자가 되면 공격이 가능해지는데 이때 판단은 신중하게 하자. 서버에 사람이 많아서 팀당 10명쯤 되는 경우 나가자마자 다굴맞고 순삭당할 수도 있다. 맵이 얼마나 넓은지, 주변 상황은 어떤지 파악하며 계속 숨을 것인지, 공격을 시작할 것인지를 잘 판단하자. 게다가 팀원들을 많이 죽인 술래의 경우 그 이동속도가 스카웃과 동일하므로 주의할 것.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환경의 경우 역관광은 그리 어렵지 않다. 개활지에 한해서 파이로는 스카웃의 밥이기 때문. 게다가 최후의 생존자가 되는 동시에 일정 시간 동안 블루팀 전원에 자라테 효과가 걸리기 때문에 빠른 순삭도 가능하다.

2.2.2. 블루

클래스는 날아다니는 것도 가능하고 공격도 못하는 스카웃을 척살하기 쉬운 파이로를 많이 선택한다. 그 외에는 돌진과 강력한 근접공격을 보유한 데모맨과 디스펜서로 팀원의 체력을 보충하는 엔지니어가 약간 선택되는 정도이며 그 외 클래스는 무기 제한 때문에 거의 선택되지 않는다.

이 외에 헤비와 메딕은 무기 제한 때문에 사실상 잉여 클래스이며 스카웃과 스파이는 선택 불가능으로 되어 있다.
한국 서버의 대부분은 프롭헌트에서 스나이퍼와 엔지니어의 폭발성 화살을 막아버리므로 주의하길 바란다. 그리고 데모의 페르시아는 능력이 변경됐으므로 아이랜더를 쓰는 게 신상에 이로워 졌다. 또는 특정 맵에서는 점착점퍼를 쓰는 걸 추천한다.

3. 콜 오브 듀티 시리즈에서의 프롭 헌트

콜 오브 듀티 시리즈에서는 모던 워페어 리마스터드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이래 여러 작품들에서 모습을 보이는 중이다. 가장 최근에 등장한 작품은 블랙옵스 6. 사실, 모드가 정식으로 지원되던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당시 유저 MOD로 있었던 물건이다.

라운드가 시작되면 술래가 된 팀은 잠시동안 시야가 까맣게 변하고 행동할 수 없다. 프롭이 된 팀은 이 때 열심히 숨을 곳을 찾아 돌아다니고 적정한 프롭으로 모습을 바꿔 살아남을 궁리를 해야 한다. 프롭은 대체로 3번까지 바꿀 수 있는데, 작은 것이 걸리거나 아주 거대한 것이 걸리거나 랜덤이다. 술래 팀이 행동을 하기 시작하면 각오를 단단히 하도록 한다. 변장하는 프롭은 해당 맵에 있는 것으로만 이뤄지니 잘 이용하자. 현재 자신의 프롭을 복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롭 팀은 매 30초마다 휘파람을 불러 자신의 위치를 드러낸다. 휘파람은 모든 프롭이 동시에 불지 않고 순차적으로 분다. 술래 팀은 이 소리를 듣고 적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적에게 발각되었을 경우 발을 달아 열심히 도망을 다니고 최후의 수단으로 기절 수류탄을 터트려 더 안전하게 도망칠 수 있다. 프롭 변경 횟수가 남았으면 이 때를 노려 다시 변장해서 숨을 수 있다. 프롭으로 생존한 플레이어들은 매 시간마다 점수를 얻는데, 큰 프롭으로 변장할수록 더 많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술래 팀은 무한탄약의 기관단총과 권총으로 무장해서 프롭으로 변장한 적들을 수색하게 된다.

이렇게 프롭 팀이 최후의 한 명이라도 제한 시간을 꽉 채워 생존하면 프롭 팀의 승리고, 프롭 플레이어들이 모조리 섬멸당하면 술래 팀의 승리다. 라운드가 끝나면 하프타임으로 서로 진영이 뒤바뀌며 이를 반복, 가장 많은 라운드를 이긴 팀이 매치에서 승리한다.


[1] 메라즈무스의 체력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메라즈무스가 프롭들을 소환하고 그 중 하나로 변신해서 숨은 뒤 체력을 회복하는데, 플레이어들은 별도의 제한 시간 내에 프롭들을 부수면서 메라즈무스를 찾아내야 한다.[2] Prop. 맵 여기저기에 널린 독자적인 물건들을 말한다. 파이프, 전봇대, 기름통 등등이다.[3] 또는 명령어를 이용해 고르거나 propreroll을 이용해 재설정을 할 수 있다.[4] 기존 점령지점에 겹치게 해도 티가 난다. 점령지점의 숨겨진 장점은 아랫쪽 모델링이 안 되어 있어서 아래에서 보게 되면 약간약간 보이는 측면을 제외하면 투명하게 보여 높은데 숨으면 은근히 안 걸릴 수도 있다. 이는 게임에서 원래는 모든 면을 볼 수 없는 프롭이라면 대부분 해당한다.[5] 참고로 히트박스는 기존 스카웃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에 스트라이더 같은 물건으로 변신 시 도주할 때는 오히려 유리한 측면도 있다. 그래도 은신이 봉인되는 것은 좆망의 길[6] 프롭 락(Prop Lock) 또는 프로징이라고 한다.[7] 예를 들어, 파이로와 솔저의 부사수나 데모맨의 점착 폭탄 사용 불가, 엔지니어는 디스펜서를 지을 수 있지만 센트리 건을 설치할 수 없다. 그 외에도 솔저와 파이로의 샷건은 장탄수가 너프되어 있다.[8] 공수 교대로 블루팀이 될 때 아무 병과를 선택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파이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게 된다.[9] 이동속도가 100%인 병과가 2명만 잡거나 어시스트하면 스카웃의 이동속도를 보유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