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 <colcolor=#000,#e5e5e5>고대 | 게르마니아 | ||
프랑크 왕국 | ||||
동프랑크 왕국 | ||||
중·근세 | 독일 왕국 | |||
신성 로마 제국 | 프로이센 독일 기사단국/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프로이센 공국 프로이센 왕국 | |||
근대 | ||||
라인 동맹 | ||||
독일 연방 | ||||
바이에른 왕국 | 뷔르템베르크 왕국 바덴 대공국 | 헤센 대공국 (슈타르켄부르크, 라인 헤센) | 북독일 연방 | |||
독일 제국 독일 식민제국 | ||||
자르 분지 지역 | 바이마르 공화국 | |||
나치 독일 플렌스부르크 정부 | ||||
현대 | ||||
연합군 군정기 | ||||
자르 보호령 | 독일연방공화국 | 독일민주공화국 | ||
독일연방공화국 | ||||
독일연방공화국 |
프로이센 자유주 Freistaat Preußen | ||
주기 | 주장 | |
위치 | ||
1918년 11월 9일 ~ 1947년 2월 25일 | ||
성립 이전 | 해체 이후 | |
프로이센 왕국 | 서베를린[1] |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W] | ||
니더작센[W] | ||
슐레스비히홀슈타인[W] | ||
헤센[W] | ||
라인란트팔츠[W] | ||
동베를린[7] | ||
브란덴부르크[O] | ||
작센안할트[O] |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O] | ||
튀링겐[O] | ||
칼리닌그라드[12] | ||
코샬린[P] | ||
슈체친[P] | ||
지엘로나구라[P] | ||
브로츠와프[P] | ||
올슈틴[P] | ||
역사 | ||
1918년 바이마르 공화국 성립 1932년 프로이센 쿠데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1947년 해체 | ||
지리 | ||
위치 | 중부 유럽 | |
주도 | 베를린 | |
면적 | 293,938km² | |
인문환경 | ||
인구 | 38,175,986명(1925년) | |
언어 | 독일어 | |
종교 | 개신교, 가톨릭 | |
민족 | 독일인 | |
경제 | ||
통화 | 렌텐마르크 |
[clearfix]
1. 개요
바이마르 공화국의 행정구역 중 하나이다.2. 역사
2.1. 근대 독일
프로이센 왕국은 통일 과정 중에 있었던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으로 하노버 왕국 등을 병합하면서 영토를 대대적으로 늘렸으므로, 통일 이후에도 독일 제국 전체의 2/3를 차지하며 실질적으로 제국을 지배하였다. 이와 같은 독일·프로이센의 이중 구조는 바이마르 공화국에도 존속하였다.관할하는 구역이 워낙 넓다보니 지역별로 정치성향의 차이가 컸는데, 브란덴부르크, 포메른, 동프로이센 등 프로이센 동부 지역의 경우 보수적이고 군국주의 성향이 강한 지역 특성상 나치당 집권 전까지 우익 성향의 독일 국가인민당 지지세가 가장 강한 곳이었으며, 1930년 이후 이 지역의 민심은 나치당으로 향했다. 이를 제외한 프로이센 지역에서는 독일 사민당이 대체적으로 지지를 받고 있었고, 특히 1928년 주의회 선거에서는 라인란트와 북부 베스트팔렌, 오버슐레지엔 등 가톨릭 지역에서 높은 지지를 얻은 중앙당과 안정적인 연정을 구축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프로이센 주의회와 주 총리 직책은 독일 사민당(SPD)이 장악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보면 프로이센은 독일 사민당의 요새나 다름없었다. 1932년 선거에서는 나치당이 승리했지만 과반을 확보하지는 못했고, 나치당과 공산당이 서로 반목했기 때문에 사민당-중앙당 연정이 소수정부로 지속되었다. 이 상황을 싫어하던 우익 정치인 프란츠 폰 파펜은 자신을 임의로 프로이센 자유주 총리로 임명하는 불법행위를 저질렀다. 이를 프로이센 쿠데타라고 부르며, 이 사건으로 인해 독일 사민당은 치명타를 입었다.
당시 독일의 경찰은 각 주 단위로 분산되어 있었는데, 1933년 나치당이 독일 국가인민당과 함께 히틀러를 총리로 한 연립 내각을 구성하면서 헤르만 괴링이 프로이센 주 내무장관이 되었다. 이로서 독일의 2/3를 차지하는 광대한 프로이센의 경찰력이 나치당의 손아귀에 들어갔다. 나치 독재가 완성된 이후 괴링은 프로이센 주 총리가 된다.
|
Gott mit uns! : 신의 가호와 함께! |
2.2. 해체
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을 점령한 연합국은 연합군 관리위원회 법률 제46호를 통해 프로이센 자유주를 해체했다. 법률 46호의 서문에 따르면 연합국은 프로이센 자유주가 독일에서 군국주의와 반동을 가져왔다고 평가했으며, 민주적 기반을 통해 독일의 정치를 재건하기 위해 법률을 시행한다고 평가했다. 즉 연합국은 프로이센이 민족주의 및 전쟁 분위기는 물론 배후중상설까지 앞장서서 지지해서 나치 성장의 토대를 만들었다고 간주했다고 할 수 있다.이에 대해서는 상당히 복잡한 배경이 있는데 서방 연합국은 나치즘의 기반과 원동력이 프로이센 정신과 프로이센 군부이며, 심지어 나치즘이 프로이센의 "군사 지배"의 최신 표현이라고 생각했다. 물론 구 프로이센 지방에서 나치당 지지자가 많았고 나치들이 프로이센의 군국주의를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악용한 건 사실이다.
하지만 나치당에 대한 지지는 프로이센 외 독일 지역에서도 매우 깊게 뿌리 박혀 있었고 특히 나치당의 학살 범죄에 연루된 최고위 인사들은 오스트리아, 바이에른 같은 프로이센과 대척점에 서 있었던 남독일 출신들이 많았다.[18] 즉, 프로이센이 나치에 부역한 건 맞지만 프로이센의 군국주의 정신이 그 자체로 특별히 나치에 열광적인 부역을 하게 만든 건 아니다.
물론 프로이센이 주축이었던 독일 국방군이 나치에 열광했던 것은 빼도박도 못하는 사실이지만 발키리 작전에 참가한 사람 중에 3분의 2 정도가 프로이센 출신, 그것도 유서 깊은 융커 출신이 대부분이었다. 이토록 많은 프로이센인들이 목숨을 걸고 반나치 운동을 한 동기에는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었지만[19] 그중에서도 자유와 윤리를 중시하는 프로이센 정신과 전통에 기반한 이상주의적인 동기 또한 많았다. 즉 군국주의로 대표되는 프로이센의 부정적인 유산들을 나치가 악용한건 사실이지만, 반대로 반나치 저항 인사들의 사상적인 기반도 프로이센 정신을 바탕으로 했다.
이는 연합국 중에 프로이센에 그나마 호의적인 국가가 의외로 소련이었다는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소련은 영미와 달리 오랫동안 프로이센과 호의적인 교류를 이어왔기 때문에, 프로이센 융커들로 대표되는 독일 군부와 나치당 사이의 갈등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인지 소련은 1944년에 벌어진 히틀러 암살 시도를 처음부터 높이 평가했고[20], 프로이센의 완전 해체를 끝까지 반대했던 승전국 또한 소련이었다. 물론 이는 정치적 계산이 크게 들어갔지만, 나치한테 가장 심하게 당한 나라 중 하나가 소련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매우 의미심장하다.[21]
연합국 군정기를 거치며 오데르강·나이세강 동쪽은 폴란드령이 되어 오늘날 바르미아마주리주로 이어지고 있으며, 동프로이센 북부 지역은 소련에 병합되어 칼리닌그라드주로 이어지고 있다. 당시 이오시프 스탈린은 동프로이센 전체를 소련이 차지하거나 동프로이센 북부 3분의 2를 차지하려 했지만, 관대하게(...) 동프로이센을 절반으로 나눠 북부 지역은 소련이 병합했고, 남부 지역은 동부 강역(크레시)의 대토보상의 차원에서 폴란드 인민공화국의 영토가 되었다. 원래 여기 살고 있던 독일인들은 추방되었고, 중세 동방식민운동 이래 형성되었던 프로이센주는 소멸하였으며, 더불어 프로이센을 비롯한 동부 독일과 중유럽, 동유럽의 주변 독일어권은 깔끔하게 증발했다.
이후 브란덴부르크를 프로이센으로 개칭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무산되었다.[22]
3. 역대 주총리
프로이센 자유주 총리 | |||
바이마르 공화국 | |||
제1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 파울 히르슈 | 오토 브라운 | 아담 슈테게어발트 |
제5대 | 제6대 | 제7대 | |
오토 브라운 | 빌헬름 마르크스 | 오토 브라운 | |
나치 독일 | |||
제8대 | 제9대 | ||
프란츠 폰 파펜 | 헤르만 괴링 | ||
프로이센 국왕 |
[1] 미국, 영국, 프랑스의 점령지. 독일 재통일 때 주권이 서독에 반환되어 동베를린과 통합해 도시주 베를린이 되었다.[W] 독일 연방 공화국의 연방주[W] [W] [W] [W] [7] 소련의 점령지. 동독 정부 수립 직후 동독에 반환되어 동독 수도로 기능하였다. 독일 재통일 때 서베를린과 통합해 도시주 베를린이 되었다.[O] 독일 민주 공화국의 연방주. 1952년 연방주가 폐지되어 관구로 대체되지만, 독일 재통일 직전에 부활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O] [O] [O] [12] 소련 러시아 SFSR의 주. 소련 해체 이후로는 러시아 소속으로 남게 되었다.[P] 폴란드 인민공화국의 주. 1975년에 좀 더 잘게 쪼개졌다가 민주화 이후인 1998년에 다시 합쳐지면서 원래와 비슷한 면적으로 돌아왔다.[P] [P] [P] [P] [18] 아돌프 히틀러, 하인리히 힘러, 에른스트 룀,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하인리히 뮐러, 헤르만 괴링,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는 모두 바이에른, 오스트리아 출신이었고, 파울 요제프 괴벨스(라인란트)와 한스 프랑크(바덴), 카를 브란트(알자스-로렌), 요제프 멩겔레(울름), 알프레트 로젠베르크(러시아), 루돌프 회스(바덴) 또한 정통 프로이센 출신과는 거리가 멀었다. 가장 악명 높은 나치들 중에 프로이센 출신은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마르틴 보어만, 아돌프 아이히만 등이 있긴 하지만 독일(오스트리아 포함)의 절반이나 차지하는 프로이센의 규모를 생각해 보면 오히려 나치당 지도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적었다.[19] 아르투어 네베 같은 학살자 기회주의자들도 일부 가담했다.[20] 서방에서는 전후에야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을 높이 평가하기 시작했다.[21] 출처: 크리스토퍼 클라크, 강철왕국 프로이센(마티, 2020), 886-893쪽[22] 프랑스, 폴란드 등 주변국이 프로이센을 엄청 싫어하는데다가 폴란드의 경우 영토 분쟁의 소지가 있고 주민들도 딱히 프로이센의 이름을 쓰기를 원치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