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라이전대 신켄저의 주역 메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무라이 하오 | 다이고요우 | ||||
텐쿠 신켄오 | 다이카이 신켄오 | 모규다이오 | ||||
다이텐쿠 | 신켄오 | 다이카이오 | ||||
토라 오리가미 카부토 오리가미 카지키 오리가미 | 시시 오리가미 류 오리가미 카메 오리가미 쿠마 오리가미 사루 오리가미 | 에비 오리가미 | 우시 오리가미 | |||
← 고온저 메카 목록 · 고세이저 메카 목록→ | }}} |
| |
명칭 | <colbgcolor=white,#1c1d1f> ダイカイシンケンオー[1] Daikai ShinkenOh 다이카이 신켄오 |
시저스 블레이드 킹[2] | |
Claw Armor Megazord[3] | |
코어 오리가미 | 시시 오리가미 에비 오리가미 |
오른쪽 다리 | 쿠마 오리가미 |
왼쪽 다리 | 류 오리가미 |
강화 | 카메 오리가미 사루 오리가미 |
합체(변형) | 다이카이 신켄오 |
테마곡 | - |
1. 개요
사무라이전대 신켄저의 슈퍼 합체 2호 메카.2. 상세
다이카이오와 신켄오가 합체한 메카로, 신켄오와 다이카이오가 진 사무라이 합체를 하는 것으로 완성된다. 모티브는 진바오리를 걸친 사무라이 장군.합체의 중심은 시시 오리가미가 아닌 에비 오리가미로[4] 머리를 들어내면 다이카이오의 머리가 나온다.
전작 염신전대 고온저의 엔진오 G12를 능가하는 합체로 예상되었으나, 합체하는 것은 다이카이오와 신켄오뿐. 나머지 오리가미들은 따로 합체하여 필살무기로 사용된다.
2.1. 무장 및 필살기
- 주 무장
- 새우검: 에비 오리가미의 더듬이를 분리한 쌍검으로, 다이카이오 남의 무장을 계승. 이 때문에 대진검은 사용하지 않는다.
- 필살기
- 이천일류 · 난참: 양 손의 새우검으로 적을 사선으로 두 번 벤 뒤 X자로 동시에 베어내는 참격계 필살기.
2.2. 이카텐쿠 버스터
| |
명칭 | <colbgcolor=white,#1c1d1f> イカテンクウバスター[5] Ika Tenkuu Buster 이카텐쿠 버스터 |
- | |
Samurai Battle Canon[6] | |
받침&중앙 포신 | 이카 오리가미 |
우측 포신 | 카부토 오리가미 |
좌측 포신 | 카지키 오리가미 |
중앙 포신 | 토라 오리가미 |
합체(변형) | 이카텐쿠 버스터 |
테마곡 | - |
"진 사무라이 무장"의 구호로 다이 텐쿠와 이카 오리가미가 합체한 대포.
다이카이 신켄오의 최종 필살 무기. 카부토의 뿔을 다시 원래 자리에 붙이고 그 자리에 이카 오리가미 머리를 붙인 뒤 이카 오리가미의 다리를 이용해 만든 받침대에 통째로 얹어 놓은 형태다.
본편에서는 다이카이 신켄오만 사용했으나, VS 고온저에서는 엔진오 G9, 쿄레츠오, 신켄오, 다이카이오, 모규다이오 다섯 메카가 잡고 쏘기도 했다.
- 필살기
- 오리가미 대해포: 엄청난 양의 모지카라를 충전해 발사하는 포격계 필살기. 엄청난 양의 모지카라가 들어가는 만큼 쏠 수 있는 것은 전투 당 1발 뿐이며, 멤버가 적게 탑승할 시 부담이 늘어나 사용이 힘들어질 수 있다.
- 사무라이 염신 슈퍼 합체포: VS 고온저에서 사용한 합체기로, 일명 G23 포메이션. 5대의 로보로 모지카라에 염신들의 에너지까지 더한 강력한 필살기로, 왼쪽부터 순서대로 모규다이오 & 쿄레츠오 & 신켄오 & 다이카이오가 이카텐쿠 버스터의 양 옆쪽으로 쿄레츠오와 신켄오는 한쪽다리를 꿇는 자세로, 모규다이오와 다이카이오가 각 각 신켄오, 쿄레츠오의 양옆에 서서 지지대 역할을 하고, 엔진오 G9이 가운데에 서서 발사한다.
3. 기타
- 첫 합체 이래 전원이 다 탑승하는 장면이 보이지 않는 희한한 메카. 25화는 타케루와 겐타만, 26화는 타케루를 제외한 전원만 탑승하였고, 27화에서는 치아키와 코토하만 탑승하였다.
- 돌아온 사무라이전대 신켄저 특별막에서는 직접 붓을 들고 모지카라를 쓰는 모습을 보여줬다.
[1] 한자표기의 경우 대해진검왕(大海眞劍王).[2] 해적전대 고카이저 더빙판에서의 로컬라이징 명칭.[3] 파워레인저 사무라이.[4] 물론 시시 오리가미가 몸통 → 다리의 연결을 담당하니 시시 오리가미가 없으면 합체가 불가능하다.[5] 한자표기의 경우 오적천공파괴포(烏賊天空破壞砲).[6] 파워레인저 사무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