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2 10:09:53

크루셰바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특별시
베오그라드
Београд
중앙세르비아
콜루바라구
Колубарски округ
[[발레보|
발레보
]]
마치바구
Мачвански округ
[[샤바츠|
샤바츠
]]
모라비차구
Моравички округ
[[차자크|
차자크
]]
포모라블레구
Поморавски округ
[[야고디나|
야고디나
]]
라시나구
Расински округ
[[크루셰바츠|
크루셰바츠
]]
라슈카구
Рашки округ
[[크랄레보|
크랄레보
]]
슈마디야구
Шумадијски округ
[[크라구예바츠|
크라구예바츠
]]
즐라티보르구
Златиборски округ
[[우지체|
우지체
]]
보르구
Борски округ
[[보르|
보르
]]
브라니체보구
Браничевски округ
[[포자레바츠|
포자레바츠
]]
야블라니차구
Јабланички округ
[[레스코바츠|
레스코바츠
]]
니샤바구
Нишавски округ
[[니시(세르비아)|
니시
]]
프치나구
Пчињски округ
[[브라네|
브라네
]]
피로트구
Пиротски Округ
[[브라네|
피로트
]]
포두나블레구
Подунавски округ
[[스메데레보|
스메데레보
]]
토플리차구
Топлички округ
[[프로쿠플레|
프로쿠플레
]]
자예차르구
Зајечарски округ
[[자예차르|
자예차르
]]
보이보디나 자치주
중앙바나트구
Средњобанатски округ
[[즈레냐닌|
즈레냐닌
]]
북바치카구
Севернобачки округ
[[수보티차|
수보티차
]]
북바나트구
Севернобанатски округ
[[키킨다|
키킨다
]]
남바나트구
Јужнобачки округ
[[판체보|
판체보
]]
남바치카구
Јужнобачки округ
[[노비사드|
노비사드
]]
스렘구
Сремски округ
[[스렘스카미트로비차|
스렘스카미츠로비차
]]
서바치카구
Западнобачки
[[솜보르|
솜보르
]]
코소보 및 메토히야 자치주
코소보구
Косовски округ
[[프리슈티나|
프리슈티나
]]
코소보포모라블레구
Косовско-поморавски округ
[[그릴라네|
그릴라네
]]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구
Косовскомитровички округ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
]]
페치구
Пећки округ
[[페치|
페치
]]
프리즈렌구
Призренски округ
[[프리즈렌|
프리즈렌
]]
}}}}}}}}}

파일:크루셰바츠 1.jpg
시가지 전경
파일:크루셰바츠 4.jpg
크루셰바츠 성채

1. 개요2. 역사
2.1. 근현대

1. 개요

Крушевац / Kruševac

세르비아 중남부의 도시. 인구는 약 7만명으로, 세르비아 제8의 도시이다. 지명은 '강의 돌'이란 뜻이다. 1371년부터 1402년까지 모라비아 세르비아 공국의 수도였고, 성채와 라자리카 성당 등의 유적이 남아있다. FK 나프레다크 크루셰바츠의 연고지이다.

2. 역사

파일:라자리카.jpg
라자리카 성당
파일:크루셰바츠.jpg
라자르 궁전의 성탑 유적

1371년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가 세운 도시로, 성채 및 궁전에 이어 1375-78년에는 모라바 양식의 라자리카 (성 스테판) 성당이 세워졌다. 1389년 코소보 전투를 위한 세르비아 군대가 이곳에 집결했다. 패전 후 지금도 남아있는 성탑에서 애완 까마귀를 통해 라자르의 전사 소식을 접한 밀리카 왕비가 섭정을 맡기도 했다. 다음 군주가 된 스테판 라자레비치는 1402년 데스포티스 칭호를 얻은 후 세르비아 전제군주국을 세우며 더욱 북쪽의 (베오그라드에 이어) 스메데레보로 천도했다.

1454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 메흐메드 2세가 세르비아를 침공해 크루셰바츠를 정복했고, 스메데레보 포위에 실패한 후 회군하며 피루즈 베이를 세르비아 총독으로 삼아 크루셰바츠에 두었다. 뒤이어 반격에 나선 주라지 브란코비치후녀디 야노시의 세르비아-헝가리 3만 대군이 같은해 10월, 크루셰바츠 전투에서 피루즈 베이를 사로잡으며 승리했다. 다만 도시 자체는 오스만 령으로 유지되었고, 1459년 세르비아가 완전히 정복된 후로는 1481년 헝가리측 세르비아 데스포티스 부크 브란코비치가 일대를 습격해 주민 수만을 데려간 것 외에는 후방 도시로써 안정을 누렸다. 오스만 시기 지명은 알라자히사르 (Alacahisar)였다.

1688-90년, 1717-39년을 제외하면 4세기간 이어진 오스만 지배기에 크루셰바츠는 자체적인 산작 치소로써 중시되었다. 오스만 시기의 흔적은 여러 주택들과 목욕탕 및 분수대 등이 있다. 세르비아 봉기 시인 1809년 크루셰바츠는 봉기군에게 점령되었고, 비록 1815년 세르비아 공국 설립 당시에는 그 영토가 되지는 않았지만 1833년에 포함되었다. 한동안 세르비아 공국의 남쪽 국경 도시였던 크루셰바츠는 1878년 세르비아 해방 후에는 안정을 찾았고, 1904년 코소보 영웅 광장이 조성되었다.

2.1. 근현대

파일:크루셰바츠 2.jpg
1888년에 세워진 크루셰바츠 기차역
파일:크루셰바츠 영웅 광장.jpg
코소보 영웅 광장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절 발전하던 도시는 1941년 4월 나치 독일에게 점령되었다. 그해 9월 파르티잔 군이 기습 공격을 가했으나 4일 간의 전투 끝에 격퇴되었고, 나치 독일군은 보복으로 70여명을 학살했다. 독일 치하에서 인근 바그달라 언덕에서 집단 처형이 있었고, 그중 최대 규모는 1943년 여름에 있었다. 1944년 봄에 소련군에게 해방되었다. 유고 연방 시기 크루셰바츠에는 많은 공장이 세워졌고 그중 옥토바르는 7천의 노동자를 고용했다. 하지만 밀로셰비치 정권 시절 공업 산업이 쇠퇴했고, 2002년에만 5개의 공장이 파산했다. 2014년까지 27개의 공장이 더 파산했고, 1만 1천명이 실업자가 되었다. 2015년에 크루셰바츠의 실업률은 39%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