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1 22:50:09

최호정(1989)

최호정(축구선수)에서 넘어옴
최호정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4f1b87><tablebgcolor=#4f1b87> 파일:FC 안양 로고.svgFC 안양
역대 주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1f014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4f1b87,#ac78e4
<rowcolor=#fff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김효준
(2013)
박성진
(2014)
김태봉
(2015)
고경민
(2015)
안성빈
(2016~2017)
<rowcolor=#fff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김태호
(2017)
주현재
(2018)
전수현
(2018)
주현재
(2019)
최호정
(2020)
<rowcolor=#fff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주현우
(2021)
백동규
(2022~2023)
이창용
(2023~ )
}}}}}}}}}}}}}}} ||
대한민국의 前 축구 선수
파일:22전남최호정.png
<colbgcolor=#eeeeee,#191919><colcolor=#000000,#e5e5e5> 이름 최호정
崔皓程 | Choi Ho-jung
출생 1989년 12월 8일 ([age(1989-12-08)]세)
경기도 파주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2cm, 75kg
주발 오른발
직업 축구 선수 (센터백, 풀백, 수비형 미드필더 / 은퇴)
학력 천현초등학교 (졸업)
대신중학교 (졸업)
중동고등학교 (졸업)
관동대학교[1] (중퇴)
소속 구단 대구 FC (2010~2016)
상주 상무 FC (2014~2015 / 군 복무)
성남 FC (2016 / 임대)
서울 이랜드 FC (2017)
FC 안양 (2018~2021)
전남 드래곤즈 (2021~2022)
국가대표 5경기 1골 (대한민국 U-20 / 2006)

1. 개요2. 클럽 경력3. 대회 기록4.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2.1. 프로 데뷔 전

경기 파주시 천현초등학교, 대신중학교, 중동고등학교를 거쳐 강원도에 위치한 관동대학교를 중퇴하였다. 관동대 시절부터 홍명보 당시 청소년 대표 감독이 점찍고 육성했던 유망주 중 한 명이다.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였으며[2] 신장 186cm182cm의 하드웨어에 볼 경합에 능해 세트피스에서의 득점력도 기대해 볼 만하다.

2009년 열렸던 수원컵 1차전 남아공 U-20 대표팀을 상대로 한국 청소년 대표팀이 4:0 대승을 거둘 당시에 팀의 3번째 골을 득점하면서 대외적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이후 2009년 이집트 20세 이하 청소년 월드컵 최종 엔트리 발표 직전까지 홍명보호에 붙박이로 발탁되곤 하였다. 그러나, 세계 청소년 월드컵 최종 엔트리 21명에는 아쉽게 들지 못하고 낙마하고 말았다고 한다. 이때 돌아오는 차에서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2.2. 대구 FC

관동대학교를 중퇴하고 2010년 드래프트를 신청, 대구 FC에 2순위로 지명돼 프로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2010년 입단 후 출발 드림팀에 대구 FC 선수 5명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출연했다. 구단에서 기대를 제법 하고 있는 듯.

2010년 4월 24일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선발 출장하며 K리그 데뷔전을 치렀으며 이후 5경기를 풀타임 소화하며 프로 무대에 한껏 적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5월 있었던 제주와의 경기에서 경고 누적으로 퇴장 당한 바 있으나, 퇴장으로 인한 출장 정지 이후에도 곧바로 주전으로 다시 기용되는 등 이영진 감독의 신뢰를 받고 있는 듯하다.

겹경사로 2010년 6월, 2012년 런던 올림픽 대표 1차 선발 명단에 최호정 선수가 포함되면서, 프로 무대와 올림픽대표 양쪽에서 중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대구 팬들 중에서도 제법 설레발이 있었으나 올림픽 대표팀에는 포함되지 못했다. 데뷔 시즌 17경기에 출전했으며, 골과 도움은 기록하지 못했다.

2011년은 최호정 선수에게 시련의 시기였다. 시즌 시작부터 교체 자원에 머물던 최호정은 4월 이후부터는 대구 2군에서 오랜 시간 활동하였다. 특히 최호정의 포지션에 김기희, 김유성 등 대체 자원이 등장하면서 최호정 선수의 입지가 급격히 좁아지며 좀처럼 출장 기회를 얻지 못했다.

결국 소속팀에서의 활약 부진으로 올림픽 대표 승선도 3월 이후로는 없는 상태를 맞이하기도 하였다. 2011시즌은 11경기 출전에 그치고 말았다. 그러나 잠깐의 시련은 오히려 최호정에게 자극이 되었다.

2012시즌 대구 FC리즈 시절을 만들어 준 모아시르 페레이라 감독을 만나게 되는데 최호정에게 칠레 사람이라는 뜻의 쉴레누[3]를 별명으로 붙여 주었다.[4]

모아시르 감독의 적극적인 주전 기용 아래 실력이 더욱 성장한 최호정 선수는 베테랑 강용과 드래프트 최대어 조영훈과의 경쟁에서 이기며 주전 오른쪽 풀백으로 활약했고, 골도 4골이나 기록하며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박빠다박종환 감독 이후 최고의 시즌을 보낸 대구 FC에서 주전 선수로 활약했으며, 31경기에 출전해 4골을 기록했다.

그러나 2013 시즌에는 시즌 초 부상과 동시에 완벽한 주전으로 자리 잡지 못한 상태였다. 결국 최호정 선수만으로 오른쪽 풀백 자리가 불안했던 대구는 최원권을 임대로 데려왔고 오른쪽 풀백 자리를 최원권과 최호정이 번갈아가며 기용했다.

2.2.1. 상주 상무 FC (군 복무)

2013년 시즌 이후 상무에 입대하였다. 2014 시즌 박항서 감독의 지휘 아래 주전으로 출장했다.

2.2.2. 성남 FC (임대)

2016년 2월 28일 성남 FC로 임대 이적하였다.

2.3. 서울 이랜드 FC

2017년 서울 이랜드 FC이적하였다.

2017년 4월 30일 K리그 챌린지 9라운드 아산 무궁화와의 홈경기에서 서울 이랜드에서의 데뷔 골을 기록했으며 9월 9일 29라운드 FC 안양과의 홈 경기에서는 두 번째 골을 기록하였다.

2.4. FC 안양

2018년 3월 7일 FC 안양으로 이적하였다.

2019 시즌 들어 중앙 수비진의 수비라인을 조율하는 역할을 성실히 수행해 주며 안양이 날카로운 역습을 펼칠 수 있도록 보탬이 되면서 팀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그리고 주장 주현재, 부주장 채광훈, 3주장 양동원이 모두 빠지면 주장 완장을 달고 나와 좋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2019시즌 8월 18일 이랜드와의 원정 경기에서 전반 24분 의문의 태클로 다이렉트 퇴장을 당했다. 팀은 이랜드에게 2:0으로 지고 말았다.

2020 시즌을 앞두고 FC 안양과 2년 재계약 후 주장으로 선임됐다.

2020년 11월 17일, 구단 서포터즈인 A.S.U. RED가 뽑은 2020 올해의 선수에 선정됐다.

그러나 이우형 감독이 새롭게 부임한 2021 시즌엔 주전에서 완전히 밀린 모습을 보이며 여름에 팀을 떠났다.

2.5. 전남 드래곤즈

2021년 6월 23일 전남 구단은 최호정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안양과 계약 해지 후 전남으로 이적하는 형태라는 정보가 있다.

이적 후 5일 만에 리그에서 친정팀인 FC 안양을 상대했다. 경기는 0-0으로 비겼고 수훈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경기 후 안양 팬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9월 5일의 K리그2 28라운드 경남 FC 원정에서는 72분에 올라온 코너킥을 박찬용이 헤딩한 게 골대를 맞고 반대편으로 흘렀고 이걸 놓치지 않고 침착하게 안쪽 발로 때려 선제골을 뽑아냈다. 이날 활약으로 28라운드 베스트 11에도 선정되었다.

2021 시즌 출전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합쳐 21경기 1골.

2023년 1월 2일 전남 드래곤즈 구단에서 계약 만료를 발표하였다.

2.6. 은퇴

공식적으로 은퇴를 표명하진 않았으나 전남 드래곤즈를 마지막으로 아내를 따라 칠레로 떠나갔고 2025년에는 칠레 산티아고에서 '도깨비'라는 이름의 한국식 길거리 음식점을 운영하고 있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 사실상 축구계에선 떠났다고 봐야 할 듯하다.

3. 대회 기록

4. 여담

파일:Screenshot-1.png
[1]가톨릭관동대학교[2] 대구 FC에서 오른쪽 풀백으로 포지션을 변경.[3] 여자친구가 칠레 교포 출신이다.[4] 올림픽 대표팀을 다녀온 김기희의 별명은 올림피코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