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3:08:27

장동 김씨

조선 국구 문벌(朝鮮 國舅 門閥)
壯洞 金氏 (壯洞 金門)
장동 김씨 (장동 김문)
관향 <colbgcolor=#fff,#191919>서울특별시 종로구
시조 김선평(金宣平)
중흥조 김조순(金祖淳)
분파 문정공파(文正公派)
문충공파(文忠公派)
집성촌 서울특별시 종로구

1. 개요2. 역사3. 분파4. 후손5. 항렬6. 참고문헌7. 참고기사

[clearfix]

1. 개요

장동 김씨(壯洞 金氏)는 신 안동 김씨(新 安東 金氏)의 분가(分家)로 조선 후기의 세도가문이다.[1]

2. 역사

신 안동 김씨는 신라말 고창군 성주로서 고려 태조를 도와 전공을 세워 대광(大匡)에 오른 김선평(金宣平)을 시조로 한다. 조선 후기인 1801년(순조 1) 김조순(金祖淳)이 순조국구가 되면서 세도가문의 길을 열기 시작했다. 조선 후기 부원군 3명, 왕비 3명, 후궁 1명, 부마도위 2명, 종묘공신 6명, 정승 15명, 판서 35명, 당상관 140여 명 등 많은 고관대작을 배출하며 명문가 반열에 올랐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일본한일합방에 앞장선 자들에게 천황의 칙령인《조선귀족령》에 의거해서 조선귀족 작위를 수여하였는데 장김의 후손들 중 상당수가 이에 해당하였다.[2]

3. 분파

문정공파(文正公派), 문충공파(文忠公派)를 분파로 하고 있다.

4. 후손

<rowcolor=#FFFFFF> 성명 출생 문벌 국가 직책
김조순(金祖淳) 1765년 문정공파 부원군
김조근(金祖根) 1793년 문정공파 부원군
김문근(金汶根) 1801년 문정공파 부원군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년 문정공파 순조왕후
효현왕후(孝顯王后) 1828년 문정공파 헌종왕후
철인왕후(哲仁 王后) 1837년 문정공파 철종왕후
김수항(金壽恒) 1629년 문정공파 영의정
김창집(金昌集) 1648년 문정공파 영의정
김흥근(金興根) 1796년 문정공파 영의정
김좌근(金左根) 1797년 문정공파 영의정
김병학(金炳學) 1821년 문정공파 영의정
김병국(金炳國) 1825년 문정공파 영의정
김병시(金炳始) 1832년 문정공파 영의정
김석진(金奭鎭) 1843년 문정공파 영의정
김상헌(金尙憲) 1570년 문정공파 좌의정
김이소(金履素) 1735년 문정공파 좌의정
김홍근(金弘根) 1788년 문정공파 좌의정
김상용(金尙容) 1561년 문충공파 우의정
김달순(金達淳) 1760년 문정공파 우의정
김이교(金履喬) 1764년 문충공파 우의정
김병덕(金炳雲) 1825년 문충공파 우의정
김창협(金昌協) 1651년 문정공파 고위관료
김창흡(金昌翕) 1653년 문정공파 고위관료
김창즙(金昌楫) 1662년 문정공파 고위관료
김희순(金羲淳) 1757년 문충공파 이조판서
김응균(金應均) 1801년 문충공파 예조판서
김보근(金輔根) 1803년 문충공파 병조판서
김병필(金炳弼) 1839년 문정공파 예조판서
김명순(金明淳) 1759년 문충공파 이조참판
김온순(金蘊淳) 1776년 문충공파 예조참판
김매순(金邁淳) 1812년 문충공파 예조참의
김병운(金炳雲) 1814년 문정공파 한성판윤
김병기(金炳基) 1814년 문충공파 형조참의
김창업(金昌業) 1658년 문정공파 고위관료
영빈 김씨(寧嬪 金氏) 1669년 문정공파 숙종후궁
23세(根)
김수근(金洙根) 1798년 문정공파 배향공신
김성근(金聲根) 1835년 문충공파 조선귀족
24세(炳)
김병익(金炳翊) 1837년 문충공파 조선귀족
김병원(金炳鵷) 1880년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25세(均/圭)
김옥균(金玉均) 1851년 문충공파 급진개화파
김병규(金炳奎) 1874년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김서규(金瑞圭) 1875년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김호규(金虎圭) 1911년 문충공파 조선귀족
26세(鎭)
김학진(金鶴鎭) 1838년 문충공파 조선귀족
김석진(金鶴鎭) 1843년 문충공파 독립유공자
김가진(金嘉鎭) 1846년 문충공파 조선귀족 / 독립운동가
김영진(金英鎭) 1876년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김경진(金慶鎭) 1895년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김성진(金晟鎭) 1905년 문충공파 보건사회부장관
김성진(金聖鎭) 1931년 문정공파 문화공보부장관
김좌진(金佐鎭) 1889년 문충공파 독립유공자
김동진(金東鎭) 1891년 문충공파 독립유공자
김종진(金宗鎭) 1901년 문충공파 독립유공자
김익진(金翼鎭) 1896년 문충공파 검찰총장
김덕진(金德鎭) 1954년 문정공파 고위관료
27세(漢)
김종한(金宗漢) 1844년 문충공파 조선귀족
김덕한(金宗漢) 1874년 문정공파 조선귀족
김영한(金榮漢) 1857년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김창한(金榮漢) 1870년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김복한(金復漢) 1860년 문충공파 독립유공자
김의한(金毅漢) 1900년 문충공파 독립유공자
김증한(金曾漢) 1920년 문충공파 문교부차관
김두한(金斗漢) 1918년 문충공파 국회의원
김흥한(金興漢) 1924년 문충공파 고위법관
김혜경(金惠京) 1966년 문정공파 이재명 당대표부인
28세(東)
김명동(金明東) 1903년 문충공파 국회의원
김을동(金乙東) 1945년 문충공파 국회의원
29세(顯)
김세현(金始顯) 1895년 문충공파 조선귀족

5. 항렬

<rowcolor=white> 세수 항렬자
22世 순(淳)
23世 근(根)
24世 병(炳)
25世 규(圭)/균(均)
26世 진(鎭)
27世 한(漢)
28世 동(東)
29世 현(顯)
30世 년(年)/기(基)
31世 일(鎰)/종(鍾)
32世 구(求)
33世 모(模)
34世 연(然)
35世 배(培)
36世 선(銑)
37世 원(源)
38世 영(榮)
39世 사(思)
40世 준(浚)
41世 선(善)
42世 택(澤)
43世 식(植)
44世 환(煥)
45世 철(喆)

6. 참고문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도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참고기사


[1] 김번(金璠, 1479~1544)의 후손들이 한양 인왕산 근처 장동(壯洞)에 세거하였기에 이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장동 김문(壯洞 金門)이라고도 칭한다.[2] 자작 2명(김성근; 김호규), 남작 6명(김가진, 김병익, 김종한, 김학진; 김덕한, 김세현). 이 중 김가진은 1910년 남작 작위를 수작하였으나 1919년 중국으로 망명하여 대동단 총재, 임시정부 고문 등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을 하여 남작 작위가 수작 불능 처리되었다. 한편 김석진은 1910년 남작 작위가 수여되자 이를 거절하고 며칠 후 자결하였고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