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16:15:46

왕립통계학회지

<colbgcolor=#BEA146><colcolor=#fff>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
JRSS
창간일 1835년 9월
분리 1939년
1949년
1993년
분야 통계학
출판사 와일리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사
1. 개요2. 역사3. 출판 저널
3.1. JRSSSA3.2. JRSSSB


1. 개요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는 영국의 왕립통계학회가 출판하는 통계학 분야 학술지이다.

2. 역사

1835년에 왕립통계학회로부터 창간되었고, 1934년까지는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라는 이름으로 발행되었다. 1934년 Supplement to the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라는 보조 학술지거 창간되었고, 1949년부터 통계학이론, 통계학, 응용통계학의 분야를 담당하는 3개의 학술지로 분리되었다.

3. 출판 저널

3.1. JRSSSA

<colbgcolor=#bea146><colcolor=#000>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 Statistics in Society
JRSSSA
창간일 1949년 1월
간행 주기 격월
분야 통계학
편집장 M. Elliott
ISO-4 J. R. Stat. Soc. A
지표 <colbgcolor=#bea146><colcolor=#000> h-i 97[S]
IF 1.6[R]
SJR Q1[S]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JRSSSA는 통계학을 다루고 있는 학술지로 사회에서 일어나는 각종 현상들의 통계 모형을 주로 다룬다.

JRSSSA에 게재된 유명 연구로 다음과 같은 연구들이 있다.

3.2. JRSSSB

<colbgcolor=#bea146><colcolor=#000>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 Statistical Methodology
JRSSSB
창간일 1934년 1월 (SJRSSSB)
1949년 1월 (JRSSSB)
간행 주기 격월
분야 통계이론
편집장 H. Doss
ISO-4 J. R. Stat. Soc. B
지표 <colbgcolor=#bea146><colcolor=#000> h-i 159[S]
IF 3.6[R]
SJR Q1[S]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JRSSSB는 통계이론을 다루고 있는 학술지이다. 1934년에 Supplement to the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라는 통계 이론을 다루는 보조 학술지의 창간으로부터 역사가 시작되었고, 1949년에 JRSSSB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JRSSSB에 게재된 유명 연구로 다음과 같은 연구가 있다.
[S] Scimago 기준.[R] RSS 기준 1년 평균 IF[S] [4] M. J. Farrell,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 R. Stat. Soc. A 120 (1957) 253[5] 혹은 로그 랭크 검정[6] Richard Peto, Julian Peto, Asymptotically Efficient Rank Invariant Test Procedures, J. R. Stat. Soc. A 135 (1972) 185[7] GLM[8] J. A. Nelder, R. W. M. Wedderburn, Generalised Linear Models, J. R. Stat. Soc. A 135 (1972) 370[9] Julian P. T. Higgins, Simon G. Thompson, David J. Spiegelhalter, A Re-Evaluation of Random-Effects Meta-Analysis, J. R. Stat. Soc. A 172 (2009) 137[S] Scimago 기준.[R] RSS 기준 1년 평균 IF[S] [13] G. E. P. Box, D. R. Cox, An Analysis of Transformations, J. R. Stat. Soc. B 26 (1964) 211[14] A. P. Dempster, N. M. Laird, D. B. Rubin, Maximum Likelihood from Incomplete Data Via the EM Algorithm, J. R. Stat. Soc. B 39 (1977) 1[15] False Discovery Rate (FDR)[16] Yoav Benjamini, Yosef Hochberg, Controlling the False Discovery Rate: A Practical and Powerful Approach to Multiple Testing, J. R. Stat. Soc. B 57 (1995) 289[17] Robert Tibshirani, Regression Shrinkage and Selection Via the Lasso, J. R. Stat. Soc. B 58 (1996) 267[18] Hui Zou, Trevor Hastie, Regularization and Variable Selection Via the Elastic Net, J. R. Stat. Soc. B 67 (2005)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