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8:33:46

아이템 버닝

앱솔칼리버에서 넘어옴
#!wiki style="font-size:0.8em;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margin: 0 auto; padding: 7px 10px; max-width: 650px; border-radius:8px; text-align: center;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at 50% 0%, #993311 0%, transparent 80%), linear-gradient(to right, #551111, #55111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메이플스토리|[[파일:메이플스토리 로고_버닝이벤트.png|width=120]]]]}}}
'''[[메이플스토리/버닝 이벤트|{{{#ffeecc {{{-1 버닝 이벤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ffeecc 45%, #ffeecc 55%, transparent 55%); width: 92.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10px 0px; color: #ffe1be; max-width: 97%; min-width:40%; min-height:2em"
{{{#ffeec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0 auto; max-width: 100%; width: 640px; border-radius: 6px; border: 1px solid #ffeecc; margin-top: 7px; color: #f3f3f3; text-align: center;"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95deg, #380605 5%, #380605 15%, #380605 85%, #490b0a 85%);  border-radius: 6px; border: 1px solid #333; padding: 10px 10px;"
{{{#!wiki style="margin: 0px -10px 15px -10px;"
{{{#!wiki style="margin: 0px 10px -10px 10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float: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10px 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ffe1be, #ffe1be, #e0b694); background-clip: text; font-size: 1.0em; color: transparent; "
LEVEL UP BURNING}}}'''}}}
{{{#!wiki style="margin: 10px 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700, #B22222);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2228;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메이플스토리/버닝 이벤트#버닝|{{{#ffeecc '''버닝'''}}}]]}}}}}}{{{#!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916f8, #576ff3);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2228;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메가 버닝|{{{#ffeecc '''메가 버닝'''}}}]]}}}}}}{{{#!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f0d01, #9d2900);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2228;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테라 버닝|{{{#ffeecc '''테라 버닝'''}}}]]}}}}}}{{{#!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f3c, #1c83fe);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2228;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하이퍼 버닝|{{{#ffeecc '''하이퍼 버닝'''}}}]]}}}}}}
{{{#!wiki style="text-align: center; float: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0px 0px -10px 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ffe1be, #ffe1be, #e0b694); background-clip: text; font-size: 1.0em; color: transparent; "
ITEM BURNING}}}'''}}}
{{{#!wiki style="margin: 10px 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82f5b, #9d2900);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2228;width:91.5%;max-width:95%;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아이템 버닝|{{{#ffeecc '''아이템 버닝'''}}}]]}}}}}}
{{{#!wiki style="text-align: center; float: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0px 0px -10px 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ffe1be, #ffe1be, #e0b694); background-clip: text; font-size: 1.0em; color: transparent; "
CHAMPION BURNING}}}'''}}}
{{{#!wiki style="margin: 10px 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9A1FF, #F660FF);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2228;width:91.5%;max-width:95%;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챔피언 버닝|{{{#fff '''챔피언 버닝'''}}}]]}}}}}}
{{{#!wiki style="text-align: center; float: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0px 0px -10px 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ffe1be, #ffe1be, #e0b694); background-clip: text; font-size: 1.0em; color: transparent; "
BURNING WORLD}}}'''}}}
{{{#!wiki style="margin: 10px 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831518);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2228;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버닝 월드|[[파일:ico_burning.png|width=15]] {{{#ffeecc '''버닝 월드'''}}}]]}}}}}}{{{#!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E1B07, #1A3876);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2228;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챌린저스 월드|[[파일:챌린저스_마크.png]] {{{#fff '''챌린저스 월드'''}}}]]}}}}}}
}}}}}}}}}}}}}}}}}}}}}}}}}}}}}}}}}}}}}}}


파일:메이플스토리 로고_골드.png

보스 세트 아이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color: #fff; min-width:40%; min-height:2em"

1. 개요2. 특징3. 도전자의 장비 세트 효과 (NEXT 기준)4. 미션 (NEXT 기준)5. 역사6. 평가
6.1. 문제점

1. 개요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2024년 여름 MILESTONE 업데이트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성장 지원 이벤트.

2. 특징

넥슨 ID당[1] 1회 한정으로 빠른 캐릭터 육성에 도움이 되는 8부위의 도전자의 장비를 지급해주는 이벤트이다.[2] 200레벨 이상 캐릭터, '5차 전직' 및 '또 하나의 힘, 아케인포스' 퀘스트를 완료한 상태라면 지정 할 수 있다. 다른 레벨업 버닝과는 다르게 캐릭터를 삭제하더라도 다른 캐릭터로 참여할 수 없다.

아이템 버닝을 통해 지급받는 장비들은 루타비스 세트와 앱솔랩스 세트를 기반으로 하는 장비들이기 때문에 아이템 버닝을 사용한다면 하이퍼 버닝 레벨 220 달성 보상에서 앱솔랩스 무기를 받을 일도 없어진다. 도미네이터 펜던트를 받는게 훨씬 이득.[3]

3. 도전자의 장비 세트 효과 (NEXT 기준)

도전자의 장비 세트
(모자)
(상의)
(하의)
(장갑)
(신발)
(망토)
(어깨장식)
(무기)
3세트효과
올스탯 : +20, 최대 HP / 최대 MP : +1000
4세트효과
최대 HP / 최대 MP : +1500
5세트효과
올스탯 : +30, 최대 HP / 최대 MP : +1500
6세트효과
공격력 / 마력 : +25
7세트효과
공격력 / 마력 : +30
8세트효과
공격력 / 마력 : +30


파츠 구성은 이른바 '3카5앱'이라 불리는 템셋팅을 기반으로 구성되어있지만 실제로는 3카5앱 셋팅보다 방무10%가 더 붙어있다. 무기는 도전자의 (버닝) 무기를 포함한다.

도전자의 세트 [ 펼치기 · 접기 ]
* 도전자의 모자
  • 도전자의 상의
  • 도전자의 하의
  • 도전자의 장갑
  • 도전자의 신발
  • 도전자의 망토
  • 도전자의 어깨장식
  • 도전자의 무기

4. 미션 (NEXT 기준)

<rowcolor=#fff> 레벨 보스 효과
200 카오스 자쿰 1인 격파 도전자의 장비 1차 성장:
방어구 추가옵션 주스탯 5추>4추
무기 추가옵션 1단계 상승
주문의 흔적 70%>30%[4]
210 카오스 벨룸 1인 격파 도전자의 장비 2차 성장:
추가옵션 1단계 상승[5]
에디셔널 잠재능력 추가[6]
220 카오스 파풀라투스 1인 격파 도전자의 장비 3차 성장:
스타포스 15성>17성
225 노멀 스우 1인 격파 도전자의 장비 4차 성장:
잠재능력 에픽>유니크[7][8]
230 노멀 가디언 엔젤 슬라임 1인 격파 도전자의 장비 5차 성장:
스타포스 17성>18성
주문서 강화 수치 성장
260 이지 루시드 1인 격파 도전자의 장비 최종 성장:
에디셔널 잠재능력 등급 성장[9]

5. 역사

5.1. MILESTONE

이벤트 기간 : 2024년 6월 20일 ~ 2024년 10월 16일

5.2. NEXT

이벤트 기간 : 2024년 12월 19일 ~ 2025년 6월 18일

2024년 겨울 업데이트 시즌 두번째 아이템 버닝이 진행된다. 전반적으로 지난 아이템 버닝에서 지적되었던 부분을 다수 개선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주요 변경점들이 있다.

과거 아이템 버닝 이벤트 당시 도전의 영역이었던 '이지 루시드 퇴치' 미션의 보상으로 '에디셔널 잠재 능력 등급 성장'이 붙으면서 도전자의 장비 옵션이 대폭 상향되었다. 기존에 제공하였던 5레벨 어센틱심볼: 세르니움은 하이퍼 버닝 보상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아이템 버닝을 이제 신규 생성 캐릭터가 아닌 모든 캐릭터가 조건없이 참여할 수 있게 되었고 이벤트가 사실상 끊기지 않고 바로 다시 시작되기 때문에 사실상 반영구화가 되었다.

6. 평가

기존의 하이퍼 버닝 보상 측면에서도 어느 정도 강화된 카루타 세트와 심볼, 코어 젬스톤 수급을 통해 유입 보조를 지원하고자 하였으나, 해당 방법은 단지 아이템만 던져줄 뿐, 어떤 식으로 강화를 진행하고 어떤 컨텐츠를 즐겨야 하는지는 외부의 사이트를 통해서만 파악이 가능했다.

그러나 아이템 버닝의 경우,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들을 개선하였다는데 큰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유입이 아닌 기존 유저들 측면에서도, 하이퍼 버닝 캐릭터의 스데미돌이/가엔돌이/이루윌돌이를 만들 때 별도의 자본을 들이지 않고도 보스돌이용 캐릭터를 완성할 수 있단 점에서 호평될 만한 사항이다.

6.1. 문제점

초기 아이템 버닝의 문제점을 꼬집은 '[뮤지컬] 신창섭' 영상.

도전자의 세트의 원형인 루타비스 세트앱솔랩스 세트는 출시된 지 10년 이상이 지났기 때문에, 다른 게임이었다면 벌써 퇴물이 되었을 장비들이라는 반응이 압도적이다. 이 정도로 오래된 아이템을 기간제로, 그것도 공짜로 주는 것도 아니고 보스 클리어 미션 보상으로 준다는 것이 메이플스토리 유저가 아닌 게이머 입장에서는 납득이 되지 않는다는 것.[16] 이는 외부에서 바라본 메이플스토리의 경제 구조가 상당히 기형적임을 보여준다.

일반적인 MMOPRG라면, 정기적으로 최상위 장비가 교체되고 상위권 유저들이 새로운 장비로 갈아탐과 동시에 기존 최상위 장비를 중하위권 유저들이 착용하는 식의 계단식 성장 구도가 형성된다. 그러나 메이플스토리는 2022년에 에테르넬 세트가 나오기 전까지는, 2016년에 출시된 아케인셰이드 세트가 5년 이상 최상위 장비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메이플스토리의 장비 아이템은 아이템 자체만으로는 큰 효과가 없고 강화를 통해 스펙이 올라가는 형태로 설계되어, 상위 장비 아이템일지라도 하위 아이템과 옵션은 거의 차이나지 않고 강화 한계치가 조금 더 높은 수준에 그친다. 그래서 계승이 없고 리셋이 강요되는 독특한 메이플 스토리의 장비 체계에서 굳이 어마어마한 비용을 들여 상위 장비를 마련할 가치가 없었기에, 자연스럽게 비싸기만 한 아케인셰이드 세트는 전혀 보급되지 못했고 대부분의 유저는 한참 전인 2014년에 나온 루타비스 세트앱솔랩스 세트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렇게 하위 장비가 오랜 시간 동안 준종결 아이템 취급을 받으며 하위 장비 위주로 시장이 형성되자 유저들은 상-하위 장비의 차이가 심하지 않으니 하위 장비의 아이템 가치가 오래도록 보존될 것이라고 믿기 시작했다. 그래서 메이플 커뮤니티는 점차 하위 장비에 과도한 재화를 투자하며 강화를 시도하는 동시에 상위 장비의 출시를 반대하는 방향으로 여론이 형성되었고 이른바 템값수호단이라 불리는 극단적인 가치 보존을 요구하는 집단으로 발전하기에 이르렀다.[17]

결국 불친절하고 유독한[18] 강화 방식을 유지한 데다, 강원기 디렉터 재임 시절 컨텐츠 추가에 지나치게 소극적이었던 탓에 최상위 장비가 바뀌지 않고 아이템 세팅 메타가 고착화되었고 그로 인한 병폐가 아이템 버닝을 계기로 수면 위로 드러난 것이다. 그렇다고 이 병폐를 깨기에는 템값수호단의 기세를 함부로 무시 하지 못하는 교착 상태에 빠져버렸다.

이 문제에 대해서 김창섭은 빠르게 신규 보스를 내서 장비 세대 교체를 자주하겠단 발언을 했지만 오중나생문식 강화 시스템 부터 260 이후로는 결국 유저 스스로 올라야하는데 그 곡선이 엄청나게 가파르다는 점에서 단순히 장비를 빨리낸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앞서 언급했듯 신규 장비만 얻는다고 끝이 아니며 거기에 주문서작, 스타포스, 에디셔널과 같은 아이템 강화 요소에 투자해야 기존 장비보다 더 나은 성능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악랄한 강화 시스템 외에도 신규 보스가 극소수의 초고스펙에 맞춰 거대한 HP를 가지고 출시되기 때문에 최종 장비가 바뀌어봐야 대중화는 요원하고, 그 사이에 기존 장비는 점점 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금의 메이플스토리가 보스를 출시하는 방식을 계속 유지한다면 장비의 세대 교체는 여전히 더디게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그래도 10년동안 사골처럼 우려먹는 루타비스 세트나 앱솔랩스 세트는 현 최상위 보스들을 상대하기엔 확실히 한계점이 있는 편이어서 그 다음 세트인 아케인셰이드 세트나 에테르넬 세트로 넘어가야한다는 당위성이 생기지만 그마저도 그간 투자한 비용을 회수하기 위해 가격을 잘 내리질 않는다는 점으로 인해 김창섭이 이야기 한 빠른 세대 교체는 장비와 성장 체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불러오지 않는 이상 요원해 보인다.

[1] 메이플 ID가 아니다.[2] 단, 제로는 무기가 지급되지 않는 대신 도전자의 세트 효과는 따로 적용시킬 수 있다.[3] 단, 개화월영 신규 보상 등 다른 경로로 피앱 피도미 선택권을 추가로 얻게 된다면 앱솔랩스 무기도 받는 것이 좋다. 어차피 교환 불가이니 사용은 해야되고 아이템 버닝은 어디까지나 기간제 아이템을 주는 것이기 때문.[4] 제논은 단일스탯>올스탯, 무기 제외[5] 최종 추옵
방어구: 주스탯 3추 나머지 4추
무기: 공격력 2추 나머지 3추
[6] 옵션은 공격력 or 마력 13
무기는 에픽등급 공격력 9%
[7] 에픽 3줄 12%>유니크 2줄 15%
무기는 보공 30% 추가
[8] 제논은 올스탯 6%>9%[9] 레어 공마+13 > 에픽 주스텟 4% ,공마+10
무기는 에픽 공마 9% > 유니크 공마 15%
[10] 카오스 루타비스, 앱솔랩스 세트가 아닌 고유의 외형으로 변경.[11] 사실상 기간이 다음 여름 업데이트 기간 직전까지이고, 신규 생성 하이퍼 버닝 캐릭터만 참여할 수 있던 조건이 삭제됐으므로 소멸되면 다음 이벤트에서 바로 다시 받을 수 있다.[12] 넥슨 ID 당 1회, 어떤 캐릭터로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13] 다만 도전자 세트 중 앱솔랩스 무기는 현 시점에서 거의 사장된 추세임에 주의해야 한다. 무기의 경우 잠재 능력 중 방무 옵션의 유용성이 사람에 따라 약간 갈릴 수는 있으나, 버닝으로 유입된 유저들의 방무 수치를 고려하면 무기에서라도 방무를 보충하는 것이 합리적인 판단이다. 단, 크리티컬 데미지 증가 옵션이 붙는 장갑은 해당 옵션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도전자 장비와 같은 주스탯 장갑은 거쳐가는 단계로 여겨진다. 모자 또한 일부 직업에게는 쿨타임 감소 옵션이 가장 가치가 높기 때문에 직업에 따라 세팅의 방향이 달라질 여지가 있다.[14] 첫 주차부터 매일 일간보스+이루시돌이를 가정할 경우, 아이템 삭제 전까지 보스 결정석만으로 약 62억 메소를 모을 수 있다.[15] 다만 최대 걸림돌인 메이플 유니온은 여전히 그 진입장벽이 공고하기 때문에 유입 유저들의 확실한 정착을 위해서는 여전히 적잖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한계점도 존재한다.[16] 10년 전인 2014년 당시 다른 MMORPG인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판다리아의 안개드레노어의 전쟁군주 시점이었고, 파이널 판타지 14는 서비스를 종료했다가 신생 에오르제아로 재오픈한 직후였고, 로스트아크는 출시되지도 않았다.[17] 이들은 리부트 월드와의 유저간 분쟁에서 리부트 월드의 삭제에 큰 역할을 했다는 것이 장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데다가 아이템 버닝에 대해서도 소프트 리셋의 일종이라고 주장#하며 여전히 목소리를 내고 있다. 당연하지만 아이템 버닝은 단순히 기초적인 방어구와 무기만을 단기간 지원하는, 육성 지원 이벤트에 불과하며 리셋이라고 볼 수 없다.[18] 특히 메이플스토리의 대표적인 강화 아이템인 큐브확률 공개도 출시 11년만에 이뤄지고 확률 공개 이전에는 확률을 암암리에 임의 조정하는 등 강화 시스템 중에서도 문제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