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2 20:47:32

안셀무스의 신 존재 증명

1. 개요2. 상세3. 비판

[clearfix]

1. 개요

중세 가톨릭 신학자이자 스콜라 철학자인 안셀무스 대주교가 고안한 하느님 존재증명의 한 가지. 본체론적 증명이라고도 한다.

2. 상세

안셀무스는 하느님을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생각할 수 없는 가장 위대한 어떤 것"이라고 정의했다.[1] 그런데,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생각할 수 없는 어떤 것실제로 존재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상상할 수 없지만 존재하지 않는 것'보다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상상할 수 없지만 존재하는 것'이 더 위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생각할 수 없는 어떤 것이 하느님이라면, 하느님은 그 본성상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이것이 안셀무스의 하느님 존재증명의 대략적인 논의이다.

이것을 단순하게 도식화한다면,

3. 비판

안셀무스의 증명이 나오자마자 안셀무스와 동시대의 사람인 프랑스 마르무티에의 수도자 고닐로(Gaunilo)는 다음과 같이 안셀무스의 증명을 패러디해서 비판하기도 했다. 이 논증은 '완벽한 섬' 논증이라고 불린다.쉽게 말하자면, 그 생각할 수 있는 가장 근사한 섬이란 것이 섬에 들어가는 순간 사람이 하늘을 날아다니고 나무에 고기가 열리는 그런 말도 안 되는 섬이라도, 안셀무스의 논리에 따르면 그런 터무니없는 섬도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는 이상한 결론이 나온다는 것이다. 가장 위대한 것은 존재해야 한다는 말부터가 문제라 보기도 한다. 여러 것 중에 가장 위대한 것들은 기준에 따라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가장 위대한 것이 존재할지는 또 다른 문제다. 생각은 상상도 포함되기 때문이다.[2][3]

당시 신학자들 사이에서도 이에 대해 비판을 종종 했다. 토마스 아퀴나스조차 사람들이 '그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생각할 수 없는 존재'로 하느님을 생각하는 것은 아니라고 비판한다. 기독교의 하느님을 육화하시는 하느님임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추상적 개념으로 하느님을 규정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이는 설혹 우리가 안셀무스의 논증을 논리적으로 수용한다 해도 이렇게 증명된 신이 정말 기독교의 하느님일까라는 물음이 떠오르게 한다.[4]

은 존재를 선험적으로 증명할 수는 없다며 비판했고, 러셀의 경우 잘못된 걸 찾아내는 것보다 틀렸다는 걸 알아채는 게 빠르다고 비꼬았다. 칸트의 경우 '존재'는 실체의 '속성'이 아니기 때문에 논리 자체가 넌센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5] 이후 고틀로프 프레게가 이를 이어받아 언어학적으로 넌센스임을 재차 증명한다. 다만, 근대 철학자들 중에서도 데카르트라이프니츠 같은 대륙 합리론 철학자들과 헤겔 같은 경우는 안셀무스의 논증을 지지했다. [6]

오스트레일리아의 철학자 더글라스 개스킹은 '가장 위대한 존재가 하느님이라면, 존재하면서 천지를 창조하는 하느님보다 존재하지도 않으면서 천지를 창조하는 하느님이 더 위대할 것이다. 따라서 하느님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반대의 주장을 하기도 했다.

[1] 여기서 '위대하다'라는 말은 '우월하고 좋은 속성과 능력을 가졌다'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2] 하지만 이 비판에 다음과 같은 반박을 하기도 한다. 우리가 아무리 완벽한 섬을 생각해도, 그것보다 더 완벽한 섬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니 섬은 완벽함이 부여될 수 없는 대상이고, 거기서는 존재를 끌어낼 수 없다. 그러나 하느님은 그 정의상 더 이상 완벽한 것을 상상할 수 없는 가장 완벽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느님으로부터는 실제로 존재한다는 속성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애초에 아무리 완벽한 섬을 상상해도, 완벽한 섬을 상상해낼 수 없다는 말 자체부터가 논란의 여지가 있기 때문에 문제. 정의를 가장 완벽한 섬이라 정의했기 때문에, 실존하지 않는 이데아와 마찬가지로 이미지적으로 상상을 못해도 그 개념은 나타낼 수 있다. 즉, '완벽함'이 섬에도 동일하게 부여될 수 있다는 것. 예를 들어 -1의 제곱근인 허수는 -1의 제곱근인 것을 상상할 수 없기에 비존재하지만, 애초에 그 비존재를 가장하고 만든 개념으로 수학 체계상에서는 실재할 수 있다.[3] 반박: 그러나 현실에서는 허수 길이는 존재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하느님도 개념적으로 상상할 수 있다고 해서 현실에 존재하란 법은 없다. 또한 하느님이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상상할 수 없지만 존재하는 것'인지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상상할 수 없지만 존재할 수 없는 것'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결국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를 알아야 하므로 순환 모순에 빠진다. 또한 무언가가 존재한다고 해서 그것이 특정 대상인 것은 아니다. 위의 논리는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상상할 수 없는 존재'가 존재함을 나타내지 그것이 신임을 보여주진 않는다.[4] 『처음 읽는 중세철학』 p.174[5] 많은 경우 이 중 칸트의 비판을 가장 결정적인 것으로 본다. 중세시대에는 존재를 속성에서 명확히 구분하지 않았으며 토마스 아퀴나스 역시 부활에 관한 문제를 다룰 때 존재를 속성처럼 취급했다. 다르게 말해 칸트의 비판은 그때까지 상식적으로 통용되던 철학적 개념을 논박한 것으로 철학사적 의의또한 크다.[6] 현대에도 이 논증을 지지하거나 재해석하려는 시도는 소수이기는 하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