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a2032 70% 80%, #0066b3 80% 90%, #da2032 9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 ||
미아트 몽골항공 | 에어로 몽골리아 | 훈누에어 | |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 |||
이즈니스 항공 | |||
화물 항공사 Cargo Airline | |||
에어카고 몽골리아 | |||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 |||
한가드 항공 | }}}}}}}}} |
||<-3><table align=right><table bordercolor=#312783,#312783><table 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312783,#312783> 에어로 몽골리아
Aero Mongolia ||
Aero Mongolia ||
| ||
<colbgcolor=#312783,#312783><colcolor=#ffffff> 국가 |
| |
설립일 | 2001년 | |
운항개시일 | 2003년 5월 25일 | |
대표 | Chuluunbaatar Baz | |
마일리지 | Skymiles[1] | |
보유 항공기 수 | 4 | |
취항지 수 | 4 | |
허브 공항 | 칭기즈 칸 국제공항 | |
부호 | <colbgcolor=#312783,#312783> | AERO MONGOLIA |
M0 | ||
MNG | ||
본사 | 몽골 울란바토르 | |
모회사 | 모니스 그룹 | |
링크 |
1. 개요
몽골의 민간 항공사이다.2. 운항 노선
- 동계 운항 일정 2025.10.26~2026.3.27은 다음과 같다.
국가 | 도시 | 공항 | 주 일정 | 편번 |
| 서울 | 인천국제공항 | 주 5회 | MO 601/602/603/604 |
| 도쿄 | 나리타 국제공항 | 주 3회 | MO 901/902 |
| 후허하오터 | 후허하오터 바이타 국제공항 | 주 4회 | MO 801/802 |
| 계절: 하노이 | 노이바이 국제공항 | 주 2회 | MO 535/536 |
3. 보유 기종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어로 몽골리아/보유 기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어로 몽골리아/보유 기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대한민국 노선
현재 인천-울란바토르 항공노선 간 직항을 운항 중이다. 한 때 청주-울란바토르 항공노선 직항도 있었지만 단항되었다. 제주국제공항에서는 전세기를 운항중이다.기종은 A319가 투입된다. 그 이외의 기종은 초소형 항공기인 엠브라에르의 ERJ-145 뿐인데 인천국제공항 탑승구의 위치와 맞지도 않으며 리모트 탑승구[2]도 하나밖에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3]
2006년 기준, 에어로 몽골리아 서울 지점장은 이형남으로 미아트 몽골항공을 한국에 최초로 운항시킨 유일한 외국인 지점장 출신이다.
2024년 7월에는 무려 양양국제공항에 전세편을 띄웠다!#
자사 기재 직항 | |||
울란바토르(UBN)~서울(ICN)/T1 | 울란바토르(UBN)→서울(ICN)/T1(M0601) | 서울(ICN)/T1→울란바토르(UBN)(M0602) | 기종 |
10:30(UTC+8) 출발 / 13:30(KST) 도착 | 14:30(KST) 출발 / 18:30(UTC+8) 도착 | A319-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