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전기통신연합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2><table bordercolor=#dcdcdc><rowbgcolor=#f5f5f5><tablecolor=#000> BT.2100  표준
Recommendation BT.2100 ||
Recommendation BT.2100 ||
관련 분야 | |
전파통신  (ITU-R) Radiocommunication | |
내용 | |
HDR 디스플레이를 위한 영상 및 이미지 스펙 | |
색 영역 | DCI-P3 · ITU-R BT.2020 표준 |
전송 함수 | PQ · HLG · 선형 |
색 심도 | 10 비트/채널 이상  (정수 · 부동소수점) |
흰색 기준점 | 203 cd/m²  (ITU-R BT.2408 표준) |
색상 포맷 | RGB · YUV · ICtCp |
[clearfix]
1. 개요
ITU-R BT.2100 표준에 기반하여 HDR (High Dynamic Range)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이미지 포맷을 다루는 문서.2. 코딩 방식
HDR 구현에 쓰이는 레이어의 수에 따라서 싱글 레이어 방식과 듀얼 레이어 방식의 코딩 기법으로 나뉜다.2.1. 싱글 레이어
ISO/TS 22028-5 표준에 근거하여 하나의 파일에 하나의 이미지 레이어를 포함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으로는 SDR 환경과의 하위호환성이 없고 HDR 디스플레이에서만 제대로 보여진다. CICP (Coding-Independent Code Points) 메타데이터 (ITU-T H.273 및 ISO/IEC 23091-2 표준)에 기반하여 장면 참조형 선형 (Scene-Referred Linear), SMPTE ST 2084 (PQ), ARIB STD-B67 (HLG) 등의 곡선에 맞춰서 색상 저장과 구현이 이루어진다.[1] 정수 색상으로는 10비트 및 12비트를 필요로 하고 부동소수점 (선형) 색상으로는 16비트 및 32비트를 필요로 한다.2.2. 듀얼 레이어
ISO/WD 21496-1 표준에 근거하여 하나의 파일에 두 개의 이미지 레이어를 포함하는 방식이다. 첫 번째는 SDR 환경과의 하위호환성을 고려하여 SDR 색상으로 톤매핑 된 이미지 레이어가 저장된다. 두 번째는 HDR 게인 맵 (HDR Gain Map)을 다루는 이미지 레이어가 저장된다. 두 번째 이미지는 듀얼 레이어 방식의 HDR 이미지를 지원하는 환경에서만 인식이 되며 구형 환경에서는 첫 번째 이미지만 인식되어 SDR로 표현된다. 두 레이어 모두 ITU-R BT.709 및 sRGB 곡선에 맞춰서 색상 저장과 구현이 이루어진다. 이 방식으로는 전통적인 포맷과 같이 8비트의 색상만 있으면 된다.이 방식을 구글은 울트라 HDR (Ultra HDR)이라고 부르고 삼성전자는 슈퍼 HDR (Super HDR)이라고 부른다. 애플은 풀 HDR (Full HDR)이라고 부른다.
2024년 구글과 애플이 ISO 21496-1 표준에 맞춰 통일시킨다고 발표하였다.[2]
3. 포맷 종류
- 싱글 레이어 지원: OpenEXR (선형), TIFF (선형), Radiance HDR (RGBE 및 XYZE 색상), HEIF (PQ · HLG), AVIF (PQ · HLG)
- 듀얼 레이어 지원: HEIF, AVIF, JPEG
3.1. OpenEXR
3.2. TIFF
3.3. Radiance HDR
3.4. HEIF
3.5. AVIF
3.6. JPEG
3.7. PNG
4. 현황
- 캐논, 소니, 니콘은 이미 최신 미러리스 카메라 기종에 싱글 레이어 HDR 형식의 10비트 HEIF 저장 기능을 추가했다.
- 캐논은 HDR PQ라는 이름의 기능으로 탑제했다.
- 소니는 HLG Still Image 라는 명칭의 메뉴로 설정한다
- 니콘도 HLG Tone mode 라는 명칭으로 설정한다.
- Android 13부터 싱글 레이어 방식의 HDR 이미지 캡쳐를 지원한다. Android 14부터는 울트라 HDR이라고 불리는 듀얼 레이어 방식의 HDR 이미지 캡쳐를 지원한다. 인스타그램에서 울트라 HDR을 지원한다.
- 아직까지 HDR 이미지 포맷을 제대로 보여줄 수 있는 기기가 많지 않다.
- 온라인 상에서도 HDR 이미지 포맷을 받아주는 곳이 많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