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06:59:05

김책역

성진역에서 넘어옴
김책역
역명 표기
평라선 김책
Kimchaek
金策 / [ruby(金, ruby=キム)][ruby(策, ruby=チェク)]
주소
함경북도 김책시 역전동
관리역 등급
불명
(청진철도총국)
운영 기관
평라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개업일
함경선 1924년 10월 11일
철도거리표
평양 방면
쌍 룡
← 6.4 ㎞
평라선
김 책
라진 방면
장 평
6.3 ㎞ →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평라선의 철도역. 함경북도 김책시 역전동(이북5도 기준 함경북도 성진시 본동) 소재.

2. 역 정보

1924년 함경선의 여해진 - 길주 구간이 개통되면서 개업 성진(城津)이라는 역명으로 개업하였다, 현재의 역명이 된 것은 6.25 전쟁 이후.

딱히 분기노선이 없는 관계로 승강장은 1면에 불과하지만 이 역에 소속되어 있는 선로는 12개나 된다. 3km나 떨어진 공장에까지 인입선이 이어져 있는 정도이고 또 죄다 전철화되어 있으니 얼마나 구석구석까지 인입선이 나 있고 얼마나 김책역이 규모가 크며 얼마나 북한에서 이 김책시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지 알 수 있다.

3. 역 주변 정보

원래는 '성진시(城津)'와 '학성군(鶴城)'이었다. 원래 같은 성진군이었다가, 1943년 성진읍이 부(시)로 승격돼 분리되고 남은 성진군은 학성군으로 개칭됐다. 그런데 6.25 전쟁에서 김일성의 심복인 김책평양에 남겠다고 하는 걸 끌고 갔다가 졸지에 연탄가스로 죽는 바람에, 이를 기리고자 성진시와 학성군의 이름을 각각 김책시와 김책군으로 바꾸고 이를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당시에 합치면서 현재의 김책시가 생겨난 것. 1순위는 김일성의 아버지아내, 작은아버지 이름을 딴 김형직군(후창)과 김정숙군(신파), 김형권군(풍산).

북한 유일의 공업대학도 바로 이 김책의 이름을 따서 김책공업대학이라고 지었으며, 1994년 김일성이 죽고 그가 애지중지하던 금고를 열어보자 그와 김책이 찍은 사진이 있었다고 하니 그의 이름을 딴 김책시를 공업의 중심지로 육성하려고 애를 쓴 것도 어쩌면 당연할 것이다. 실제로 김책시 중심부의 크기는 대략 7㎢이니 (원래 광복 당시 북한의 11시 89군 중 1개의 시였으니까 규모가 좀 됐다고는 하지만) 나름대로 잘 성장한 셈이다.

북한 행정구역상 김책시는 22동 22리를 두고 있다.

해안까지의 거리는 600m가 조금 안 되는데, 가까운 쪽의 바다는 모두 항만이 건설되어 있다. 화암(花岩)이라고 해서 볼 만한 지역만 간신히 남겨두고 있다.

4. 둘러보기

평라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선로공유(평의선):
- - - -
옛 평원선 구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옛 함경선 구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옛 청라선 구간: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