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2 10:46:25

Brainrot

브레인롯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브레인롯'''{{{#!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탈리안 브레인롯}}}에 대한 내용은 [[Italian Brainrot]]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talian Brainrot#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talian Brainrot#|]]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탈리안 브레인롯: }}}[[Italian Brainrot]]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talian Brainrot#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talian Brainrot#|]]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brainrot.jpg
위 단어들을 사용할 시 C1 수준의 처벌을 받습니다.[1]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십시오.
Brainrot 단어의 사용과 관련된 한 학교의 경고문이다.[2] 위의 Skibidi, sus, mewing 등의 밈들은 주로 2023년 중반에 유행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Brainrot 밈의 전형적인 예시가 되었다.

1. 개요2. 어원3. 전파 방식4. 목록5. 예시

1. 개요

penguin (very emotional)
펭귄 (매우 감동적임)
[3]
브레인롯 숏폼의 전형적 예시

Brainrot은 2023년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유행어이자 밈으로, 그 중에서도 알파세대가 주로 즐기고 사용한다고 여겨지는 밈의 종류를 일컫는다. 직역하면 '뇌 썩음', '뇌 부패', 의역하면 '뇌 녹음' '뇌절' 정도가 된다. 한글로 음차하여 표기할 경우 브레인롯(영국식) 또는 브레인랏(미국식)으로 표기할 수 있다.[4]

이름의 직접적인 유래는 엘더스크롤 시리즈에 등장하는 질병인 "Brain Rot"[5]콜 오브 듀티 시리즈 좀비모드에서 공격한 좀비를 세뇌시켜 일정시간동안 좀비들을 물어뜯게 만든 다음 자살시키는 탄약 모드의 종류인 Brain Rot 으로 보이지만 # 아래 문단에서 밝히듯, 이 용어 자체가 신조어인 것은 아니다.

한국에서는 아래의 Italian Brainrot 밈으로 인해 이 용어의 인지도가 높아졌다.

2. 어원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는 "2024년 올해의 단어"로 "Brain rot"을 선정하면서 아래와 같이 정의를 내렸다.
The supposed deterioration of a person’s mental or intellectual state, especially viewed as the result of overconsumption of material (now particularly online content) considered to be trivial or unchallenging.[6]
사소하거나 도전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는 온라인 콘텐츠 등의 과도한 소비로 인해, 사람의 정신적 또는 지적 상태가 악화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상태.[7]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의 신문에 의하면 이 단어는 의외로 신조어가 아니라고 한다. 미국의 철학자이자 시인, 수필가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1854년 저서 "월든(Walden)"에서 이 단어가 등장하며[8] 사회가 복잡한 아이디어를 평가절하하는 경향을 "Brain rot"에 빗대면서 정신적이고 지적인 노력이 전반적으로 쇠퇴하는 과정을 표현할 때 사용한 단어라고 한다.

3. 전파 방식

Brainrot 밈들은 YTPMLG와 비슷하게 저퀄리티와 단어의 오남용 및 과장으로 의도된 오글거림을 통해 유머를 자아낸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그 밈의 의미 자체를 생각하지 말아야 하며, 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핵심인 밈이다. Brainrot 밈을 대표하는 세대는 알파세대인 만큼 숏폼 플랫폼을 중심으로 하며, 매체에서는 알파세대가 Brainrot 밈에 빠져 있다는 식의 고정관념이 자주 등장한다.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밈 원본과 Brainrot 밈의 대부분을 사실 Z세대가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Z세대의 원본 밈이 퍼지는 과정에서 알파세대 초등학생들이 밈의 의미도 모른채 단순히 재생산하거나 따라하고[9], 밈의 본래 의미가 왜곡되거나 매우 오글거리는 영상을 만드는 사례가 많아지게 되었다.[10] 이를 본 Z세대는 알파세대의 잦은 스마트 기기 사용으로 인한 뇌 손상과 엮어 이를 Brainrot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1. Z세대에서 특정한 유행이 시작됨
2. 알파세대가 이 유행의 본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뇌절을 함
3. Z세대는 이 알파세대의 뇌절을 일부러 따라하면서 놀리기 위해 Brainrot 밈을 만들게 됨
실제로 알파세대들은 Z세대보다 더 어릴 때부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세대로, 이전 세대들보다 훨씬 일찍 틱톡, 유튜브 등의 자극적인 컨텐츠에 노출되어 집중력, 문해력, 기본 교양이 크게 퇴화되었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었다. 이 상태에서 Z세대들은 자신들의 밈들을 이해할 수 없는 이상한 방식으로 오글거리게 소비하고 있는 알파세대들을 보게 되었고, 이 용어를 사용하여 현상을 설명하다 이제는 밈의 한 장르가 된 것이다.

YTPMLG 밈들을 만든 밀레니얼 세대[11] 일명 Cringe스러운 내용과 개연성을 갖추고 있거나 타겟 연령층이 겹치는 엘사게이트와 소재, 영상의 맥락 등이 겹친다는 점이 다르다. Brainrot 밈들을 싫어하는 사람들은 해당 밈들을 억지 밈 또는 엘사게이트와 동일하게 취급하는 중으로 Brainrot 밈들을 풍자하거나 조롱할 때 알파세대에 미취학 이하가 있다는 점을 이용해 주로 플랫폼에 세뇌되었다는 이유로 파양당하거나 고아원에 맡겨졌다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Brainrot 밈들을 제일 비판하는 세대인 Z세대도 온갖 정신없는 편집으로 도배된 MLG, YTP 등 이전 세대가 이해하기 힘든 밈을 향유한 세대라서 젊은 꼰대와 다를 바 없다는 비판도 많다.[12]

Z세대가 사용하던 밈이더라도 시간이 지나 그 유행이 사그라지면 유튜브 쇼츠에서 그 밈이 명맥을 이어가는데 Z세대 입장에서 볼 때 이젠 재미가 없어서 억지 밈이라며 Brainrot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유튜브 쇼츠가 틱톡이나 인스타에 비해 유행 속도가 가장 느리기 때문이다.

유행 시기는 최근이지만 등장 시기나 분류가 상당히 모호하다. 2023년 이후에 등장한 것이 아니더라도 숏폼에서 유행한 밈들은 대부분 Brainrot으로 분류되는 경향이 있다.
ENGLISH OR SPANISH 😈
mah bois: *frozen*🥶
sus caseoh: *moves* CAN I GET A HOYAAAA?
me: AYOOOO😳
Jonkler: why so serious 👽
💀(those who know + adrenaline + noradrenaline + still water + german stare + only in ohio + balkan parents + bro thinks he's the main character + sigma)
20 likes for part 2
EDIT: MOM IM FAMOUS!!!

대표적인 유튜브 쇼츠 Brainrot 댓글의 예시
현재 Z세대는 여러 밈이 묶인 Brainrot을 알파세대를 저격하는 하나의 밈으로 보고 있다. 저연령층 행세를 하여 이런 억지 밈들을 마구 사용하면서 그 오글거림을 최대한 끌어내어 실소를 유발하는 것이 Z세대의 Brainrot 활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Brianrot이 유행하기 시작한 시기가 생성형 인공지능(e.g. ChatGPT를 위시한 LLM, Stable Diffusion 계통 및 Midjourney을 위시한 그림 인공지능, Suno AI류 짧은 인공지능 음악 생성)의 인기와 맞물려, 일부 Brainrot 밈들은 생성형 인공지능을 도구삼아 탄생하거나 유행하였다.

2025년 5월부터 Brainrot이라는 단어는 더 이상 하나의 밈만을 수식하는 의미로 쓰이지 않는다. Italian Brainrot이 사실상 개별적인 Brainrot 밈이라고 불린 마지막 사례이며, 이후에는 그냥 뇌를 썩게 하는 밈들을 통칭하는 뜻으로 쓰인다.

4. 목록

용어들 중 다수의 뜻은 Know Your Meme 등의 해외 위키에서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 용어들은 대부분 뇌가 썩는다는 의미에 맞게 무의미하게 쓰는 경우가 잦기 때문에 항상 이러한 뜻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으로 Gyatt의 경우 원래 여자의 엉덩이를 보고 나온 리액션에서 유래되었으나 현재는 그냥 어떤 대상이든 상관없이 감탄사로 쓰인다. 또한 요즘 밈의 특성상 Brainrot 관련 밈들이 자주 나오기 때문에 대부분의 영미권 밈들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5. 예시

미국의 변호사이자 법률 관련 컨텐츠 크리에이터인 마이크 맨델의 영상. 피고인이 brainrot 밈으로 점철된 대사를 한다.
다중 언어(polyglot) 유튜버인 Xiaomanyc이 고등학교에 가서 brainrot, 정확히는 알파 세대의 '언어'로 발표를 하는 영상. 언어 구사에 재능이 있는 사람 답게 상당히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호주의 파티마 파이만 상원의원이 Z세대와 알파세대에게 친숙해지기 위해 brainrot 단어들을 사용해 실제 연설을 진행했다. 이 단어들을 공부까지 했는지 뜻이 다 맞는다.
이 문서의 예시들에서 나온 brainrot meme들로 점철된 AI로 만들어진 동요 패러디. 단어들 뜻을 안다면 민망할 정도로 천박한 노래다.
brainrot 단어들로 번역된 스카이림의 시작 장면.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의 brainrot 버전 패러디 영상.
2025년 6월부터 유행한 Mustard, Mango Phonk, 67 밈 모음집.

[1] 주로 영연방의 학교에서 "Consequence System"이라고 하여 수업 태도나 평소 행실이 좋지 않은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처벌이다. 일종의 벌점 혹은 징계 체계라고 보면 되는데, 학교에 따라 처벌 단계가 다르지만 보통 C1부터 C4 이상까지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C1의 경우 수업 중 잡담, 방해, 고의적 학업 불이행, 지각 등의 행위로 인해 분류되는데 다른 좋지 않은 행위보다는 경미한 수준에 그쳐서 구두 경고로 끝난다. 다만 단계가 높아져서 C4 이상의 수준으로 가면 유기 정학, 심하면 퇴학 처분까지 받을 수 있다.[2] 사실 저건 약간 심한 수준이다. 해당 사진은 원래 한 학생이 자기소개를 하다가 출신 주로 오하이오를 말했는데 하필 여기에 걸려서 불합리하게 C1 처분을 받은 것에 대해 인터넷에 항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올라온 것이었다.[3] 영상의 내용을 설명하자면 켈빈 해리스의 Summer가 굉장히 저음질로 열화되어 깔리면서 마다가스카/마다가스카의 펭귄 시리즈의 등장 캐릭터인 스키퍼가 나와 두리번거리며 배가 고프다고 말한다. 이때 생긴 햄버거를 보곤 "버거 😲"라고 말하며 다가가다 갑자기 햄버거가 불에 타 사라지고 이내 슬퍼하며 "안돼애애애 😩" 같은 늬앙스로 말한다. 그러고는 구석에 가서 가만히 있는데 앞에 퍼그가 춤을 추며 나타나며 귀엽다고 감상하고 있던 중 퍼그의 형상이 옅어지며 Jerma985일그러진 미소와 함께 나타나 "죽어라."라고 말하고 도망가자 스키퍼가 기다리라고 말하며 어디선가 날아온 미사일에 폭격을 당하고 영상이 끝난다.[4] 온라인가나다의 공식 답변[5]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때부터 있었다.[6] 출처: ‘Brain rot’ named Oxford Word of the Year 2024[7] 출처: 멍 때리고 휴대폰 보는 ‘브레인 롯’…옥스포드대 올해의 단어 선정[8] "While England endeavours to cure the potato rot, will not any endeavour to cure the brain-rot – which prevails so much more widely and fatally?"
"잉글랜드인들은 감자가 썩는 걸 해결하려고 하는데, 훨씬 더 광범위하고 치명적으로 퍼져 나가는 '뇌 부패(brain-rot)'는 해결하지 않을 것인가?"
[9] 이 사례를 대표하기에는 좀 성격이 다르지만 가장 유명한게 Italian Brainrot인데, 트랄랄레로 트랄랄라는 수위가 매우 높은 욕설과 패드립, 섹드립 및 신성모독으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어린 알파세대 초등학생들은 이를 모른채 밈을 재생산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초창기부터 Z세대 내에서 특정 내러티브로 유명해지다가 알파세대가 무작정 따라하며 의미가 희석된 사례가 아니며, 애초에 밈이 이탈리아어라 뜻을 못 알아듣기도 했고, 숏폼 알고리즘을 통해 세대 구분 없이 초반부터 널리 퍼진 밈이어서 Sigma, Trollface와 성격은 좀 다르다.[10] 사실 초등학생 정도의 어린 아이들에게 인터넷 문화가 멋져 보이고, 따라하고 싶어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며, 항상 있는 일이다. 그리고 아무래도 어리다 보니, 과장되거나 오글거리는 모습이 보이는 것은 어쩔 수 없다. 하지만 Z세대 특유의 개그 코드는 이러한 '의도된' 오글거림과 상당히 잘 맞았고, 이것이 대대로 이어져 온 "요즘 어린것들 ㅉㅉ"같은 아래 세대 욕하기와 환상의 조합을 이루며 Brainrot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11] YTP는 해당 분야의 역사부터 오래됐으며 Brainrot에서 다루는 주제와는 다른 주제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애니메이션 야채극장 베지테일이나 고전게임이라든지.[12] 국내로 따져봐도 인터넷 태동기를 풍미했던 팥죽송,뚫훓송 같은 계열의 컨텐츠나 엽기 코드가 Brainrot와 유사한 성향을 띄고 있었다.[13] 미국에서 가장 위험한 곳으로 평가받는 O-block이 시카고 64번가에 위치해 있다.[14] "41 But I Got 41 Gold"(난 41살이지만 41개의 금을 가지고 있지)라고 들리는 사람들도 있다.[15] 게임 속 가상의 프랜차이즈[16] double chunk cookie라는 밈이 있다.[17] 누가 변기를 깨뜨려서 화장실이 물바다가 되는 경우, 학교 노트북을 분해해서 탑을 쌓는 경우 등[18] 음경 위에 가래침을 뱉는다는 뜻. hawk tuah는 "칵 퉤" 쯤으로 해석된다.[19] 특히 밈의 주인공인 헤일리 웰치는 이 이후 공적인 자리에 자주 등장하는 등 거품 낀 유명세로 비판받기도 했다.[20] 원래는 자신의 친구를 잃어버렸다는 뜻이지만, 친구를 뜻하는 슬랭 dawg이 dog로 들리기 때문에 의미가 변질되었다.[21] 성인인증이 걸려있다. 웬만하면 듣지 않는 것이 건강에 이롭다.[22] raping[23] 이 오디오가 정말 경악스럽다는 뜻. 이런 문장은 이 노래가 유명해지기 전에도 병맛스럽거나 저질스러운 음원이 쓰인 릴스의 댓글창 위를 차지하곤 했다.[24] 원문은 "Honestly if it had a different beat, different melody, different lyrics, different sound effects, different artist, different theme, different message, and a different genre, it could’ve gone hard 🔥"(솔직히 이 노래가 다른 비트에 다른 멜로디, 다른 가사, 다른 효과음, 다른 아티스트, 다른 테마, 다른 메시지에 다른 장르였다면 개쩔었을듯 🔥)이다. 지금은 해당 댓글이 삭제되었다.[25] 몇몇 제품에 곰팡이가 피고, 공식적으로 방부제도 썼다고 한다.[26] 원래는 한국에서 파는 곳이 없어 해외직구를 해야만 했다.[27] Subaru가 자동차 회사 이름 스바루과 같다 보니 Pagani도 다른 자동차 회사 파가니에서 따왔다.[28] 예시로 반전이나 갑작스러운 상황에 💀 이모지를 넣는 형식의 영상을 들 수 있다.[29] 원래는 Excuse Me를 말한 것이다.[30] 유튜브에 'Those who know'만 검색하면 무슨 밈인지 이해할 수 있다. 이것 말고도 those who nose, those who snow 등 변형된 드립들도 나오고 있다.[31] 이제는 아무 영상에 "Mango"라는 단어만 나오면 사람들이 이 밈을 떠올릴 정도다. 예시[32] 참고로 이 노래를 만든 사람은 알파세대로 볼 수 있는 2010년생이다.[33] 최근에는 아래의 Druski dance가 더 흔하다.[34] 소원을 건 나무 이모지[35] 이 또한 Coi Leray의 원곡을 커버한 것이다. 게다가 이 커버곡을 또다시 커버한 greenarts의 버전도 자주 사용된다.[36] g를 주어, rape를 동사, fruit을 목적어로 봤다.[37] 물론 평범하고 별 의미 없는 말이다.[38] 대부분 어떤 상황을 생각할 때 불리한 경우에는 뻘쭘한 고양이 사진을 넣고 유리한 경우에는 공유의 세일즈맨 장면 박자편집을 넣는 형식이다.[39] 원본 한국어 대사는 "나는 이 게임을 해봤어요!!"이다.[40] 코코멜론 문서의 비판 문단 참고.[41] 단독으로는 1000명의 맹인들을 도와주는 영상의 썸네일에 도움을 받지 못한 1001번째 맹인을 조롱하며 춤추는 모습으로 나오는 식의 왜곡성 밈으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