穟 벼이삭 수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禾, 1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8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スイ | ||||||
일본어 훈독 | - | ||||||
穟 | |||||||
표준 중국어 | su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穟는 '벼이삭 수'라는 한자로, '벼의 이삭'을 뜻한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禾(벼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遂(드디어 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유니코드에는 U+7A5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DYTO(竹木卜廿人)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𥠂[⿰禾㒸](U+25802)
- 𥢁[⿰秀㒸](U+25881)
- 𦼯[⿱艹遂](U+26F2F)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𢅕[⿰巾遂](짙은붉은색 세)
- 𣄚[⿰方遂](기 수)[1]
- 隧/𡑞[⿰土遂](길 수)
- 𨆏[⿰𧾷遂](깊을 수)
- 譢(꾸짖을 수)[2]
- 澻(밭도랑 수)
- 燧(봉화 수)
- 𧸙[⿰貝遂](부의 수)
- 𢢝[⿰忄遂](사려깊을 수)[3]
- 檖(산배 수)
- 䡵(수레장식 수)
- 襚(수의 수)
- 嬘(여자의자 수)
- 繸/𩍚[⿰革遂](인끈 수)
- 禭(제사이름 수)
- 璲(패옥 수)
- 鐩(화경 수)
- 𢷊[⿰扌遂](두드릴 초)[4]
- 礈(떨어질 추)[5]
- 𨣢[⿰酉遂](수)
- 𡀟[⿰口遂]
- 𭛉[⿰弓遂]
- 𪩩[⿰巨遂]
- 𰖱[⿰日遂]
- 𭿨[⿰目遂]
- 𮕆[⿰虫遂]
- 𲌓[⿰骨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