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2 22:08:29

미스터 빅(주토피아 시리즈)

미스터 빅(주토피아)에서 넘어옴
미스터 빅
Mr. Big
<nopad>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Mr._Big_Zootopia_.jpg
<colbgcolor=#4d88be,#010101><colcolor=#000000,#e0e0e0> 본명 불명
Unknown
성별 남성
종족 북극땃쥐
나이
등장 작품 주토피아
주토피아 2
성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모리스 라마시[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용우[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야마지 카즈히로
Ice 'em!
얼려버려![3]
My child, we may be evolved, but deep down, we are still animals.
아가야, 우리가 진화를 했어도 내면 깊숙한 곳에는 동물의 본성이 여전히 남아있어.[4]이보시게, 우린 진화를 했지만 근본적으로 우린 여전히 동물이오.]

1. 개요2. 작중 행적3. 기타



1. 개요

주토피아의 등장인물. 툰드라 타운 범죄 조직[5]의 보스로, 캐릭터 모티브는 영화 <대부>에 등장하는 마피아 두목 비토 콜레오네이다. 가슴팍에 붉은 꽃을 단 정장은 물론 특유의 말투와 억양, 밑으로 늘어지는 듯한 입꼬리를 비롯한 외모의 특징, 이탈리아 토속 음악, 새끼손가락으로 턱 긁기와 집의 모양, 그리고 작중 첫 등장이 딸의 결혼식인 것까지 모두 <대부>의 패러디이다. 작디작은 땃쥐이지만 거대한 북극곰들을 부하로 두고 있는 조직의 보스이며 암흑가의 제왕이다. 작중 내내 얍삽하게 건들거리던 닉조차 이 양반과 관련된 일이라는 걸 알자 어떻게든 빠지려고 했고, 그 앞에 잡혀오자 벌벌 떨며 반지에 키스[6]했을 정도로 위압감을 지녔다.

2. 작중 행적

2.1. 주토피아

암흑가의 보스로 어린 닉 와일드를 데려와 먹여주고 재워주고 키워줬다. 하지만 이런 은혜에도 닉이 자신의 뒤통수를 치고[7] 도망가 버려서, 두번 다시 자신 앞에 나타나지 말라고 경고했었다.

하지만 딸인 프루 프루가 나타나자마자 한동안 매서웠던 눈빛을 풀릴 만큼 엄청난 딸바보인지라, 닉과 주디 홉스를 보고 얼음물에 담가서 처형시키려고 하지만 주디가 딸을 구해준 은인이라는 사실을 알자[8] 곧바로 협력자로 돌아서고[9] 심지어 손녀딸의 대모로 지목했다.[10][11] 원예사인 에밋 오터톤을 데려오기 위해 리무진을 대절해주고[12] 자신과 돌아가신 할머니의 명예를 훼손한 닉 와일드를 목숨만은 살려주고[13], 은혜는 꼭 갚는 등 후한 면도 있다. 다시 사건을 파헤치기 시작한 주디와 닉이 듀크 위즐튼을 심문할 때 기꺼이 자신의 얼음물을 제공(?)해주기도 했다.[14] 엔딩 크레딧에서는 부하의 손 위에서 딸과 함께 춤을 춘다.

"진화를 했더라도 내면 깊숙한 곳에는 여전히 동물의 본성이 남아있지.(We may be evolved, but deep down, we are still animals.)" 라는 명대사의 주인공이다.[15]

2.2. 주토피아+

2화에서는 프루 프루가 주인공이 되어 이야기가 진행되지만 짧게나마 몇 부분 등장한다. 첫 등장은 할머니의 사진을 보며 미소를 짓는 모습으로 나오며, 마지막에는 사진으로 등장하는데 거기선 짧게나마 아내와 함께 찍은 결혼식 사진이 나온다. 작중 말하는 것으로 봐선 미스터 빅은 아내와 작고 소박한 결혼식을 치러서 둘만 찍혀 있다.

4화의 딸의 결혼식에서 자신이 주토피아로 오고 지금의 위치까지 올라온 과정을 이야기한다. 년도를 이야기하는 성 싶다가 상관없다며 얼버부리는 게 포인트.

당시의 주토피아는 동물별 구역이 구분되지 않아 작은 동물들은 큰 동물들 사이에서 목숨 걸다시피 하고 살아야 했고,[16] 북극곰들은 더위에 시달려야 했다.[17] 함께 온 할머니의 빵을 배달하다가 더위에 고생하는 어린 북극곰에게 아이스크림을 건네는 온정을 베풀며 친구가 되고,[18] 기지를 발휘해 불한당 코뿔소 일행을 퇴치한 것[19]을 계기로 조직을 만들고 성장했다. 그리고 이때 나온 대사가 미스터 빅을 상징하는 대사인 "Ice 'em!"이었다.[20]

크기가 작은 설치류들을 위한 설치류 마을을 만든 것도 그의 업적이다. 묘사상으로는 조직폭력배보다는 조직폭력배를 내쫓은 지역 터줏대감의 이미지가 강한 편. 어린 시절 가족을 사랑했던 청년이 조직의 보스가 된 것과 조직의 보스임에도 작중에서 은근히 자비롭고 현명한 모습을 보이던 이유도 밑바닥부터 사업을 번창시켰던 자수성가한 사업가이자 당시의 위험했던 환경이 맞물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할머니와 가장 힘든 시절을 함께하며 고생한 각별한 사연이 비춰져 할머니의 장례식을 망친 닉에 대한 분노를 짐작하게 한다(...). 또한 사위에게 자기 딸을 상처 입히면 담가버리겠다고 경고한다.

2.3. 주토피아 2

등장 확정. 주디스라는 이름의 외손녀가 생겼다.

핑크색 정장을 입고 있으며 예고편에서 주디와 닉에게 손녀 주디스의 반지에 키스하라고 윽박지르는 모습이 나온다.

3. 기타



[1] 겨울왕국에서 엘사, 안나 자매의 아버지 역을 맡았다.[2] 기존의 중년 톤을 생각하고 들으면 위화감이 엄청나다.[3] Ice 'em은 Ice them을 빠르게 말한 것이다. 실제 영어에서도 죽여버린다(kill)는 의미의 슬랭. 영화에서는 상대를 얼음물에 담가버릴 때의 명령이며 "담가!"라고 실로 적절하게 의역했다. 더빙판에서는 "얼음물!"로 표현했다. 담근다는 표현은 한국 조폭계에선 상대방을 죽인다는 은어로 사용된다. 유래는 대략 콩쥐팥쥐에서 팥쥐가 젓갈로 담궈진 결말으로부터 나왔다.[4] 더빙판:[5] 작중에서 마피아 느낌 풀풀 풍기는데다가 사람도 죽이려는 잔혹한 모습이 비춰지긴 했지만 주토피아+에 따르면 본질은 밑바닥에서 자수성가한 사업가이다. 폭력과 위협이 따르던 과거의 주토피아에서 터줏대감 역할을 하고 있는 것에 가깝다. 그리고 빅은 여러 합법적인 사업들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렇듯 본편 외의 설정들을 보면 깡패나 조직폭력배랑은 거리가 멀다. 물론 얼음물에 사람 담글려는 모습에서 알다시피 마냥 깨끗하지는 않지만.[6] 이 또한 <대부>에서 비토에게 복수를 의뢰한 인물이 그의 반지에 입을 맞추는 장면을 패러디한 것이다.[7] 스컹크 항문털로 만든 카페트를 고급 양탄자라고 속여 팔았다. 더 큰 문제는 그 카페트가 죽은 미스터 빅의 할머니를 묻을 때 둘러싸는 역할을 한 양탄자였다는 것. 거기에 한술 더 떠서 미스터 빅의 할머니는 닉에게 요리까지 해줄 정도로 친밀한 관계였다. 덕분에 자신의 명예와 돌아가신 할머니의 명예를 둘 다 훼손시켰다며 화내는데, 이 정도면 오히려 쫓아내기만 할 뿐 닉에게 별다른 보복을 하지 않은 미스터 빅이 대인배인 것이다. 일단 닉은 작중 행적을 보면 자기에게 잘 대해준 빅의 할머니에게 고인드립급 사기를 시전할 정도로 나쁜 여우는 아닌지라 아마도 대충 바닥에 깔 카페트를 구하는 것으로 여겨서 가짜를 팔았는데, 나중에 미스터 빅의 할머니가 묻히고 난 다음에야 그 카페트를 사용했다는 걸 알게 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 미스터 빅에게서 도망간 이유는 그의 보복이 무서운 건 말할 것도 없고, 사정이 어찌 되었든 미스터 빅에게 받은 은혜에도 불구하고 짝퉁을 팔아넘겨 그의 할머니의 명예를 훼손한 건 사실이기에 도망갔을 확률이 크다.진심으로 사과드리고 도망가는 게 나았을지도.[8] 영화 초반부에 주디가 듀크 위즐튼과 설치류 도시 리틀 로덴티아에서 추격전을 할 때, 쇼핑을 하고 길을 건너던 프루 프루에게 날아오던 도넛 조형물을 주디가 잡아 준 것이 근간.[9] 부하들이 둘을 내려줄 때 닉과 주디에 대한 태도가 다른데, 닉은 대충 던져놓듯이 내려놓고 주디는 아주 정중하게 내려놓고 빅이 순순히 협력하겠다고 호의적으로 나오자 닉도 눈 앞에서 벌어지는 상황에 어이가 없었는지 입이 떡 벌어진다.[10] 주디 홉스가 자기 딸을 위기에서 구해준 것에 대한 보답인데, 이렇게 되면 경찰이 조폭 두목의 손녀의 대모가 된 셈.(...) 미스터 빅의 딸은 아예 아이 이름을 주디로 지을거라고까지 했다.[11] 주디가 운이 좋게 말한 몇마디가 딸과 그의 호감을 산 것도 한 몫했다. 주토피아+ 까지 이야기를 더해서 보면 머리가 이쁘다고 말했을 때는 마침 프루 프루가 사촌과 머리 못생겼다는 말로 다툰 이후의 시점이었고, 다음에 담가지기 직전의 상황 때 말한 드레스 칭찬은 프루 프루가 입은 드레스는 프루 프루의 어머니, 즉 미스터 빅의 아내의 웨딩드레스를 물려입은 것이다. 미스터 빅에게도 기분이 좋아지는 말이었던 셈.[12] 꽤 오랜 시간 동안 원예사 일을 했기 때문에 그 동안의 경력과 정으로 가족처럼 아낀다는 점도 있었다.[13] 작중 대사를 들어보면 알겠지만 '다시 내 눈에 띄지 마라.' 라고 말을 한 듯하다. 즉, 그냥 내쫓기만 한 것이다.[14] 사실 경찰이 조폭 두목의 손을 빌려 용의자에게 고문을 가한 것이니 현실로 따지자면 엄청나게 비윤리적인 행동이다만 넘어가자. 다만 이 때는 주토피아에 혼란을 몰아왔다는 것 때문에 주디가 경찰에서 사임하고 고향에 돌아가 부모님의 일을 돕고 있다가 사건을 해결할 단서를 발견해서 주토피아로 돌아왔을 때이므로 엄밀히 말하면 이 때의 주디는 경찰이 아니었기에 아예 말이 안 된 건 아니다. 현실적으로 표현하면 특정인들을 광분시키는 혈청의 원료를 듀크가 유통했다. 빠른 시일내에 규명하지 않으면 치안이 악화되는 것.[15] 비록 이 영화에 인간은 안 나오지만 어찌 보면 인간을 간접적으로 겨냥한 말이라 할 수 있다.[16] 작은 동물들은 신호등, 벽돌 사이 등 위험한 공간에서 힘들게 살고 있었다.[17] 반대로 열대우림 동물들과 사막 동물들은 겨울에 고생했을 가능성이 크다.[18] 이 북극곰이 바로 그를 언제나 데리고 다니는 북극곰 코슬로프라고 암시된다. 이 또한 대부에서, 콜레오네 패밀리 조직원 중 유일하게 아일랜드인이고 어렸을 적엔 집 없는 거지에 불과했던 톰 헤이건이 장남 소니 콜레오네의 눈에 띄여 친구가 된 이후로 콜레오네 패밀리에 합류한 것을 패러디한 것이다.[19] 친구인 북극곰이 시비가 걸리자 코뿔소의 시야를 가리고 도망치다 막다른 나무벽으로 다다랐는데, 너머 바로 밑에가 얼음 공장이었다. 북극곰들로 하여금 눈을 가리고 걸려 넘어지게 해 그곳으로 빠지게 만들었다.[20] 여담으로 장면 중에 마천루 위에서의 점심식사를 모티브한 장면이 있다.[21] "The arctic shrew is the most vicious predator on earth."[22] 떨어진 상자 하나를 주워서 그들의 거주지로 정했을 무렵은 이주민들의 불법 건축을 포함한 비허가 노점상이라고 보는 것이 맞지만, 무뢰배를 소탕하고 정식적으로 건물을 지은 이후부터는 합법으로 바뀌었다고 보는 것이 맞다. 처음부터 합법적이었던 사업체는 양복점이 처음이라고 해석하면 모순이 없다. 그리고 또 다르게 본다면, 카놀리를 비롯한 제과 사업체의 시작은 할머니였으니 미스터 빅이 시작한 최초의 사업은 양복점이라고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