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10:07:21

모니어-윌리암스 산스크리트-영어 사전

1. 개요

모니어-윌리암스 산스크리트-영어 사전(Monier-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1][가]은 모니어 모니어-윌리암스(Monier Monier-Williams 1819-1899)가 평생에 걸쳐 방대한 자료를 수집및 정리해 저술한 산스크리트어영어로 기술한 언어사전을 개편 및 증보한 사전이다. 모니어 모니어-윌리암스는 인도 및 페르시아를 포함하는 근동 아시아지역의 저명한 언어학자이다. 저서로는 (직역)브라만교와 힌두교: 인도의 종교적 사상과 삶 (Brahmanism and Hinduism or religious thought and life in india)[3]이 있다.

2. 산스크리트-영어 사전

모니어-윌리암스 산스크리트-영어 사전 1899년판은 모니어 모니어-윌리암스(Monier Monier-Williams)경(Sir) 및 에른스트 로이만(Ernst Leumann 1859-1931)교수와 칼 카펠러(Carl Cappeller 1842-1925) [4]가 1899년 편찬 및 인쇄한 산스크리트-영어 사전이다.

2.1. 인터넷판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터넷판 모니어-윌리암스 산스크리트-영어 사전의 경우 알파벳 입력 방식은 로만 유니코드(Roman Unicode)방식이 널리 사용되며 쾰른 대학교에서 운영하는 모니어-윌리엄스 산스크리트-영어 사전의 인터넷버전의 경우 로만 유니코드(RU)뿐만아니라 교토-하버드(Kyoto-Harvard)나 SLP1 등의 방식들이 추가적으로 인정되기도 한다.[가]
그러나 여전히 이러한 방식들은 로만 유니코드(Roman Unicode)방식처럼 알파벳 입력 방식에 기반한다.

2.2. 모니어-윌리엄스 영어-산스크리트 사전

쾰른 대학교에서 운영하는 모니어-윌리엄스 산스크리트-영어 사전의 경우 모니어-윌리엄스 산스크리트-영어 사전을 디지털작업후 모니어-윌리엄스 영어-산스크리트 사전으로 확장해 제공하고 있다.

3. 관련 문서

*데바나가리 문자
*하타요가 프라디피카

[1]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etymologically and philologically arranged with special reference to cognate Indo-European languages, by Sir Monier Monier-Williams,Ernst Leumann,Carl Cappeller, Oxford, The Clarendon press, 1899 ,1333 pages https://catalog.hathitrust.org/Record/001327430[가] Monier-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scans/MWScan/2020/web/webtc/indexcaller.php[3] Brahmanism and Hinduism or religious thought and life in india 1891 제4판 Monier Monier-Williams https://www.google.co.kr/books/edition/Br%C4%81hmanism_and_Hind%C5%ABism_Or_Religious_T/-jNbAAAAQAAJ?hl=en&gbpv=1&dq=inauthor:%22Sir+Monier+Monier-Williams%22&printsec=frontcover[4] https://onlinebooks.library.upenn.edu/webbin/book/lookupname?key=Cappeller%2C%20Carl%2C%201842%2D1925[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