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스토리 (제1장) • 등장인물 및 세력 • 설정 • 지역 (황룡 • 리나시타) |
전투 • 상점 • 선약 방송국 • 튜닝 (캐릭터 이벤트 • 무기 이벤트) • 공명자 • 적 (보스) • 데이터 스테이션 • 솔라리스 가이드 • 임무 (조수 • 얽힌 별) • 업적 • 휘장 | |
이벤트 • 탐색 • 주기적 도전 (응소의 영역 • 시뮬레이션 영역 • 강적 토벌 • 무음 소탕 • 군가의 중주) • 역경의 탑 (심경 구역 • 과부하 구역) • 신비한 경지 (역대 시즌) • 홀로그램 전략 · 강습 | |
무기 (대검 • 직검 • 권총 • 권갑 • 증폭기) • 에코 • 보급 • 자원 • 재료 • 임무 • 특수 • 기타 | |
출시 전 정보 • 트레일러 • 컨셉아트 • OST • 업데이트 • 평가 • 흥행 • 논란 및 사건 사고 • 갤러리 • 채널 |
사이트 종류 | 아카라이브/채널 |
주제 | 명조: 워더링 웨이브 |
국장 | 신남 |
사이트 주소 |
1. 개요
명조: 워더링 웨이브를 주제로 하는 커뮤니티. 줄임말은 띵챈이다. 명챈이 아닌 이유는 이미 명일방주 채널의 줄임말이 명챈이어서 헷갈림 방지+이미 공식에서도 쓴 단어이기 때문이다. 다만 명조가 막 한섭이 출시되는 시점이라 그런지 유입이 많아 이를 잘 모르는 사용자는 명챈이라고 부른다.[1]여느 남초 커뮤와 같이 남캐와 관련한 밈이 많다. 다만 명조의 남성 방랑자나 기염, 카카루가 남성이 보기에도 꽤 멀쩡하고 멋진 디자인으로 나왔기 때문에 말 그대로 밈일 뿐 배척하는 수준은 아니다. 무엇보다 명조가 최근 여타 오타쿠 계열 게임들과 다르게 확실하게 여캐 위주로 캐릭터를 내고 있기 때문에, 몇 안되는 남캐를 가지고 떡밥이 도는 일 자체가 없다.
대놓고 원신을 모티브로 한듯한 UI와 플레이스타일 때문에 초창기 원신이 젤다 야숨과 비교되었던 것처럼 표절 관련 시비가 많은 편인데, 표절의 진위를 떠나서 엄연히 다른 게임이기 때문에 과도한 원신 언급은 금지된 상태다.[2] 그래서 명조 내에 고유한 개념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원신에서 사용되는 어휘[3]를 불필요하게 끌어와 명조 채널에서 사용하는 것 역시 지양하는 분위기. 다만 '풀돌풀재'나 온필드/오프필드와 같은 말은 원신 용어임에도 잘 쓰인다.[4] 또 원신의 이름을 직접 꺼내지만 않을 뿐 '그 게임', '어떤 게임'이라고 하는 등 어떻게든 우회적으로 언급하려 하는 글이 비일비재하기에 양 게임을 비교평가하는 분위기 자체는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게임 자체가 미완성에 가까운 수준으로 문제가 많은 상태로 출시된 채 아직 개선되지 않은 부분이 많다 보니, 오픈 이후 즐길거 다 즐기고 할게 없어진 유저들이 게임을 비판하는 떡밥이 빈번하게 올라온다. 물론 항상 그러한 것도 아니고, 대형 업데이트 사이의 소위 '노잼구간'에 해당하는 시기에는 대부분 게임들이 커뮤니티가 이런 분위기를 주기적으로 가지기 때문에 명조 채널만의 특징은 아니다. 다만 아직 오픈한지 얼마 안된데다 해결해야할 심각한 문제가 산재해 있기 때문에 앞으로 게임의 수명을 결정짓게 될 초반 운영과 개발력에 대한 우려가 많은 편. 명조가 서비스되고 많은 인게임 문제들이 해결되면서 운영 부분에선 한시름 놨으나, 스토리 문제는 아직 개선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많다.
번역 관련해서는 좋은 말 찾기 힘들다. 유독 명조가 번역 문제에서 제대로 검수조차 이뤄지지 않고 기본적인 오타 실수가 자주 튀어나와서 더 그렇다. 띵챈 내에선 이미 희대의 무능한 사기꾼 집단이라 규정짓고 까야 제맛인 분위기가 강하다. 조선족이 번역한거냐는 말이 나오면 조선족도 저따위로는 번역 안한다라고까지 할 정도다.
대다수 서브컬쳐 게임이 그렇듯이 정실 히로인 논쟁도 활발히 벌어진다. 특히 대규모 떡밥이 없으면 대개는 정실 논쟁으로 챈이 굴러가는 광경이 벌어진다. 장리 첫 출시 시점에서는 장리의 엄청난 외모, 몸매에 달달한 분위기와 연출이 이어지면서 대다수가 장리 1황을 주장하다, 파수인 공개 후에 귀신 같이 파수인으로 갈아타는 사람들이 슬슬 나오더니, 카멜리아 출시 후에는 장파카 3명의 3파전으로 이어지는 분위기. 정작 포지션상으로는 가장 메인 히로인에 가까우면서도 인게임에서 딱히 방랑자와 애틋한 전개가 없는 양양과 금희는 다소 삐뚤어진 사랑 혹은 웃음벨로 여겨진다.[5]
[1] 이후 명조 채널의 구독자가 명일방주 채널의 구독자를 넘어서자 명방 채널도 같이 하는 몇몇 유저가 이제부터 명방챈이 띵챈이라는 개드립을 치기도 했다. 물론 드립일 뿐이고 명조를 띵조라고 부르는 것은 이미 공식에서도 여러번 사용한 용어라서 여전히 명조채널을 띵챈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대다수.[2] 정확히는 단순 비교, 개념 비유 등을 위한 언급은 괜찮으나 둘을 비교하여 어느 한쪽을 평가하는 식의 글을 제재한다.[3] 레진, 공월, 비경, 기행, 원석 등.[4] 돌파의 경우 명조의 용어는 공명 체인인데, 풀공이나 풀첸이나 어감이 썩 자연스럽지 못하기도 하고 돌파라는 단어는 원신 이전 대다수의 캐릭터 수집 게임에서 줄기차게 돌려쓴 용어라 거부감이 덜한 것으로 보이며, 재련의 경우 명조에는 무기 돌파에 관한 용어가 따로 없고 그냥 x단이라고만 지칭되기 때문에 재련,중첩등 대충 익숙한 단어를 각자 갖다 쓴다.[5] 특히 양양은 방랑자를 굉장히 신경쓰거나 방랑자에 대한 사소한 것까지 기억하는 등 열렬한 호감을 내비치는데도 방랑자 쪽에서의 리턴이 없는 탓에 그저 일방적인 호감으로 밈이 되었고, 금희는 딱 '금주를 구한다'는 명목으로 업무상으로만 방랑자를 주요 인물로 점 찍었을 뿐 다른 여캐들처럼 개인적으로 절절한 서사가 없어 그냥 직장동료 포지션이 되었다. 여기에 조수 임무 초반에서 보여준 스무고개의 임팩트 때문에 말을 베베 꼬아서 하는 밈까지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