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23:33:02

마이애미 말린스

DSL 말린스에서 넘어옴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마이애미 말린스의 2024년 일정 및 경기 결과에 대한 내용은 마이애미 말린스/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001840><tablebgcolor=#001840>
파일:MLB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colcolor=#FFFFFF> 동부 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로고.svg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로고.svg 파일:뉴욕 메츠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로고.svg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로고.svg파일:워싱턴 내셔널스 화이트 로고.svg
중부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svg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로고.svg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로고.svg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화이트 로고.svg
서부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고.svg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콜로라도 로키스 엠블럼.svg파일:콜로라도 로키스 로고.svg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svg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로고.svg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고.svg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동부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로고.svg 파일:뉴욕 양키스 로고.svg파일:뉴욕 양키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탬파베이 레이스 로고.svg파일:탬파베이 레이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중부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로고.svg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모자 로고.svg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svg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로고.svg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svg파일:미네소타 트윈스 화이트 로고.svg
서부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로고.svg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로고.svg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svg파일:텍사스 레인저스 화이트 로고.svg
}}}}}}}}}}}}}}} ||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엠블럼.svg
<colbgcolor=#000><colcolor=#00a3e0> 마이애미 말린스
Miami Marlins
창단 1993년 ([age(1993-01-01)]주년)
연고지 플로리다 마이애미
연고지 변천 마이애미 (1993~)
구단명 변천 플로리다 말린스 (Florida Marlins, 1993~2011)
마이애미 말린스 (Miami Marlins, 2012~)
소속 변천 내셔널 리그 (1993~)
- 동부 지구 (1993~)
홈 구장 선 라이프 스타디움 (Sun Life Stadium, 1993~2011)[1]
론디포 파크 (loanDepot Park, 2012~)
구단주 브루스 셔먼 (Bruce Sherman)[2]
사장 캐롤라인 오코너 (Caroline O'Connor)[3]
단장 피터 벤딕스
감독 클레이튼 맥컬러 (Clayton McCullough)
역대 한국인 메이저 선수 최희섭 (2004)
김병현 (2007)
역대 한국인 마이너 선수 고우석 (2024~)
심준석 (2024~)
로컬 경기 중계 Bally Sports Florida
공식 링크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로고.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약칭 MIA
월드 시리즈 우승 (2회)
1997, 2003
내셔널 리그 우승 (2회)
1997, 2003
와일드 카드 (4회)
1997, 2003, 2020, 2023
포스트시즌 진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월드 시리즈 1997년, 2003년
챔피언십 시리즈 1997년, 2003년
디비전 시리즈 1997년, 2003년, 2020년
와일드카드 시리즈(게임) 2020년, 2023년
}}}}}}}}}}}} ||
팀 컬러 / 유니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팀 컬러
미드나잇 블랙 마이애미 블루 칼리엔테 레드 슬레이트 그레이
유니폼
파일:Marlins_Cap_2019.png 파일:Marlins_Home_Jersey_2021.jpg 파일:Marlins_Away_Jersey_2021.jpg 파일:Marlins_Alternate1_Jersey_2021.jpg 파일:Marlins_Alternate2_Jersey_2021.jpg
<rowcolor=#00a3e0> Cap Home Away Alt1 Alt2
}}}}}}}}}}}} ||
월드 시리즈 우승 연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97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1996
뉴욕 양키스
<colcolor=#000> 플로리다 말린스 1998
뉴욕 양키스
2003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2002
애너하임 에인절스
플로리다 말린스 2004
보스턴 레드삭스
}}}}}}}}}}}} ||
프랜차이즈 팀 기록
최고 승률 .568 - (1997년 162경기 92승 70패)
최다 승 92승 - (1997년 162경기 92승 70패)
최다 패 108패 - (1998년 162경기 54승 108패)
최다 관중 3,064,847명 - 1993년
최고 계약 $325,000,000 - 2015년 지안카를로 스탠튼

1. 개요2. 역사3. 이모저모
3.1. 유명 선수3.2. 말린스맨3.3. 말린스의 트레이드 대참사3.4. 홈 구장3.5. 영구결번
4. 역대 감독5. 계약 중인 마이너리그 구단
5.1. 트리플 A5.2. 더블 A5.3. 싱글 A
5.3.1. 하이 싱글 A5.3.2. 로우 싱글 A
6. 40인 로스터 목록7. 관련 링크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MLB의 프로야구단. 내셔널 리그/동부 지구 소속. 연고지는 마이애미.[4] 팀의 상징은 청새치.[5] 초대 구단주 웨인 후이젠가가 낚시광이었던 데서 유래했다.

1993년 창단 이후 지구 우승을 해 본 적은 없지만, 와일드카드로 포스트시즌에 네 번 진출하여 두 번 월드시리즈를 우승했다.[6] 대대로 팀을 운영하는 방식이 선수단 보강→ 우승→ 파이어 세일[7]→ 유망주 확보→ (때가 되면) 선수단 보강→ 우승 도전과 같은 식이다.

2003년 마지막 우승 후 구단주의 막장 운영이 이어지면서 꼬여가고 있었는데, 2017년 데릭 지터를 포함한 투자자 그룹이 구단을 인수해 운영중이다. 사장인 데릭 지터가 성적보다 구장의 음식을 더 풍부하고 다채롭게 하는데 집중하겠다는 소위 먹거리로 일낸다는 발언을 한 이후로는 식당, 푸드볼, 먹거리볼, 식당볼 등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지터가 떠났다.

플로리다 주와 마이애미 자체가 인구가 많은 빅마켓[8]이긴 하지만 이 플로리다 주는 주류 백인들이 전부 토박이보다는 뉴욕이나 보스턴 같은 동북부 도시에서 이주했거나 야구가 열리지 않는 비시즌인 겨울에만 북부의 추위를 피해 온화한 곳에 내려와 머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고, 지역 로컬 사람들도 미식축구와 농구를 선호하고 야구의 인기는 그에 미치지 못하는 곳[9]이라 전체적인 규모로는 빅마켓을 지녔음에도 효과를 보지는 못하는 팀이다. 팀 통산 승률이 0.459로 30구단 중 전체 꼴찌일 정도로 성적이 좋지 않은 편에다[10] 주와 도시 전체에 걸쳐 미식축구와 농구의 인기가 매우 강하기 때문에 MLB에서는 연고지의 마켓 규모와는 별개로 비인기팀으로 분류되고 있다. 실제로 관중 동원에 있어서도 리그 29위로, 부동의 꼴지를 제외하면 나무위키에서 비인기 구단의 대표격으로 통하는 탬파베이 레이스시카고 화이트삭스와도 비교가 안될 정도로 관중 수가 낮다. 2024년 론디포 파크의 총 입장 관중은 81경기에서 1,087,455명으로, 동년 KBO 리그 LG 트윈스보다 9경기나 더 치른 주제에 31만 명이 더 적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이애미 말린스/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이모저모

3.1. 유명 선수

말린스가 배출한 유명선수는 데릭 리, 돈트렐 윌리스, 조시 베켓, 미겔 카브레라, A.J. 버넷, 조시 윌링햄, 핸리 라미레즈, 댄 어글라, 조시 존슨, 지안카를로 스탠튼, 로건 모리슨, 크리스티안 옐리치, J.T. 리얼무토 그리고 고인이 된 호세 페르난데스 등이 있다. 짧은 역사에 비해 선수들을 발굴하는 능력은 뛰어나다.

한국인 선수로는 플로리다 시절 최희섭이 2004시즌을 앞두고 트레이드로 합류해 반시즌간 좋은 활약을 보여주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트레이드 되었고, 이후 2007년 김병현이 시즌 도중 트레이드로 합류해 뛴 적이 있다.

여담이지만 한국 태생의 선수는 한 명 더 있는데, 2003년부터 3시즌간 메이저에서 활약한 토미 펠프스라는 좌완 불펜투수가 그 주인공이다. 아버지가 주한미군 출신으로 한국에서 복무하던 당시 펠프스가 태어났으며, 얼마 안가 미국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이 때문에 펠프스의 출생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으로 기록되어 있다.

3.2. 말린스맨

파일:external/www.kansascity.com/webWSGame1cco20141021%203384.jpg
2014년 월드 시리즈 경기를 관전 중인 말린스맨. 진짜 별에별 경기에 다 나타난다.

메이저리그 팬들에게 유명한 말린스 팬이 있는데 일명 '말린스맨'이다. 왜 하필 이런 별명이 붙었냐면 어떤 경기든 간에 말린스 유니폼을 입고 관전하기 때문. 말린스와 상관없는 경기에도 말린스 유니폼을 입는다. 경기와 상관없는 유니폼을 입는 팬이 없는 것은 아니나, 말린스 맨이 유명한 것은 종목 불문하고 스포츠 경기에 갈 때면 항상 말린스 유니폼을 입는데다가, 티켓값도 비싼 백스탑에서 관전하기 때문에 방송에서 눈에 확 띈다. 게다가 ESPN이나 FOX의 전국구 중계 경기도 팀 불문하고 이거 입고 관전하니 다른 팬들 입장에서는 '쟤는 뭔데 항상 상관없는 말린스 유니폼 입고 오냐?'는 의문이 들 수 밖에 없다. [11]

파일:external/pbs.twimg.com/CHTvDfvUEAA7vB0.jpg
NBA 파이널 경기라도 얄짤없으며 심지어 아메리칸 패로아 삼관 달성 G1경기에서도 특유의 패션으로 관람하는 장면이 포착되었다.

이름은 로렌스 레비(Laurence Leavy)라고 하며 노스 마이애미 비치에서 로펌 사장을 하고 있다고 한다. 트위터 능덕의 기상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말린스맨도 2017-18 오프시즌때 데릭 지터의 로리아와 다름없는 파이어 세일에 실망한 나머지, “트리플A 팀을 위해 메이저리그 티겟 가격을 지불하지는 않겠다” 2018 시즌 시즌권을 갱신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참고로 말린스맨은 1993 시즌 즉, 창단 때부터 말린스의 시즌권을 구매해 오던 골수 말린스 팬으로 데릭 지터의 무분별한 파이어 세일에 얼마나 실망했는지 알 수 있다. 이에 지터는 시즌권 갱신 포기 의사를 밝힌 레비에게 "구단의 향후 10년 계획에 꼭 당신의 시구 행사를 넣어두겠다"고 달랬다.#

[kakaotv(383509557)]
[kakaotv(383540214)]

3.3. 말린스의 트레이드 대참사

[인사이드MLB] 데릭 지터의 마이애미는 어디로?

말린스 단장 마이클 힐은 2010년대 대표적인 호구 단장으로 유명하다. 마이클 힐 휘하에서 수많은 트레이드가 있었는데, 말린스를 떠난 선수들은 포텐이 터지고, 말린스가 영입한 선수들은 유망주고 즉전감이고 대부분 망해버렸다. 그런데 데릭 지터는 마이클 힐을 여전히 신임하고 있다. 그나마 지터 부임 이후 트레이드는 이전만큼 호구딜이 나오지는 않는 상황이다.
<주요 트레이드>

2018년 탱킹을 위해 그렇게 많은 선수들을 팔아치웠는데, 2019년 시즌 전 마이애미의 팜 시스템 랭킹 26위로 최하위권이었다. 따라서 평가가 당연히 좋을 수가 없었지만, 그래도 시즌 중반에 헤수스 산체스(전체 42위), 재즈 치좀 주니어(전체 59위)를 트레이드로 얻으며 팜 랭킹 5위권 안에 들었다. 루이스 카스티요, 케일럽 스미스, 도밍고 헤르만, 크리스 페덱, 트레버 윌리엄스의 투수 유망주 출혈이 존재했지만, 카스티요, 스미스, 페덱을 제외한 나머지 투수들의 활약은 딱히 아쉬울 것이 없는 수준이고 말린스가 이후 트레이드로 얻은 샌디 알칸타라-파블로 로페즈가 빠르게 성장하여 문제를 해결했다.

3.4. 홈 구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론디포 파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영구결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000>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엠블럼.svg마이애미 말린스
영구결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42
재키 로빈슨
}}}}}}}}} ||


42. 재키 로빈슨(Jackie Robinson) : 전 구단 영구결번.

현재까지 마이애미 말린스의 공식적인 영구 결번은 전 구단 공통 영구결번인 재키 로빈슨을 제외하고는 존재하지 않는다.

1993년 창단 이후 2011년까지는 플로리다 말린스의 첫 경기를 보기 전에 세상을 떠난 초대 회장 칼 바거를 기리는 의미로, 그가 좋아하던 조 디마지오의 등번호인 5번을 영구결번으로 지정했으나, 2012년 로건 모리슨의 요청[13]을 받아들여 영구결번이 해제되었다. 이후 2016년 비극적인 사고로 세상을 떠난 호세 페르난데스의 16번을 영구결번으로 지정하자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사고의 원인이 밝혀지고 구단주가 바뀌게 되는 과정에서 공식적인 영구결번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현재까지는 비공식 결번으로 남아있는 상태다.

현역 선수 중 그나마 영구결번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는 선수는 지안카를로 스탠튼의 27번[14]이다. 양키스에서는 망했지만 그럼에도 마이애미 구단 프랜차이즈 WAR 1위 기록을 가지고 있는 플로리다-마이애미 프랜차이즈 최고의 선수이기 때문이다.

4.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엠블럼.svg마이애미 말린스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272c,#d3dade
1993~
1대
러네 라체만
파일:미국 국기.svg
(1993~1996)
2대
쿠키 로하스
파일:쿠바 국기.svg
(1996)
3대
존 볼스
파일:미국 국기.svg
(1996)
4대
짐 릴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1997~1998)
3대
존 볼스
파일:미국 국기.svg
(1999~2001)
5대
토니 페레즈
파일:쿠바 국기.svg
(2001)
6대
제프 토버그
파일:미국 국기.svg
(2002~2003)
7대
잭 매키언
파일:미국 국기.svg
(2003~2005)
8대
조 지라디
파일:미국 국기.svg
(2006)
9대
프레디 곤잘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2007~2010)
10대
에드윈 로드리게스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2010~2011)
11대
브랜든 하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2011)
7대
잭 매키언
파일:미국 국기.svg

(2011)
12대
아지 기옌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12)
13대
마이크 레드먼드
파일:미국 국기.svg
(2013~2015)
14대
댄 제닝스
파일:미국 국기.svg
(2015)
15대
돈 매팅리
파일:미국 국기.svg
(2016~2022)
16대
스킵 슈마커
파일:미국 국기.svg
(2023~2024)
17대
클레이튼 맥컬러
파일:미국 국기.svg
(2025~)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엠블럼.svg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
마이애미 말린스 역대 감독

5. 계약 중인 마이너리그 구단

5.1. 트리플 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잭슨빌 점보슈림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더블 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펜사콜라 블루 와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싱글 A

5.3.1. 하이 싱글 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벨로잇 스카이 카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2. 로우 싱글 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주피터 해머헤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40인 로스터 목록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0>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엠블럼.svg마이애미 말린스
2025 시즌 40인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00a3e0,#1fc1ff> 투수 22 알칸타라 · 23 마이어 · 27 카브레라 · 29 개럿 · 37 벤더 · 38 티노코 · 39 페레스 · 43 나디 · 44 루자르도 · 49 커리 · 51 크로닌 · 53 포셰이 · 55 바우만 · 59 베네치아노 · 60 웨더스 · 62 소리아노 · 83 벨로소 · 84 바차르 · # 메이저 · # 아리아스 · # 풀턴
포수 4 포테즈 · 89 페레다 · # 라미레스
내야수 17 브루한 · 24 노비 · 36 버거 · 41 브라이드 · 61 로페즈 · 63 에드워즈 · # 사노하 · # 폴리 · # 서나 · # 데 로스 산토스
외야수 12 산체스 · 28 스타워스 · 54 마이어스 · 56 코나인 · 58 · 64 메사 Jr.
''' 파일:미국 국기.svg 클레이튼 맥컬러'''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슨 비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드로 게레로 파일:미국 국기.svg 빌 밀러 ·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슨 하트 파일:미국 국기.svg 다니엘 모스코스 파일:미국 국기.svg 존 제이 파일:미국 국기.svg 조디 리드 파일:미국 국기.svg 롭 플리포 파일:미국 국기.svg 그리핀 베네딕트 파일:미국 국기.svg 로드 바라하스
파일:MLB 로고.svg 구단별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잭슨빌 점보슈림프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

7. 관련 링크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ffba00><tablewidth=320><tablebgcolor=#ffba00>
파일:플로리다 휘장.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NFL MLB
파일:마이애미 돌핀스 로고.svg 파일:잭슨빌 재규어스 로고.svg 파일:탬파베이 버커니어스 로고.svg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엠블럼.svg
마이애미 돌핀스 잭슨빌 재규어스 탬파베이 버커니어스 마이애미 말린스
MLB NBA NHL
파일:탬파베이 레이스 엠블럼.svg 파일:마이애미 히트 로고.svg 파일:올랜도 매직 로고.svg 파일:플로리다 팬서스 로고.svg
탬파베이 레이스 마이애미 히트 올랜도 매직 플로리다 팬서스
NHL MLS NWSL
파일:탬파베이 라이트닝 로고.svg 파일:인터 마이애미 CF 로고.svg 파일:올랜도 시티 SC 로고.svg 파일:Orlando_Pride_logo.svg.png
탬파베이 라이트닝 인터 마이애미 CF 올랜도 시티 SC 올랜도 프라이드
MLR
파일:마이애미 샤크스.png
마이애미 샤크스
}}}}}}}}} ||



[1] NFL 마이애미 돌핀스와 공용[2] 2017년 구단주의 자리에 올랐다. 이전에는 웨인 휘젠거 (1993~1999), 존 헨리 (1999~2002), 제프리 로리아 (2002~2017)의 순으로 구단주를 역임했다.[3] 부임 당시인 2022년 11월을 기준으로 전미 프로스포츠 사상 최초로 사장과 단장이 모두 여성인 구단이 되었다. #[4] 팀 이름이 플로리다 말린스였던 시절에도 연고지는 마이애미였다. 미국의 행정구역 체계상 플로리다는 에 해당하고 마이애미는 플로리다 주 산하 에 해당한다. 여담으로 우리나라 프로스포츠에도 말린스처럼 연고지 표기 부분에 광역자치단체명을 내걸었다가 기초자치단체명으로 연고지 표기명을 바꾼 사례가 있다. KBL 창원 LG 세이커스가 바로 그 사례다. LG 세이커스는 1997년 경남 LG 세이커스로 창단했다가 1998년에 창원 LG 세이커스로 이름을 바꿨다.[5] 현지에서는 fish라 부르며, 국내팬들은 참치라고도 한다. 팀 이름을 플로리다 말린스에서 마이애미 말린스로 바꾼 후에는 울엄마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이는 NBA의 같은 연고지를 사용하는 마이애미 히트도 마찬가지다.[6] 구단 역사상 90승 이상을 한 것도 우승을 거둔 1997년, 2003년 뿐이다.[7] 역사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계속 컨텐더로 달리려는 미련을 두지 않고 정말 쿨하게 털어버린다.[8] 마이애미 도시권 인구는 600만으로 애틀랜타와 비슷하고 보스턴보다 많다. 게다가 플로리다 주는 올랜도, 잭슨빌 등 대도시가 정말 많다.[9] 미국 동남부는 조지아 주를 제외하면 야구가 거의 찬밥신세다. 거의 대부분의 주들이 미식축구의 인기가 훨씬 크다. 심지어 플로리다는 더 나아가 농구의 인기도 강한 편이다. 더욱 야구가 치고들어갈 여지가 부족한 동네이며, 오히려 야구 인기가 많은 조지아의 애틀랜타가 별종인 그런 지역이다.[10] 29위 콜로라도 로키스의 승률이 0.462이며, 승률 1위인 뉴욕 양키스의 0.569와는 1할 이상의 차이가 난다.[11] 오렌지색의 강렬한 유니폼 색깔이 눈에 잘 띄니 티비보면서 가족들이랑 지인들이 본인을 더 찾기 쉽게 하려고 일부러 입고다닌다.라는 인터뷰도 있다.[12] 현재 이 콜로라도 스프링스 스카이삭스는 샌안토니오로 연고이전, 샌안토니오 미션스가 되었다. 단 밀워키와의 제휴는 계속 유지된다.[13] 폐암으로 2010년 세상을 떠난 아버지가 좋아하던 조지 브렛의 등번호인 5번을 달고자 했다.[14] 현재는 에드워드 카브레라가 사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