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19:21:30

마법명-"바포메트"


1. 개요2. 설명3. 수록 팩 일람4.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함정 카드.

2. 설명

파일:魔法名-「解体し統合せ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마법명-"바포메트",
일어판명칭=<ruby>魔法名<rp>(</rp><rt>まほうめい</rt><rp>)</rp></ruby>-「<ruby>解体し統合せよ<rp>(</rp><rt>バフォメット</rt><rp>)</rp></ruby>」,
영어판명칭=Alpha Summ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제외되어 있는 서로의 몬스터를 1장씩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대상의 자신 몬스터를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하고\, 대상의 상대 몬스터를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SELECTION 5에서 소환수세계관을 이용해서 만들어진 카드. 제외된 서로의 몬스터를 1장씩 대전 상대의 필드에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함정.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제외 존의 임의의 몬스터를 상대 필드로 보낸다는 점에 착안하면 될 것이다. 디메리트를 가졌거나 능력치가 낮은 몬스터를 공격 표시로 꺼내 샌드백으로 삼는 용도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상대의 제외 존에서 자신 필드로도 몬스터를 꺼낼 수 있지만, 마침 딱 원하는 몬스터가 있을 가능성은 낮으니 별 기대는 안 하는 편이 좋을 것이다. 각종 소재나 릴리스, 코스트로 삼을 수 있는 몬스터라도 있으면 감지덕지일 듯.

문제는 상대의 제외 존에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가 없으면 발동 자체가 안된다는 점. 제외를 실행하는 덱[1]이 많으면 저절로 발동 조건은 채우기 쉬워지지만 꼭 채워지리라는 보장도 없다.[2] 자신이 상대의 카드를 제외하는 방법도 있지만 필요한 카드는 더 늘기 마련이므로 돌아오는 쪽이 수지에 맞는 것인지도 미묘하다. PSY프레임로드 Ω심해의 민스트렐처럼 일시적으로 제외하는 카드와 조합하면 상대의 패로 돌아가는 것도 막을 수 있겠지만, 몬스터를 제외할 수 있느냐는 순전히 운이다. 애초에 컨트롤 떠넘기기가 목적이라면 기브 & 테이크같은 가벼운 수단도 있으니 굳이 이 카드를 쓸 필요가 있느냐도 의문. 차라리 선택은 상대가 해도 속도가 더 빠르고 조건이 느슨한 강제전이가 더 나을지도 모른다.

일러스트는 마기스토스 시절의 소환사 알레이스터크로울리가 불길한 마법을 선보이며 악마로 변하고 있으며, 이를 엔디미온산드리용이 보고 놀라고 있다.

일어판 카드명의 후리가나인 '해체하고 통합하라(Solve et coagula)'는 연금술에서 물질을 변화시키는 수법을 가리키는 격언 중 하나다. 요미가나에 있는 바포메트는 19세기 프랑스의 마술사 엘리파스 레비(Éliphas Lévi)의 그림 '멘데스의 염소'[3]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되는데, 여기 그려진 바포메트의 오른팔에는 'SOLVE', 왼팔에는 'COAGULA'가 그려져 있다. 영어판 카드명은 마법명-"투 메가 세리온"의 영어명 Omega Summon와 반대되는 Alpha Summon로 지어졌다. 해당 카드에도 서술되어 있듯이 Alpha와 Omega는 종교적인 상징성이 있기 때문에 노린 번역으로 보인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22-11-05 |
[[일본|]][[틀:국기|]][[틀:국기|]] SLF1-JP097 | SELECTION 5
2023-02-14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SLF1-KR097 | 셀렉션 파이브
2023-10-20 |
[[미국|]][[틀:국기|]][[틀:국기|]] AGOV-EN100 | AGE OF OVERLORD

4. 관련 카드

4.1. 마법명-"투 메가 세리온"


[1] 일례로 언데드 덱은 묘지에서 제외하고 발동하는 카드도 많고 거해룡 펠그란트생자의 서-금단의 주술-로 상대 몬스터를 제외할 수도 있다. 빼앗은 몬스터는 드라큐레어 뱀파이어의 엑시즈 소재로도 활용할 수 있다.[2] 가령 융합 소환을 주축으로 삼는 덱은 제외 상태에서 특수 소환이 불가능한 몬스터를 제외하는 경우가 많다.[3] 바포메트 문서에서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그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