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5 00:31:19

리미널 스페이스

Liminal Space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0년대부터 인터넷 공간에서 파생된 에스테틱에 대한 내용은 리미널 스페이스(에스테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정의3. 예술, 건축
3.1. 설치미술3.2. 건축
4. 기타

1. 개요

Liminal Space

리미널 스페이스란, 본래 하나의 장소 또는 다른 장소도 아닌, 제3의 공간의 한 유형을 말한다.[1] 쉽게 말하면 장소에 대한 사적공간과 공적공간의 경계가 허물어진 상태라고 설명할 수 있다.[2] 한국어권에서는 전이공간(轉移空間) 혹은 역공간(閾空間)이라고도 번역된다.[3]

2. 정의

리미널 스페이스에서 리미널(Liminal)이란 '문간방, 문턱(threshold)', 또는 '경계'를 의미하는 라틴어 리멘(Limen)을 어원으로 한다. 명사로는 리미널리티(Liminality, 역치성易置性)라고 한다.[4] 리미널이란 용어는 문화인류학적 개념의 범주에 속한다. '리미널'의 최초 용례는 네덜란드의 인류학자 아르놀트 판 헤네프(Arnold Van Gennep, 1873~1957)로, 그는 리미널을 '(일상 사회생활로부터의) 분리', '(문턱을 뜻하는) 주변 혹은 전이역(transition)', '재통합'의 3가지 통과 의례로 분류하였다.

판 헤네프가 말하는 '리미널'은 일종의 애매성, 즉 어떤 결과로 생긴 사회적, 문화적 상태의 속성들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리미널리티를 영국의 문화인류학자 빅터 터너(Victor Turner, 1920~1983)는 그 의미를 확장시켜 어떤 상태를 형성하고 구조적 지위를 정해가는 과정 사이의 '중간적인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미국의 현대 도시사회학자 샤론 쥬킨(Sharon Zukin, 1946~)은 리미널 스페이스를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문화와 경제, 시장과 장소 등을 가로지르고 결합하는 공간'이라고 표현하였다.[5] 즉 학술적 의미에서 리미널 스페이스란 '중간적인 전환 상태'라고 볼 수 있다.

3. 예술, 건축

3.1. 설치미술

리미널리티와 관련된 미술 장르는 서구에서는 1960년대 이후부터, 대한민국에서는 1990년대를 전후로 발전하였다. 현대미술에서 리미널 스페이스는 가상적인 차원에서가 아니라 실제적으로 시간과 공간을 작업의 재료로서 활용하고 예술과 삶을 잇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다.
파일:리미널 에어 디센드.png
리미널 에어 -디센드, 2006-15, 나일론 실, 형광등, 유리, 나무 가변설치

3.2. 건축

전통적 건축 실천은 건물 개념과 구조, 거주 사이를 명확하게 구분짓는 반면, 리미널리티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건축은 '공간의 형성과 경험 사이의 구역'을 불분명하게(즉 당초 건축의 목적, 맥락에서 벗어나는) 한다. 즉 혼성적인 경향을 보인다. 이는 전통적으로 고립된 구조들 사이를 애매모호하게 하는 구역, in-between space을 탐험하게 하는 방법으로써 나타내고 있다.
파일:파이널 우든 하우스.png
후지모토 소우, 파이널 우든 하우스 (Final Wooden House)

4. 기타



[1] 조대원, 입종엽.(2003) .280p[2] 조경진, 한소영.(2011). 53p[3] 조대원, 입종엽.(2003) .280p[4] 축제 같은 의례들에서 질서와 무질서, 일상과 비일상성이 교차하며 전도되는 상황을 말하는 문화인류학적 개념이다.[5] Zukin, S. (1991) Landscapes of Power: From Detroit to Disney World. Berkeley and Los Angeles,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