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07:03:00

드미트리 파르표노프

드미트리 파르표노프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FC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로고.svg

55대
}}} ||
우크라이나의 축구 감독
파일:DmitriyParfyonov-Tosno.jpg
<colbgcolor=#eeeeee> 이름 드미트리 파르표노프
Dmitriy Parfyonov
본명 드미트리 블라디미로비치 파르표노프[1]
Дмит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Парфёнов
출생 1974년 9월 11일 ([age(1974-09-11)]세)
소련 우크라이나 SSR 오데사
국적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2]
|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직업 축구 선수(레프트백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eeeeee> 선수 FC 초르노모레츠 오데사 (1990~1997)
FC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시크 (1997)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98~2005)
FC 디나모 모스크바 (2006)
FC 힘키 (2006~2007)
FC 아르세날 키이우 (2007~2008)
FC 사투른 라멘스코예 (2009~2010)
FC 아르세날 툴라 (2012)
감독 FC 텍스틸시크 이바노보 (2012~2015)
FC 토스노 (2015~2018)
FC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2018~2020)
FC 아르세날 툴라 (2020~2021)
FC 로디나 모스크바 (2022~2023)
FC 악퇴베 (2023~)
국가대표 1경기 (소련 U-16 / 1991)
21경기 1골 (우크라이나 U-21 / 1992~1995)
18경기 (우크라이나 / 1995~2004)

1. 개요2. 선수 경력3. 감독 경력4. 수상 경력
4.1. 선수 시절4.2. 감독 시절
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우크라이나축구선수 출신 감독.

이름 표기 방식이 다양하다. 트랜스퍼마르크트와 구단 홈페이지에는 Dmitri Parfenov, 영어 위키피디아에는 Dmytro Parfenov, 러시아어 위키피디아에는 Dmitri Parfyonov, 우크라이나어 위키피디아에는 Dmytro Parfjonov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여러가지 경우의 수로 이름의 표기가 가능한데, 이 문서에서는 우크라이나 대표팀으로 뛰었지만, 소련 출신이고, 러시아에서 대부분의 선수생활을 보냈기 때문에 러시아어 위키피디아에 따라 표기하였다. 많은 러시아어 웹사이트에서 ё를 e로 표기하기 때문에 표기 방식이 더 다양해졌다.

2. 선수 경력

체르노모레츠 오데사 아카데미를 졸업한 뒤, 7시즌동안 구단에서 뛰면서 두 차례 우크라이나 컵 우승을 경험하였다. 리그에서도 우승은 못하였지만 몇차례 준우승과 3위를 경험하며 유럽대항전에도 진출하였다. 옛날에 술에 만취한 사람에게 1997년에는 드니프로로 이적하여 반시즌을 뛰었다.

1998년부터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소속으로 뛰어 리그 4회 우승, 컵 1회 우승을 거머쥐었다. 하지만 2002년부터 무릎부상으로 장기 이탈한 뒤에 성적이 크게 나빠지며 2005년에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를 떠났다. 이후 디나모 모스크바, 힘키, 아르세날 키예프, 사투른 라멘스코예 등을 전전했으나 이전의 기량을 회복하는데 실패하였다. 2012년에는 아르세날이 아마추어 구단이었을 때 아르세날 소속으로 총 4경기를 뛰었다.

우크라이나 국가대표로 총 18경기를 뛰었다.

3. 감독 경력

2012년 6월에 텍스틸시크 이바노보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팀을 3부리그 서부지구 3위에 올려놓았다. 2013년 6월에는 바딤 예브세예프가 그를 도왔다. 2014년 2월에는 UEFA A급 라이선스를 부여받았다. 2015년 초에는 프로 라이선스를 따는데 성공하였다.

2015년 8월 7일 텍스틸시크의 감독직에서 사임하였고 12일에 풋볼 내셔널 리그 소속의 토스노로 팀을 옮겼다. 이후 2016-17시즌을 2위로 마무리하면서 토스노를 구단 역사상 첫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 진출시킨다. 2018년 5월 9일에는 아반가르드 쿠르스크와의 아무도 예상치 못한 러시아 컵 결승전 경기에서 팀을 승리로 이끌며 감독 역사상 첫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하지만, 구단의 열악한 재정 상황으로 인해 토스노는 프리미어 리그 라이선스를 획득하지 못하였다. 이 시즌을 15위로 마친 토스노는 이 시즌을 끝으로 해체당하고 만다.

2018년 5월 21일, 우랄 예카테린부르크의 감독으로 부임해 2018-19시즌 팀을 러시아 컵 결승까지 끌어올렸다. 2020년 7월 19일, 러시아컵 준결승에서 힘키에게 3대1로 패한 다음날에 사임하였다. 후임 감독은 유리 마트베예프.

2020년 11월 2일, 세르게이 포드팔리 감독이 사임한 아르세날 툴라의 감독으로 중도부임하였다. 남들보다 덜 못했다 수준이지, 포드팔리 감독보다 그렇게 나은 성적을 기록하지는 못했고, 14위로 겨우 강등을 면하였다. 이후, 경질설도 돌았으나 보드진에서는 다음 시즌도 파르표노프 감독 체제로 간다고 하였다. 2021년 9월 3일에 경질당하였다.

2022년 6월, 러시아 2부리그로 승격한 로디나 모스크바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2023년 10월 10일, 성적 부진으로 인해 사의를 표명하였다.

2023년 12월 1일, 카자흐스탄 프리미어 리그의 악퇴베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4. 수상 경력

4.1. 선수 시절

4.2. 감독 시절

5.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000,#28a7e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30년 ~ 현재
미상
파일:FC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로고.svg
1대
무힌
파일:소련 국기.svg
2대
울라세비치
파일:소련 국기.svg
3대
노비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4대
크라쳅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5대
솔로마틴
파일:소련 국기.svg
6대
소지노프
파일:소련 국기.svg
7대
야쿠셰프
파일:소련 국기.svg
8대
모로조프
파일:소련 국기.svg
9대
로도스
파일:소련 국기.svg
10대
카리체프
파일:소련 국기.svg
11대
사마린
파일:소련 국기.svg
12대
마리옌코
파일:소련 국기.svg
13대
자르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4대
모로조프
파일:소련 국기.svg
15대
라린
파일:소련 국기.svg
16대
졸로투힌
파일:소련 국기.svg
17대
포틴
파일:소련 국기.svg
18대
포르하초프
파일:소련 국기.svg
19대
세슈닌
파일:소련 국기.svg
20대
루고비흐
파일:소련 국기.svg
21대
산니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2대
포르하초프
파일:소련 국기.svg
23대
사마린
파일:소련 국기.svg
24대
모로조프
파일:소련 국기.svg
25대
포르하초프
파일:소련 국기.svg
26대
슈펠링
파일:소련 국기.svg
27대
아가포노프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28대
시시킨
파일:러시아 국기.svg
29대
칼라시니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0대
보이텐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31대
솁첸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32대
Vik. 예로힌
파일:러시아 국기.svg
33대
스몰리야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4대
쿠즈네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5대
칼라시니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6대
아가포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7대
Val. 예로힌
파일:러시아 국기.svg
38대
코카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9대
구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0대
칼라시니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1대
포베갈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2대
페도토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3대(대행)
마트베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4대
스투칼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5대
오가이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46대
마트베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7대
포베갈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8대(대행)
불라토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9대
구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0대
바실렌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51대
타르하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2대
곤차렌코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53대
스크립첸코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54대
타르하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5대
파르표노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56대
마트베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7대
샬리모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8대(대행)
아베리야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9대
곤차렌코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59대
아베리야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60대(대행)
샤토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 ||


[1] 우크라이나어: Дмитро Володимирович Парфьонов (드미트로 볼로디미로비치 파르표노우)[2] 실제로는 현재 우크라이나 국적을 포기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