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15:03:07

데니 안/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데니 안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데니 안|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7DCDFE><rowbgcolor=#7DCDFE> 파일:god(아이돌) 로고.png||<color=#fff>데니 안
DANNY AHN
||
]]
[ 솔로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fff><width=25%>
파일:데니 안_꿈이었으면.jpg
||<width=25%>
파일:데니 안_Love Ballad In 2007 Vol.2.jpg
||
디지털 싱글

꿈이었으면
(2007.05.28)
디지털 싱글

Love Ballad In 2007 Vol.2
(2007.11.25)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width=900> 음반 ||<width=33.3%> 음악 방송 직캠 ||<width=33.3%> 사건 사고 ||
{{{#!wiki style="margin: -16px -10px" god 핫젝갓알지 }}}


1. 개요2. 병역 관련 논란3. LG 트윈스 유광잠바 조공 사건4. 샴페인바 등록 업종 사건

1. 개요

데니 안의 논란 및 사건 사고를 기록한 문서다.

2. 병역 관련 논란

대한민국 사회에서 민감한 문제로 받아들이는 병역에 대한 부분에서 현재까지도 비판받고 있다. 그러나 박준형, 손호영처럼 법적으론 아무런 문제가 없는 케이스.

데니안은 미국에서 출생했고 귀국한 부모를 따라 6살 때부터 한국에서 쭉 자랐다.

2001년 병역법이 개정되면서 국내에서 60일 이상 체류하며 영리활동을 한 해외 영주권자, 이중국적자에게 병역 의무를 부과하도록 법이 바뀌게 되었다. 그러자 당시 토니 안 등 일부 연예인들은 해외 영주권을 포기하거나 신검을 받아 군에 복무하는 방법을 택했다. 병역법이 개정되기 전에 병무청은 이중국적 상태이거나 해외 영주권을 가진 사람들에게 한국 국적 포기 또는 국외 이주 신청과 함께 출국의 기회를 부여했는데, 데니안은 2000년 7월 28일 한국 국적을 포기함으로써 단독 미국 국적자가 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재외동포 비자로 체류하며 활동하게 되었다. 법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없는 케이스.

당시에는 유승준 병역기피 사건 이전이라 연예인의 국적 포기에 대한 여론이 그다지 나쁘지 않았다. 그저 '또 그러나 보네' 정도의 반응이었고, 연예인은 그 당시만 해도 일반인과는 다른 백그라운드를 가졌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대중들도 그저 그러려니 했다. 하지만 유승준 병역기피 사건이 터진 후부터 연예인의 병역 이행 여부에 대한 대중들의 시선이 매우 엄격해지면서, 그의 병역 문제도 조금씩 대중들의 시선으로 올라오다가 결정적으로 2005년 5월, 같은 팀 멤버 손호영이 국적 논란에 휩싸이면서 데니안 역시 병역에 대한 문제로 비판을 받았다.

3. LG 트윈스 유광잠바 조공 사건

2013년 10월 본인의 SNS에 LG 트윈스 유광잠바를 입고 플레이오프전을 관람하는 모습을 인증했다. #

본인의 SNS에 점퍼를 구하고 싶다고 글을 올렸으며, 글을 올린 며칠 뒤, 팬이 어렵게 구해서 선물해줬다고 인증하며 이제 플레이오프전 티켓만 구하면 된다는 게시물을 올렸다. 결국 구하기 힘들었던 유광점퍼는 팬이 구해서 선물해 준 것.

저 당시에는 LG 트윈스가 엄청 오랜만에 가을야구를 하게 됐고, LG 트윈스의 상징같은 굿즈였기 때문에 품절 사태가 일어났던 것이었는데, 이후 일반인들도 굿즈를 구하기 어려웠던 상황에서 조공을 유도한 것이 아니냐는 거센 비판을 받게 됐다.

네티즌들은 "티켓도 팬이 구해준건가?" "이건 사달라는 뜻인 것 같다" "이런 식으로 팬들에게 선물을 요구하는 건가?"라는 반응을 보이는가 하면,# 사태에 대해 "사생활이다", "솔직히 갖고 싶다는 뜻을 SNS에 적은 것만으로 조공을 요구했다니, 너무 심한 거 아닌가", "연예인은 뭐 갖고 싶다고 말도 하면 안되겠다.." 등 조공 논란이 무리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해당 논란에 대해 데니안의 매니지먼트를 담당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절대 팬들에게 무언가를(조공을) 바라고 그런 글을 올릴 사람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관계자는 "LG트윈스 유광점퍼를 구하기가 어렵던 탓에 순수하게 갖고 싶은 마음을 무심코 글로 적어 트위터에 올린 것일 뿐"이라며 "이를 접한 팬분도 순수한 마음으로 선물을 하신 것 같은데 일부 네티즌 사이에서 이렇게 조공으로 해석되고 논란으로 확대돼 유감이다"라고 덧붙였다.#

해명에도 불구하고 논란은 오래 이어졌다. 일련의 과정에서 부담을 느꼈는지 sns 계정을 탈퇴하기도 했다.


파일:3039_513_1.jpg
결국, 이 사건은 시간이 흘러서 귀귀가 대놓고 패러디하기도 하면서 비꼬기도 했다. 귀귀가 LG 트윈스 팬이었던 모양이다.

4. 샴페인바 등록 업종 사건


서울 청담동에 있는 B모 샴페인바는 2018년 2월 이탈리아산 주류를 콘셉트로 문을 열었는데 당시 등록 업종은 일반음식점이었다. 데니안은 개업 당시 이 샴페인바 운영 회사의 사내이사였다. 이 때문에 세금을 덜 내는 일반음식점으로 등록해 사실상 유흥주점으로 운영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해당 논란에 대해 소속사는 지인의 부탁으로 인테리어에 도움을 주기로 하고 MD 등의 디자인에 참여한 것은 사실이나, 3개월만에 사임하였고,
그 기간동안 투자나 운영 등 전반적인 경영에 참여한 적이 없으며, 특히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등록업종결정 과정에 참여한 적이 없다고 적극 해명했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7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