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09:36:31

기기네블라

기기네브라에서 넘어옴

||<-2><tablealign=right><tablewidth=500><tablebordercolor=#bbccaa><tablebgcolor=#fff,#1c1d1f><bgcolor=#bbccaa><color=#000> 기기네블라
ギギネブラ
Gigginox ||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3rdGen-Gigginox_Render_001.png
별명 독괴룡(毒怪竜)[1]
종별 비룡종
분류 용반목-용각아목-기괴룡하목-독괴룡상과-네블라과
등장 작품
MH3, MHP3, MH3G

1. 개요2. 설정
2.1. 아종
3. 특징 및 공략4. 장비 및 소재
4.1. 아종
5. 외전 시리즈6. 기타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기기네블라 인게임 아이콘
파일:기기네블라 3 아이콘.webp 파일:기기네블라 P3 아이콘.webp 파일:기기네블라 3G 아이콘.png
MH3 MHP3 MH3G
동토에서 생식하는 비룡, 생물이 적은 동토에서 생식하는 이유인지
독으로 먹이를 약하게 한 다음 얼려서 동굴에 보존하는 습성이 있다.
어둠을 좋아하기 때문에 눈은 퇴화되어 있고, 온도로 먹이를 감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번식력이 아주 강해서, 특정 장소에는 무수한 알들이 있다.
몬스터 헌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비룡종 대형 몬스터로, 몬스터 헌터 트라이에서 처음 등장했다.

2. 설정

이전 시리즈의 푸루푸루의 모습을 대체하지만, 전격 특성이 라기아크루스로 넘어갔으므로 기기네블라는 독을 주 무기로 사용한다. 또, 일반 비룡종 골격인 푸루푸루와는 다르게 티가렉스의 골격을 사용한다.

전체적으로 등 부분은 희고, 배 부분은 붉다. 분노 시에는 독이 온 몸에서 분비되기 때문에 검은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일종의 경계색. 하지만 춥고 습하고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특성은 그렇게 달라지지 않았으며, 약점이 화속성이라는 것도 변하지 않았다.

3G 크기 비교 영상에 나오는 평균 몸길이는 1092.0cm.

2.1. 아종

||<-2><tablewidth=500><tablebordercolor=#adcf5a><tablebgcolor=#fff,#1c1d1f><bgcolor=#adcf5a><color=#000> 기기네블라 아종
ギギネブラ亜種
Baleful Gigginox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3rdGen-Baleful_Gigginox_Render_001.png
별명 전괴룡(電怪竜)[2]
종별 비룡종
분류 용반목-용각아목-기괴룡하목-독괴룡상과-네블라과
등장 작품
MHP3, MH3G
기기네블라 아종 인게임 아이콘
파일:기기네블라 아종 P3 아이콘.webp 파일:기기네블라 아종 3G 아이콘.png
MHP3 MH3G
전기를 다루는 독괴룡의 아종. 돌연변이로 보이며 발견 보고도 적다.
강렬한 전격으로 먹이의 움직임을 봉쇄하고 포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몸에 있는 축전기관을 파괴하면 전격을 약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길드에서는 '전괴룡'으로 불린다.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서드에서 추가된 기기네블라의 아종.

원종과 달리 독이 아니라 전기를 사용하며 몸 색은 위쪽은 칙칙한 레몬빛, 아래쪽은 보라빛이 도는 청색으로 다르다. 분노 시에는 몸 색이 푸루푸루 아종이 연상될 법한 붉은색으로 변한다.

3. 특징 및 공략

3.1. 몬스터 헌터 트라이 ~ 트라이 G

몬스터 헌터 트라이 · 트라이 G의 대형 몬스터
{{{#!wiki style="margin:-1px -8px"
{{{#!folding [ 트라이 ]
파일:도스재기 3G 아이콘.webp 파일:도스바기 3G 아이콘.webp 파일:쿠르페코 3G 아이콘.webp 파일:볼보로스 3G 아이콘.webp 파일:차나가블 3G 아이콘.webp 파일:로아루드로스 3G 아이콘.png
면구룡
도스바기
토사룡
볼보로스
등어룡
차나가블
파일:리오레이아 3G 아이콘.png 파일:기기네블라 3G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우스 3G 아이콘.webp 파일:라기아크루스 3G 아이콘.webp 파일:벨리오로스 3G 아이콘.webp 파일:우라간킨 3G 아이콘.png
폭추룡
우라간킨
파일:아그나코트르 3G 아이콘.webp 파일:이블조 3G 아이콘.png 파일:나발데우스 3G 아이콘.png 파일:지엔 모란 3G 아이콘.png 파일:??? 트라이 아이콘.webp
공폭룡
이블조
봉산룡
지엔 모란

}}}}}}
{{{#!wiki style="margin:-1px -8px"
{{{#!folding [ 트라이 G ]
파일:아오아시라 3G 아이콘.webp 파일:울크스스 3G 아이콘.png 파일:랑그로토라 3G 아이콘.png 파일:도스프로기 3G 아이콘.png 파일:쿠르페코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볼보로스 아종 3G 아이콘.png
백토수
울크스스
파일:하플보카 3G 아이콘.webp 파일:로아루드로스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이아 아종 3G 아이콘.webp 파일:기기네블라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진오우거 3G 아이콘.webp 파일:도볼베르크 3G 아이콘.webp
잠구룡
하플보카
뇌랑룡
진오우거
파일:나르가쿠르가 3G 아이콘.webp 파일:가노토토스 3G 아이콘.png 파일:가노토토스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브라키디오스 3G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우스 아종 3G 아이콘.webp 파일:디아블로스 아종 3G 아이콘.webp
파일:벨리오로스 아종 3G 아이콘.webp 파일:우라간킨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아그나코트르 아종 3G 아이콘.webp 파일:나르가쿠르가 아종 3G 아이콘.webp 파일:라기아크루스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진오우거 아종 3G 아이콘.webp
파일:도볼베르크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이아 희소종 3G 아이콘.webp 파일:리오레우스 희소종 3G 아이콘.webp 파일:나르가쿠르가 희소종 3G 아이콘.webp 파일:라기아크루스 희소종 3G 아이콘.png 파일:미친 이블조 3G 아이콘.png
미친
이블조
파일:나발데우스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지엔 모란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 트라이 아이콘.webp
}}}}}} ||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서드의 대형 몬스터
{{{#!wiki style="margin:-1px -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도스재기 서드 아이콘.png 파일:도스프로기 서드 아이콘.png 파일:도스바기 서드 아이콘.png 파일:도스팽고 서드 아이콘.png 파일:아오아시라 서드 아이콘.png 파일:울크스스 서드 아이콘.png
면구룡
도스바기
백토수
울크스스
파일:랑그로토라 서드 아이콘.png 파일:쿠르페코 서드 아이콘.png 파일:쿠르페코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볼보로스 서드 아이콘.png 파일:볼보로스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하플보카 서드 아이콘.png
토사룡
볼보로스
잠구룡
하플보카
파일:로아루드로스 서드 아이콘.png 파일:로아루드로스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기기네블라 서드 아이콘.png 파일:기기네블라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이아 서드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이아 희소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우스 서드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우스 희소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디아블로스 서드 아이콘.png 파일:디아블로스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티가렉스 서드 아이콘.png 파일:티가렉스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나르가쿠르가 서드 아이콘.png 파일:나르가쿠르가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진오우거 서드 아이콘.png 파일:도볼베르크 서드 아이콘.png 파일:벨리오로스 서드 아이콘.png 파일:벨리오로스 아종 서드 아이콘.png
뇌랑룡
진오우거
파일:아그나코트르 서드 아이콘.png 파일:아그나코트르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우라간킨 서드 아이콘.png 파일:우라간킨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이블조 서드 아이콘.png 파일:지엔 모란 서드 아이콘.png
폭추룡
우라간킨
공폭룡
이블조
봉산룡
지엔 모란
파일:아캄토름 서드 아이콘.png 파일:우캄루바스 서드 아이콘.png 파일:??? 서드 아이콘.png 파일:??? 서드 아이콘.png


}}}}}} ||
파일:기기네블라 3G 아이콘.png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위험도 ★★★★
서식지 동토

몬스터 헌터 트라이에서는 별명이 없었지만, 포터블 서드에서 '독괴룡'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기기네블라의 가장 큰 특징으로 머리부분과 꼬리부분이 거의 비슷하게 생겼는데, 머리쪽이 좀더 크며 이빨이 있고, 꼬리쪽의 몸통부분이 머리쪽보다 위로 올라가 있다. 포효할 때 머리와 꼬리를 일부러 들어올리거나, 양쪽이 다 깨무는 모션이 있는 등 일부러 혼동하게 만들기 위해 디자인되어있다. 앞이나 뒤로 점프할 때 일부러 방향도 전환해 머리와 꼬리 위치를 바꾸기도 한다.[3] 구분하기 힘들다면 날개 방향을 주시하자.

P3에서 분노 시에 머리 육질이 단단해지는 기믹이 추가되었다. 이 때엔 반대로 꼬리 육질이 연해지므로 평소엔 머리, 분노 시엔 꼬리를 노려야 한다. 때문에 머리/꼬리 구분이 더 중요해졌다.

머리-몸통-꼬리 각각 독선이 위치한다. 머리에선 연기가 남는 독브레스를, 몸통에선 독 내뿜기를, 꼬리에선 독주머니를 싼다. 해당 독선들은 파괴할 수 있으며, 파괴하면 머리는 연기잔상의 지속시간이 감소되고, 꼬리는 독주머니 폭파까지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며, 몸통은 유실물을 남긴다. 상위 이상부턴 해당 독 패턴들이 맹독으로 대체되므로 조심하지 않으면 순식간에 수레탈 수 있다.

푸루푸루처럼 눈은 퇴화되었지만, 열 감지 능력이 특화되어있어 헌터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며, 횃불을 들고 있는 헌터를 우선적으로 공격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포효가 조금 특이한데, 동굴 안에선 포효 [대], 동굴 밖에선 포효 [소] 판정이다. 성량 자체는 크지 않은 모양. 하지만 판정에 관계 없이 꽤 길게 포효하기 때문에 금강체 스킬로는 기기네블라의 포효를 막을 수 없다.

수면 시에는 동토 맵의 5번 구역 한쪽 벽에 붙어서 잔다. 벽에 붙은 채로 자기 때문에 Y축 리치가 짧은 데 상승통폭탄 등의 수면대책도 없다면 얌전히 자게 두지 않는게 좋다.

몬스터 헌터 트라이 G의 G급에 올라가면 평소에 낳는 알을 바닥에 낳지 않고 자신의 등에다가 낳는 패턴이 추가된다. 올라가 있을 때 기기네블라의 주변에 있으면 알에서 기기들이 튀어나와 열심히 흡혈해댄다. 몸통을 열심히 때리면 부서지며, 부서질 때 약하게 경직이 난다. 사족이지만 알을 낳을 때 비주얼이 굉장히 징그럽다. 그로테스크한 것이 싫은 사람이라면 G급 기기네블라는 특히 각오하고 출발하자.

3.1.1. 아종

몬스터 헌터 트라이 · 트라이 G의 대형 몬스터
{{{#!wiki style="margin:-1px -8px"
{{{#!folding [ 트라이 ]
파일:도스재기 3G 아이콘.webp 파일:도스바기 3G 아이콘.webp 파일:쿠르페코 3G 아이콘.webp 파일:볼보로스 3G 아이콘.webp 파일:차나가블 3G 아이콘.webp 파일:로아루드로스 3G 아이콘.png
면구룡
도스바기
토사룡
볼보로스
등어룡
차나가블
파일:리오레이아 3G 아이콘.png 파일:기기네블라 3G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우스 3G 아이콘.webp 파일:라기아크루스 3G 아이콘.webp 파일:벨리오로스 3G 아이콘.webp 파일:우라간킨 3G 아이콘.png
폭추룡
우라간킨
파일:아그나코트르 3G 아이콘.webp 파일:이블조 3G 아이콘.png 파일:나발데우스 3G 아이콘.png 파일:지엔 모란 3G 아이콘.png 파일:??? 트라이 아이콘.webp
공폭룡
이블조
봉산룡
지엔 모란

}}}}}}
{{{#!wiki style="margin:-1px -8px"
{{{#!folding [ 트라이 G ]
파일:아오아시라 3G 아이콘.webp 파일:울크스스 3G 아이콘.png 파일:랑그로토라 3G 아이콘.png 파일:도스프로기 3G 아이콘.png 파일:쿠르페코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볼보로스 아종 3G 아이콘.png
백토수
울크스스
파일:하플보카 3G 아이콘.webp 파일:로아루드로스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이아 아종 3G 아이콘.webp 파일:기기네블라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진오우거 3G 아이콘.webp 파일:도볼베르크 3G 아이콘.webp
잠구룡
하플보카
뇌랑룡
진오우거
파일:나르가쿠르가 3G 아이콘.webp 파일:가노토토스 3G 아이콘.png 파일:가노토토스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브라키디오스 3G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우스 아종 3G 아이콘.webp 파일:디아블로스 아종 3G 아이콘.webp
파일:벨리오로스 아종 3G 아이콘.webp 파일:우라간킨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아그나코트르 아종 3G 아이콘.webp 파일:나르가쿠르가 아종 3G 아이콘.webp 파일:라기아크루스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진오우거 아종 3G 아이콘.webp
파일:도볼베르크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이아 희소종 3G 아이콘.webp 파일:리오레우스 희소종 3G 아이콘.webp 파일:나르가쿠르가 희소종 3G 아이콘.webp 파일:라기아크루스 희소종 3G 아이콘.png 파일:미친 이블조 3G 아이콘.png
미친
이블조
파일:나발데우스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지엔 모란 아종 3G 아이콘.png 파일:??? 트라이 아이콘.webp
}}}}}} ||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서드의 대형 몬스터
{{{#!wiki style="margin:-1px -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도스재기 서드 아이콘.png 파일:도스프로기 서드 아이콘.png 파일:도스바기 서드 아이콘.png 파일:도스팽고 서드 아이콘.png 파일:아오아시라 서드 아이콘.png 파일:울크스스 서드 아이콘.png
면구룡
도스바기
백토수
울크스스
파일:랑그로토라 서드 아이콘.png 파일:쿠르페코 서드 아이콘.png 파일:쿠르페코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볼보로스 서드 아이콘.png 파일:볼보로스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하플보카 서드 아이콘.png
토사룡
볼보로스
잠구룡
하플보카
파일:로아루드로스 서드 아이콘.png 파일:로아루드로스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기기네블라 서드 아이콘.png 파일:기기네블라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이아 서드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이아 희소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우스 서드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우스 희소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디아블로스 서드 아이콘.png 파일:디아블로스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티가렉스 서드 아이콘.png 파일:티가렉스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나르가쿠르가 서드 아이콘.png 파일:나르가쿠르가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진오우거 서드 아이콘.png 파일:도볼베르크 서드 아이콘.png 파일:벨리오로스 서드 아이콘.png 파일:벨리오로스 아종 서드 아이콘.png
뇌랑룡
진오우거
파일:아그나코트르 서드 아이콘.png 파일:아그나코트르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우라간킨 서드 아이콘.png 파일:우라간킨 아종 서드 아이콘.png 파일:이블조 서드 아이콘.png 파일:지엔 모란 서드 아이콘.png
폭추룡
우라간킨
공폭룡
이블조
봉산룡
지엔 모란
파일:아캄토름 서드 아이콘.png 파일:우캄루바스 서드 아이콘.png 파일:??? 서드 아이콘.png 파일:??? 서드 아이콘.png


}}}}}} ||
파일:기기네블라 아종 3G 아이콘.png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위험도 ★★★★
서식지 동토

원종의 독 관련 패턴이 마비+전기 패턴으로 일신된다. 독 브레스는 세 갈래로 땅을 타고 가는 전기 브레스로, 독 내뿜기는 방전, 독낭 낳기는 전기낭 낳기로 대체된다. 어느 패턴이든 맞으면 꽤 아픈데다 마비에 걸리므로 조심해야한다. 또한 아종이라곤 하지만 실상은 기기네브라의 돌연변이라 번식을 못하기 때문에, 알낭을 낳는 패턴은 없다.

아종은 원종과 달리 지상에서 포식 공격을 한다. 입에서 전기를 조금씩 내뿜으며 덮치려고 웅크리는게 전조.

몬스터 헌터 트라이 G의 G급 기기네블라 아종은 등에 알 대신 전기낭을 낳아서, 일정 시간 뒤에 터뜨리는 패턴을 사용한다. 원종의 알은 흡혈을 감수한다면 방치해도 되지만, 이쪽은 마비에 걸리므로 등에 낳을 때마다 빠르게 정리해주자. 터지기 전에 부수지 못했어도 터지기 직전에 약간의 전기 소리로 타이밍을 알려주므로 지직거리는 소리가 들린다면 빠르게 멀어지자.

4. 장비 및 소재

방어구는 뱀파이어 같은 장비를 사용한다. 푸루푸루가 장비가 보통 하얀색이지만, 네블라 장비는 검은색과 붉은색이다. 전기에 내성치가 높은 편. 서드에서 진오우가를 잡을 때 쓸만하니 만들어두어도 좋겠다.

원종 무기는 적당한 깡뎀과 예리도, 강한 독속성을 지닌다. 특히 독이 상향된 3G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무기. 3G에서는 월신룡 소재 무기(각성 필요)랑 경쟁하는데, 주로 깡뎀이 목적이면 월신룡 무기, 독이 목적이면 네블라 무기를 쓰면 된다.

트라이 G에서는 G급 원종을 잡고 네블라X셋을 만들 수 있다. 검사 장비를 풀셋으로 갖추면 각성/업물/상태이상공격강화+2/속성공격약화 스킬이 뜨는데, 기본으로 보라색 예리도이면서 각성으로 독속성이 붙고[4] 속성공격과 아무 관계 없는 나르가쿠르가 희소종 무기와의 궁합이 매우 좋다.

4.1. 아종

무기의 경우 대부분 독 속성이 마비 속성으로 바뀌는 정도이지만 쌍검의 경우는 뇌속성인데다 속성치나 회심률도 높아서 굉장히 좋은 쌍검. 진오우거 쌍검이 작성 난이도가 높은데 비해서 이건 작성 난이도도 낮다.

방어구 중 거너 셋의 경우는 스태미나 관련 스킬이 모여있어서 활과 상성이 좋다.

5. 외전 시리즈

5.1. 몬스터 헌터 익스플로어

5.1.1. 특수종

파일:기기네블라 극독종.png
몬스터 헌터 익스플로어
파일:기기네블라 극독종 아이콘.png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 이름 기기네블라 극독종 / ギギネブラ劇毒種 / Virulent Gigginox
별명 흉괴룡(毒怪竜)[5]
분류 용반목-용각아목-기괴룡하목-독괴룡상과-네블라과
종별 비룡종
아이콘(MHXR) 등장 MHX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기기네블라 극독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기기네블라 요가종.png
몬스터 헌터 익스플로어
스트리트 파이터 V 콜라보레이션
파일:기기네블라 요가종 아이콘.png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 이름 기기네블라 요가종 / ギギネブラヨーガ種 / Yoga Gigginox
분류 용반목-용각아목-기괴룡하목-독괴룡상과-네블라과
종별 비룡종
아이콘(MHXR) 등장 MHX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기기네블라 요가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기타

7. 관련 문서


[1](毒), 기괴할 (怪).[2] 번개 (電).[3] 서드 이후로는 쳐다보면 구분할 수 있기에 얼핏 무의미한 패턴같으나, 트라이의 동굴에선 기기네블라의 독선밖에 안보이는데 저러면 환장한다.[4] 대검, 건랜스 등의 일부 무기는 각성 없이 기본으로 독속성이 붙어있다.[5] 흉악할 (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