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가온고등학교 | 경기창조고등학교 | ◈ 두원공업고등학교 | 안법고등학교 | 안성고등학교 | |
⊙ 안성여자고등학교 | ◈ 일죽고등학교 | 죽산고등학교 | ◈ 한겨레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학교 전경[1] |
학교 전경[2] |
가온고등학교 GA-ON High School | |
개교 | 1978년 |
유형 | 종합고등학교 |
성별 | 남녀 공학 |
운영형태 | 사립 |
교훈 | 뜨거운 열정으로 넘치는 개성으로 세상의 중심으로 |
학교법인 | 아리학원 |
학생 수 | 835명 (2024학년도) |
교직원 수 | 66명 (2024학년도) |
관할교육청 | 경기도교육청 |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샛터길 46 |
홈페이지 | |
1. 개요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기숙형 사립 종합고등학교이다. 5개의 교육과정(인문, 외국어, 상경, 이공, 의생명)이 설치되어 있으며 중점교육과정(미술, 로봇, 빅데이터, 인문학)을 운영하고 있다.1998년 3월 안성여자상업고등학교에서 안성종합고등학교(인문계 + 상업계열의 실업계)로 교명을 변경한 뒤, 2008년 9월 학제 개편, 교명 변경 등을 통해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2. 학교 상징
2.1. 교훈
뜨거운 열정으로
넘치는 개성으로
세상의 중심으로
넘치는 개성으로
세상의 중심으로
2.2. 로고
2.3. 교가
3. 시설
3.1. 본관
위의 사진에 바로 보이는 건물이 본관이다. 이 건물에는 각각 국어과, 수학과, 영어과, 과학과, 사회과 교실이 존재한다.[3]수학과 교실은 3학년들이 사용하기에, 1, 2학년이 수학과 교실에서 공부할 일은 많지 않다. 또한 과학과 교실도 1학년이 사용하기는 쉽지 않다.[4]
그리고 영어과 교실이라고 해서 영어만 배우는 것은 아니고 영어과 교실에서 과학을 배우는 경우도 있다.
교무실은 2층 본 교무실과 2층, 3층, 4층으로 나누어진 학년별 교무실이 존재한다. 2016년까지는 영어과 교무실, 사회과 교무실, 국어과 교무실 등으로 불렸지만, 2017년 입학설명회에 맞춰 학년별 교무실로 명칭이 변경됐다.
3.2. 신관
신관은 체육관의 오른쪽에 위치한 건물로, 가온고등학교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미디어과가 주로 사용하는 건물이다. 1층에는 교무실과 2학년 2반 교실, 3학년 교실이 있고, 2층에는 실습실과 2학년 1반 교실과 1학년 교실들, 그리고 급식실로 바로 나갈 수 있는 철문이 존재한다.[5] [6]3층은 2실습실이 있다. 물론 3층도 교실이 있지만, 3층은 인문계가 2015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 왜냐하면 디지털미디어과는 학년 당 2개 학급으로 편성이 되어 있는데, 35회 졸업생의 경우 5반까지 편성되어 있었기에 한 동 전체를 디지털미디어과가 사용했다. [7]
3.3. 기숙사
2010년 즈음 지어진 알바트로스와 13년도경에 신축된 베리타스로 나뉜다.[8]기숙사는 주로 한 학기마다 성적에 따라 새로 배정한다.[9] 3학년은 1년동안 바뀌지 않는다.[10]
베리타스는 6인 1실이며 방마다 화장실과 샤워실이 하나씩 있는 반면, 알바트로스는 6인 1실에 화장실이 하나만 있다 보니 생활하는 데에 다소 불편함이 따르는 상황도 생긴다. 하지만 알바트로스가 더 넓다는 점으로 성적이 높아도 알바트로스로 내려오는 학생도 가끔 있다.
베리타스, 알바트로스 둘다 1,2,3학년이 같이 생활한다. 보통은 2명 2명 2명씩 배정됐는데, 자퇴 및 전학 인원이 늘면서 조금 변동되었다.
사감은 용역업체로 외주를 준다. 베리타스와 알바트로스에 각각 한 명의 사감이 배정되어 있고, 정규 자습시간에는 야감이 배정되어 감독한다. .
2021년 1학기가 끝나고 기숙사 운영 방식에 큰 변화가 생겼다.
성적에 따라 방 배정을 하지 않고 랜덤으로 배정되며 여학생은 베리타스, 남학생은 알바트로스에 배정된다.[11]
2023년 신입생 기준 중학교 가내신을 기점으로 성적이 높은 남학생 12명이 2층침대가 아닌 책상이 있는 침대를 배정받았다.
또한 2024년 현재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신축 기숙사를 짓고 있다. 이에 따라 2025학년도 신입생부터는 전교생이 기숙사를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또한, 한 학기가 끝날때 즈음 기피학생을 4명 작성할 수 있도록 하여 방 배정에 반영한다.
4. 학교 학과
4.1. 디지털미디어과[12]
상업계열로 운영중인 디지털미디어과, 줄여서 '디미과'라고 불려지는 이 과는수업은 1학년 2학년 둘 다 일반교과 + 전문교과를 배우고, [13] 2학년부터 점점 일반교과는 축소되고 전문 교과 위주의 수업을 한다.
디지털미디어과는 학년마다 다른 전문교과를 배우게 된다.[14]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버스
6. 출신 인물
- 김땅뚜 - 중퇴하였다.
- 짜미(인터넷 방송인)
- YUNG CHENS
- 견리나
- 빅
- 서현옥
- 해성 -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로 전학하였다.
- 송준희
7. 기타
7.1. 교육
본관 인문계열은 가장 먼저, 앞반과 뒷반으로 구분된다. 1학년 기준 앞반은 1~3반, 뒷반은 4~6반이다.[15] 문과는 앞반 이과는 뒷반이다.[16]3학년이 될 때는 국, 영, 수 기타반 통일반이다.
신관 상업계열은 반 전체가 1반과 2반으로만 나누어져 있으며, 전문교과를[17] 수업할 때는 경영정보실 등에서 컴퓨터로 수업을 진행한다.
이 학교는[18] 학급수업이 아닌 수준별수업으로 교육한다. 영어, 수학을 각각 수준별로 나누어서 최상, 차상. 상, 중, 하[19] 로 구분하여 수업을 따로 한다. 이 때문에 계속 이동수업을 하고, 수업은 동시에 수준별로 다른 반에서 다른 선생님께 받는다.
2024년 기준으로 교사 부족으로 인해 수학 최상반이 사라졌다.
기타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체육 등 나머지 과목 전부)은 앞 반에서 섞이고, 뒷 반에서 섞이는데, 성적과 관련되어 섞인다.[20]
[1] 몇년 전 외관 리모델링 공사로 깔끔해졌다. 다만 내부는 그대로.[2] 현재는 사진 속 축구 골대 오른쪽에 최신식 농구 코트와 풋살장(족구장)이 만들어졌다. 남학생들의 놀이터.[3] 국어과 교실은 2학년, 영어과 교실은 1학년이 주로 사용한다 2021년 기준 국어과 교실은 1학년, 영어과와 사회과 교실은 2학년, 공용존과 수학과 교실을 주로 3학년이 사용한다.[4] 전교 35~40명 내, 즉 최상반에 들어야 한다.[5] - 문을 안 열어준다...-[6] 근데 폭우나 폭설 오는 날은 열어주기도 한다.[7] - 물론 지금은...-[8] 베리타스는 성적을 더 잘 받은 학생들이 쓰게 된다.[9] 2018년 연중 기숙사 방 배정은 6월 모의고사 성적과 1학기 내신 성적 5:3의 비율로 반영하고, 나머지 2에 해당하는 부분은 기숙사 내 태도로 결정짓는다. 11월 모의고사와 2학기 내신 성적은 익년 1학기 방 배정에 반영한다.[10] 원한다면 2학기에 바꿀 수도 있다.[11] 성별에 따라 기숙사가 고정인 것은 아니며 기숙사 내 인원에 따라 변동된다.[12] 특성화고 상업고등학교 과정[13] 일반교과는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한문, 체육, 일본어 등[14] 예를 들어, 1학년은 회계원리, 2학년은 금융일반, 3학년은 기업자원통합관리.[15] 2023년 입학생 기준, 앞반은 1~4반, 뒷반은 5~8반이다.[16] 2020년 입학생 기준, 문과반과 이과반의 구분이 사라졌다. 앞반 뒷반으로만 구분한다.[17] 문서작성 및 컴퓨터그래픽 등과 같은 컴퓨터가 필요한 수업.[18] 인문계 기준[19] 2023년 입학생 기준 최상은 A반과 C반, 차상은 4반과 8반, 상은 3반과 7반, 중은 2반과 6반, 하는 1반과 5반이다.[20] 2023년 입학생 기준 1,2,5,6반은 중하, 3,4,7,8반은 상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