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4 13:35:00

가면라이더 펑크잭/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가면라이더 펑크잭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가면라이더 펑크잭/신체 부위
,
,
,
,
,

1. 개요2. 엔트리 폼3. 단독
3.1. 대형
3.1.1. 몬스터 폼3.1.2. 비트 폼
3.2. 소형
3.2.1. 암드 실드
4. 듀얼 온
4.1. 대형 × 대형
4.1.1. 닌자몬스터 폼
5. 피버 폼
5.1. 피버 몬스터 폼

1. 개요

가면라이더 기츠5호 라이더가면라이더 펑크잭폼 체인지를 정리한 문서.

2. 엔트리 폼

파일:KRGe-Punkjackentryraise.png
<colbgcolor=#000><colcolor=#fff> 신장 207.6cm
체중 88.9kg
펀치력 1.5t
킥력 4t
도약력 한 번에 5.3m
주력 100m 8.3초
첫 등장 해후 IV: 듀오 신경쇠약
(가면라이더 기츠 에피소드 5)

디자이어 드라이버펑크잭 라이더 코어 ID를 장착한 초기 형태.

버클을 장착하지 않고 단독으로 변신하면 벨트에서 홀로그램이 위아래로 전개되어 소체 디자이어 베이직이 형성되며, 이마 부분에 헤드인 크레스트 기어가 착용되어 엔트리 폼이 된다.

레이즈 버클을 장전하면, 특유의 텍스트가 아머로 변해 기계팔 장치에게 끌어당겨지며, 라이더에게 착용된다. 레이즈 버클을 교체해 폼 체인지를 시전하면 새로운 아머가 기존의 아머를 날려보내며 착용된다.
덧붙여, 엔트리 폼의 경우, 공식 사이트에서는 폼의 정식 명칭이 '엔트리 폼'으로 나오지만, SHF 등 일부 매체에서는 '엔트리 레이즈 폼'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3. 단독

3.1. 대형

3.1.1. 몬스터 폼

파일:펑크잭 몬스터 폼.png 파일:펑크잭몬스터하체.png
상반신 하반신
<colbgcolor=#2244dd><colcolor=#000> 신장 207.6cm
체중 99.7kg
펀치력 8.5t
킥력 18t
도약력 한 번에 5.8m
주력 100m 8.1초
첫 등장 해후 IV: 듀오 신경쇠약
(가면라이더 기츠 에피소드 10)

디자이어 드라이버몬스터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펑크잭의 기본 폼.

몬스터 레이즈 버클은 펑크잭 ID 코어와 궁합이 좋은 버클로, 소환되는 확장 무장은 없지만 손 장갑인 몬스터 글러브가 무기 역할까지 수행하며, 순수 스펙이 부스트를 제외한 대형 버클 중 가장 높다.[4]

파일:펑크잭몬스터.gif

버클 장착시 MONSTER 아이콘이 떠오르며, 라우트 클랩 멧을 조작하면 드라이버에서 주먹 형태의 에너지체가 2개 튀어나와 위 아래로 아이콘을 내려찍어 파괴한다. 이후 몬스터 폼의 아머로 변형된 뒤 펑크잭에게 장착되어 변신이 완료된다.

완전독본에 따르면 맹수적인 전투 방식으로 큰 손을 붙이려고 했는데, 좀비 폼에 손톱을 붙여서 이쪽은 큰 주먹에 날뛰는 서양 만화같은 캐릭터성을 강조해 만들었다고 한다. 서양 만화같은 느낌으로 별 무늬의 그래픽을 새겼는데, 펑크잭의 눈의 별 모양과도 맞추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한다.

3.1.2. 비트 폼

파일:펑크잭 비트 폼.png
<colbgcolor=#1fc8e6><colcolor=#000> 신장 207.6cm
체중 94.2kg
펀치력 1.9t
킥력 4.8t
도약력 한 번에 10.3m
주력 100m 7.8초
첫 등장 기츠 엑스트라 가면라이더 펑크잭

디자이어 드라이버비트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폼.

파일:펑크잭비트.gif

셀렉트 건반을 조작하면 BEAT 아이콘이 떠오르며, D 스크래처를 조작하면 드라이버에서 나온 각양각생의 음표들이 아이콘을 뒤덮는다. 이후 비트 폼의 아머로 재구성된 뒤 펑크잭에게 장착되어 변신이 완료된다.

3.2. 소형

3.2.1. 암드 실드

파일:펑크잭 암드 실드.png
<colbgcolor=#000><colcolor=#fff> 신장 207.6cm
체중 90kg
펀치력 1.5t
킥력 4t
도약력 한 번에 5.3m
주력 100m 8.3초
첫 등장 해후 IV: 듀오 신경쇠약
(가면라이더 기츠 에피소드 5)

디자이어 드라이버실드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폼. 레이즈 실드를 장비한다.

같은 팀인 코가네야 모리오가 체인 어레이 버클을 대신해서 건네준 실드 버클을 사용해 변신했다.

4. 듀얼 온

4.1. 대형 × 대형

4.1.1. 닌자몬스터 폼

파일:닌자몬스터.png
<colbgcolor=#7aaf4d><colcolor=#000> 신장 207.6cm
체중 103.3kg
펀치력 2.4t
킥력 18t
도약력 한 번에 5.8m
주력 100m 8.1초
첫 등장 모략 III: 슬롯★피버
(가면라이더 기츠 에피소드 12)
뭐야, 닌자? 아무렴, 어때!
디자이어 드라이버피버 슬롯(=닌자) & 몬스터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폼.

5. 피버 폼

디자이어 드라이버피버 슬롯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폼 체인지 중 가장 강력한 형태.[5]

파일:펑크잭피버.gif

피버 슬롯 레이즈 버클로 변신하면 슬롯머신형 SLOT 아이콘이 떠오르고, 버클을 장착한 부분에 슈트가 랜덤으로 선정된다. 이때 나온 슈트가 함께 사용한 버클과 같은 것이어야 피버 폼이 된다. 버클이 서로 일치하지 않거나, 피버 슬롯 버클만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엔 장비에 맞춰 이름이 정해지며,[6] 암드로 통일된 명칭을 사용하는 소형 버클은 피버 폼이 없다.

피버 슬롯 버클은 뽑힌 아이콘의 등급에 따라 연출에 차이점이 있다.
피버 슬롯 버클의 선택지는 각 대형 버클과 ???인데, 각 대형 버클은 매그넘 / 좀비 / 닌자 / 몬스터 / 비트와 매칭되며 ???은 부스트 / 암드와 매칭된다. 슬롯을 돌리는 횟수에는 제약이 없어서 성능이 떨어지거나 자신과 맞지 않는 버클이 나와도 피버 버클을 뺐다 꽂는 것으로 다시 돌릴 수 있다.

5.1. 피버 몬스터 폼

파일:펑크잭 피버 몬스터 폼.png
<colbgcolor=#2244dd><colcolor=#000> 신장 207.6cm
체중 110.5kg
펀치력 15.5t
킥력 32t
도약력 한 번에 6.3m
주력 100m 7.9초
첫 등장 모략 III: 슬롯★피버
(가면라이더 기츠 에피소드 12)

디자이어 드라이버피버 슬롯(=몬스터) & 몬스터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폼.

[1] 매그넘 - 총구에서 나온 붉은 탄환 6발. / 부스트 - 뿜어져 나온 불꽃. / 좀비 - 버클의 게이트에서 나온 보라색 독액. / 닌자 - 수리검 제네레이터에서 나온 녹색 수리검 5장. / 몬스터 - 주먹 형태의 주황색 에너지 2체. / 비트 - 건반과 스크래처에서 나온 음표.[2] 매그넘 & 부스트 & 몬스터는 이펙트가 아이콘을 파괴해 슈트로 재구성시키며, 좀비 & 닌자 & 비트는 이펙트와 아이콘이 융합해 슈트로 변한다.[3] 해머 - 분홍색 망치. / 워터 - 물. / 애로우 - 연두색 화살 무더기. / 클로 - 노란 발톱 두 개. / 체인 어레이 - 주황색 소형 철퇴.[4] 극장판에서 폰 쟈마토에게 공격당할 위기의 일반인을 구출시킬때 동안 뒤에서 폰 쟈마토가 쉴 새 없이 때렸으나 별 데미지가 없어보였다.[5] 피버 슬롯 버클은 구조상 항상 상반신에 장비되는 오른쪽에 사용되며, 보통 대형 버클은 상체에 장착해서 사용하니 둘의 위치가 겹치지 않게 리볼브 온으로 위치를 바꾸고 피버 슬롯을 장착한다. 이 경우 원래 착용하고 있던 장비는 왼쪽으로 분리되어 아이콘과 함께 대기하다가, 피버 슬롯 버클을 작동시키면 리볼브 온 연출과 함께 회전, 하반신에 장착된다.[6] 예를 들어 피버 슬롯 버클을 돌려 몬스터가 나왔을 경우, 그냥 그 상태로 변신하면 몬스터 폼, 부스트 버클과 함께 사용했다면 몬스터부스트 폼, 몬스터 버클을 장착하고 있었다면 몬스터 + (피버 슬롯으로 나온) 몬스터가 되면서 피버 몬스터 폼이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