度 법도 도, 헤아릴 탁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广,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ド, (ト, タク) | ||||||
일본어 훈독 | たび, のり, はか-る, めもり, わた-る | ||||||
- | |||||||
표준 중국어 | dù, duó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度는 '법도 도' 또는 '헤아릴 탁'라는 한자로, '법도(法度)' 또는 '헤아리다'를 뜻한다. 특히 "도가 지나치다", "도를 넘다"라는 문장에서 바로 그 단어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법도 | <colbgcolor=#fff,#1f2023>헤아리다 |
음 | 도 | 탁 | |
중국어 | 표준어 | dù | duó[1], duò[2] |
광동어 | dou6 | dok6 | |
객가어 | thu | tho̍k | |
민북어 | dū | ||
민동어 | dô | dŏk | |
민남어 | tō͘ | to̍k | |
오어 | du (T3) | doq (T5) | |
일본어 | 음독 | ド, (ト) | (タク) |
훈독 | たび, のり, わた-る | た-い, はか-る, めもり | |
베트남어 | độ | dạc |
유니코드는 U+5EA6에 배정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ㄉㄨˋ로, 창힐수입법으로는 ITE(戈廿水)로 입력한다.
갑골문 상에서는 石(돌 석)과 손을 뜻하는 又(또 우)로 이루어져있다. 전국시대를 거쳐 소전체가 되면 石은 广 안에 廿입이 있는 형상으로 변형된다. 회의자로 보는 시각도 있고, 石이 성부를 나타내는 형성자로 보기도 한다. 설문해자에서는 庶(여러 서)가 성부라고 보고 있다.
이 글자는 다음자(多音字)인데, 명사 '측정치'(measurement), '정도'(degree), '제도' 등의 뜻을 가질 때는 徒故切(거성, 한국어 '도', 만다린 'dù')로 읽고, 동사 '측정하다'(to measure)의 뜻을 가질 때는 徒落切(입성, 한국어 '탁', 중국어 'duó')로 읽는다.
3. 용례
3.1. 단어
3.1.1. 도
- 가속도(加速度)
- 각도(角度)
- 강도(强度)
- 경도(傾度/輕度/硬度)
- 고도(高度)
- 과도(過度)
- 광도(光度)
- 극도(極度)
- 난이도(難易度)
- 농도(濃度)
- 도량(度量)
- 도수(度數)
- 밀도(密度)
- 법도(法度)
- 빈도(頻度)
- 산성도(酸性度)
- 속도(速度)
- 순도(純度)
- 습도(濕度)
- 신뢰도(信賴度)
- 신선도(新鮮度)
- 심도(深度)
- 연도(年度)
- 온도(溫度)
- 용도(用度)
- 위도(緯度)
- 인지도(認知度)
- 절도사(節度使)
- 정도(程度)
- 제도(制度)
- 조도(照度)
- 진도(進度/震度)
- 척도(尺度)
- 측도(測度)
- 태도(態度)
- 풍도(風度)
- 학년도(學年度)
- 한도(限度)
- 해상도(解像度)
- 호도법(弧度法)
3.1.2. 탁
3.2. 인명
- 공손도(公孫度)
- 기형도(奇亨度)
- 김도연(金度延)
- 김도완(金度完)
- 김도읍(金度邑)
- 김도훈(金度勳)
- 도조(度祖)
- 미토사카 칸쿠로(水度坂 勘久郎)
- 아불화도가(阿佛和度加)
- 안도현(安度昡)
- 오소도(烏炤度)
- 유도(劉度)
- 윤도현(尹度玹)
- 이도훈(李度勳)
- 이재도(李在度)
- 장도연(張度練)
- 전도연(全度姸)
- 하도영(河度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