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09:26:42

나 암에서 넘어옴
나 엄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8획
총획수
<colbgcolor=#fff,#1f2023>
10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エン
일본어 훈독
おれ
-
표준 중국어
ǎ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 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 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俺은 '나 엄'이라는 한자로, ''를 뜻한다. '나'라는 뜻의 1인칭이다.

2. 상세

중국어에서는 또는 우리[1]를 뜻하는 의 북방 사투리이며, 일본과 달리 남녀 모두 쓴다.

기본적으로는 산둥 지역 방언이지만 북방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쓰며, 산둥뿐만 아니라 허베이, 허난, 산시, 둥베이 및 쑤베이 지역에서 널리 쓰인다. 물론 이 지역뿐만 아니라 표준 중국어를 사용하는 중국 대륙에서도 널리 쓰이고 북방 지역 사람이 아니라도 뜻을 모르거나 못 알아듣는 사람은 없다. 이와 관련된 중국어 방언 모어로 俺를 사용하는 인구는 대략 6억 명으로 추정된다.

뜻을 나타내는 (사람 인)과 소리를 나타내는 (문득 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4FF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KLU(人大中山)로 입력한다.

일본어에서 이 한자를 '오레'로 읽는데, 이 '오레'는 보통 남성이 매우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1인칭이다. 따라서 여자가 쓰면 이상한 이미지를 받게 된다. 사실 남성이 쓴다 해도 예의를 지켜야 할 자리에서 이 말을 써서는 안 된다. 단 가족이나 친한 지인이나 친구들에게는 편하게 오레를 쓰는 경우가 많다. 자세한 것은 오레 참조.

3. 용례

3.1. 인명

3.2. 지명

3.3.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대화에서 사용될 때, 청자(듣는 사람)를 포함하지 않고 화자(말하는 사람)와 화자만 속한 무리를 지칭한다.